의견.png

"스마트시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스마트시티 발전과정)
(대한민국의 스마트시티)
45번째 줄: 45번째 줄:
 
#'''[[모바일]]'''(Mobile): "움직일 수 있는"이라는 뜻의 형용사로서, 이동성(移動性)을 가진 대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말이다.
 
#'''[[모바일]]'''(Mobile): "움직일 수 있는"이라는 뜻의 형용사로서, 이동성(移動性)을 가진 대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말이다.
  
==대한민국의 스마트시티==
+
== 국내 스마트시티 현황
 +
'''스마트시티 글로벌 시장'''은 2025년까지 성장세가 지속되어 약 2조달러 규모로 전망되며, 국내의 경우 2021년까지 151조원 규모로 꾸준한 성장이 예상된다.
 +
'''국내 스마트시티'''는 정부 주도의 국토개발 정책을 통해 대규모 신도시 개발경험을 보요하고 있다. 2003년 이후 ''''U-City''''개발사업을 통해 [[ICT]]기술을 도시개발에 활용하기 시작해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 기술로 해결하는 스마트시티 개념이 등장했다.
 +
 
 +
===K-Smart City 실증단지 조성계획===
 +
 
 +
'''세종(도시 토탈 솔루션)'''
 +
#공공자전거, [[BRT]] 우선신호
 +
#스마트 주차 정보시스템
 +
#3D 지하매설물 공간정보, 스마트 가로등
 +
#[[스마트그리드]](한전), [[스마트워터그리드]](수공)
 +
 
 +
'''동탄2구역([[에너지]]/경제/일자리)'''
 +
#[[마이크로그리드]](MG), 제로에너지 빌딩
 +
#스마트시티 [[R&D]] 단지 도입
 +
 
 +
'''판교(상업/문화/관광)'''
 +
#증강현실([[AR]]), 공공Wi-Fi 도입
 +
#스마트 파킹, 스마트 가로등, [[BEMS]], [[BIPV]] 등
 +
 
 +
'''평택고덕(안전/교통/범죄)'''
 +
#스마트 속도감지(DFS), 스마트 가로등/횡단보도
 +
#스마트 단속카메라, 스마트 교차로
 +
 
 +
===2019년 대한민국의 스마트시티===
 +
 
 
2019년 9월 3일 국토교통부에서 '''부산과 세종을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라는 이름의 시범사업 시행 계획을 밝혔다. 규제샌드박스의 형태로 진행될 예정이다.<ref>김진구 기자,〈[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56337&REFERER=NP 또 원격의료?…국토부, 부산·세종서 시범사업 추진〉,《Daliypharm》</ref>
 
2019년 9월 3일 국토교통부에서 '''부산과 세종을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라는 이름의 시범사업 시행 계획을 밝혔다. 규제샌드박스의 형태로 진행될 예정이다.<ref>김진구 기자,〈[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56337&REFERER=NP 또 원격의료?…국토부, 부산·세종서 시범사업 추진〉,《Daliypharm》</ref>
  

2019년 9월 3일 (화) 14:58 판

스마트시티(smartcity)

스마트시티(smartcity)는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도시 생활 속에서 유발되는 교통 문제, 환경 문제, 주거 문제, 시설 비효율 등을 해결하여 시민들이 편리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며 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을 위한 기반시설이 인간의 신경망처럼 도시 구석구석까지 연결되어 있는 도시 즉 '똑똑한 도시'를 뜻한다. 지능도시라고도 한다.

개념

스마트 시티[1]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을 위한 기반시설이 인간의 신경망처럼 도시 구석구석까지 연결되어 있는 도시를 말한다. 스마트 시티에서는 사무실에 나가지 않고도 집에서 모든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텔레워킹(teleworking)이 일반화될 것이다. 스마트 시티와 비슷한 개념으로는 공학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도시를 나타내는 테크노피아, 네티즌이 중심이 되는 도시를 나타내는 사이버 시티, 거대도시의 새로운 형태를 의미하는 월드 시티 등이 있다. 미래학자들이 예측한 21세기의 새로운 도시 유형으로서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도시 구성원들간 네트워크가 완벽하게 갖춰져 있고 교통망이 거미줄처럼 효율적으로 짜여진 것이 특징이다. 학자들은 현재 미국의 실리콘 밸리를 모델로 삼아 앞으로 다가올 스마트 시티의 모습을 그려나가고 있다.

등장배경

오투오(O2O)가 발전하면서 많은 사물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있다. 사물과 몸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면서 새로운 공간 가치를 창출해 냈다. 그 결과 집과 개인이 O2O로 연결되면서 스마트홈으로 변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교통, 에너지, 보건과 같은 국가 시스템이 국민들과 연결되고 도시 전체에 온라인 기술이 적용되면서 모든 기반 시설들이 스마트시티로 진화하게 되었다.[2]

스마트시티 발전과정

스마트 시티는 90년대 중반 미국에서 '디지털시티'개념이 등장하면서 지난 20년간 3단계의 진화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하였다.[3]

  • 태동기(1996~2002)
  1. 90년대 중반 디지털시티 확산을 계기로 태동(93년 암스테르담 디지털시티, 96년 헬싱키 Arena 2000, 98년 쿄토 등)
  2. 실제 스마트 시티는 도시 혁신을 주도한 Eco-City, Sustainable City 등 도시 지속 성장 프로젝트가 해당된다.
  • 성장기(2003~2011)
  1. 2003년 한국 U-city를 기점으로 기술주도형 스마트시티 태동
  2. 전략의 중심이 부분적 정보기술 활용에서 전반적 도시 정보화로 이동
  3. 2008년 IBM의 Smarter Planet을 계기로 시스코 등 글로벌 기업이 스마트시티에 참여
  4. 유럽과 미국에서는 Open Innovation과 연계되면서 Living Lab으로 발전
  • 확산·고도기(2012~현재)
  1. 2012년 중국이 스마트시티 구축을 공식화 하면서 세계적으로 급속히 확산
  2. 2012년 Google이 딥러닝 기술발전 등으로 스마트시티의 고도화가 빨라짐
  3. 2015년 인도 모디총리가 스마트시티 구축전략을 발표하면서 개도국까지 확대
  4. 2016년 한국 K-Smart City 특화형 실증단지 및 '2018년 세종시, 부산시에 시범단지 조성
  5. 2018년 한국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정

스마트시티의 목표

  • 서비스의 효율성: 공공 자원의 사용을 최적화 하고 고품질의 시민 서비스 제공
  • 지속 가능성: 환경적 영향에 대한 깊이 있는 고려를 기반으로 한 도시의 성장과 개발 추진
  • 이동성: 시민, 노동자, 방문객들이 도시를 좀 더 편하게 다닐 수 있도록 계획
  • 안전 및 보안: 일상생활 및 특별한 행사에 있어 공공 안전 및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응급상황, 재난 발생에 대한 최선의 준비
  • 경제성장: 기업, 투자자, 시민, 방문객들의 다양한 이목을 끌기 위한 성장 추진
  • 도시 평판: 도시의 이미지와 평판을 지속적으로 향상[4]

스마트시티의 핵심기술

스마트시티의 핵심기술 4가지ICBM이라고 한다.

  1. 사물인터넷(IoT): 세상에 존재하는 유형 혹은 무형의 객체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개별 객체들이 제공하지 못했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2. 클라우드(Cloud):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저장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3. 빅데이터(Bigdata): 생성된 양이 많고 생성 속도가 빠른 비정형 데이터를 말한다.
  4. 모바일(Mobile): "움직일 수 있는"이라는 뜻의 형용사로서, 이동성(移動性)을 가진 대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말이다.

== 국내 스마트시티 현황 스마트시티 글로벌 시장은 2025년까지 성장세가 지속되어 약 2조달러 규모로 전망되며, 국내의 경우 2021년까지 151조원 규모로 꾸준한 성장이 예상된다. 국내 스마트시티는 정부 주도의 국토개발 정책을 통해 대규모 신도시 개발경험을 보요하고 있다. 2003년 이후 'U-City'개발사업을 통해 ICT기술을 도시개발에 활용하기 시작해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 기술로 해결하는 스마트시티 개념이 등장했다.

K-Smart City 실증단지 조성계획

세종(도시 토탈 솔루션)

  1. 공공자전거, BRT 우선신호
  2. 스마트 주차 정보시스템
  3. 3D 지하매설물 공간정보, 스마트 가로등
  4. 스마트그리드(한전), 스마트워터그리드(수공)

동탄2구역(에너지/경제/일자리)

  1. 마이크로그리드(MG), 제로에너지 빌딩
  2. 스마트시티 R&D 단지 도입

판교(상업/문화/관광)

  1. 증강현실(AR), 공공Wi-Fi 도입
  2. 스마트 파킹, 스마트 가로등, BEMS, BIPV

평택고덕(안전/교통/범죄)

  1. 스마트 속도감지(DFS), 스마트 가로등/횡단보도
  2. 스마트 단속카메라, 스마트 교차로

2019년 대한민국의 스마트시티

2019년 9월 3일 국토교통부에서 부산과 세종을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라는 이름의 시범사업 시행 계획을 밝혔다. 규제샌드박스의 형태로 진행될 예정이다.[5]

세종

  1. 3D 카메라 센서를 활용한 모션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원격 스마트 재활치료 지원
  2. 시민의 건강상태를 상시 수집하고 진료 시 이를 활용한 맞춤형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모델 개발

부산

  1. 바이오센서 및 인공지능 대화 기능을 탑재한 의료보조 로봇개발
  2. 웨어러블 로봇기술 기반 스마트헬스케어 솔루션을 통한 건강관리 및 삶의 질 향상을 통한 고령사회의 예상문제 해소
  3. AI기반 병원용 자율주행 및 다기능 신체약자 이송로봇 규제샌드박스 실증사업
  1. 혈관측정 인공카메라 및 스크리닝 솔루션을 활용한 혈관질환예측 시스템 개발
  2. 인공지능 기반 개인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모델의 설계
  3. 데이터 기반 시니어 개인맞춤형 스마트헬스케어 플랫폼 구축
  4. AI 기반 개인 맞춤형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Home & Hospital 연계)[6]

세계 속의 스마트시티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이미 세계 곳곳에서 스마트시티는 현재 진행형이다.

  • 중국 항저우

중국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중국의 스마트시티 위상은 대단하다. 알리바바가 주도하는 항저우의 시티브레인(도시대뇌)프로젝트클라우드 컴퓨팅을 비롯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미래형 첨단도시 건설을 목표로 한다. 또한 항저우는 스마트 교통, 온라인 법원 시스템, 알리페이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와 같은 시스템 등을 구축해 스마트 시티를 구현하고 있다.[7]

  • 영국 런던

영국 런던의 경우 고질적인 도심 주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리적인 주차장 확층이 아닌 스마트 파킹(Smart Parking) 서비스[8]를 활용하고 있다. 단순 주차장 위치를 안내하는 것이 아닌 운전자가 적절한 주차 공간을 가장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실시간 주차 서비스이다. 이렇게 스마트 파킹은 물리적 자원(주차 공간)에 IT기술을 접목하여, 자원 활용을 최적화하여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 덴마크 코펜하겐

코펜하겐은 도시 전체를 실험실로 사용하는 '도시 리빙 랩'(Urban Living Lab)의 컵셉으로 데이터 수집에 대한 실험을 진행중이며, 정부가 직접 '코펜하겐 솔루션 랩'을 운영하면서, 에너지와 관련하여 에너지 블록(Energy Block)을 설정하고, 에너지 랩을 중심으로 스마트 에너지 솔루션을 진행중이다.

  • 일본 후지사와

후지사와 도시 내 기존 공장 부지를 재개발하여 에너지 중심의 스마트시티를 조성했다. 실제 가정용 에너지 관리시스템(HEMS·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전기차/전기자전거 공유 서비스 등을 구현하였다.

  • 스페인 바르셀로나

도시 전반의 활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시가 수집한 각 종 도시 데이터를 개방하여 민간의 창조적 서비스 개발을 유도하고자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했다. 이를 위해 'Barcelona Digital City 2017~2020 Plan'을 마련하여 플랫폼 등 데이터 공유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ICT기업 클러스터로 '22@Barcelona'를 조성하여 24개의 스마트 솔루션을 도시 곳곳에 구현하고 있다.

각주

  1. 스마트시티〉,《네이버 지식백과》
  2. O2O〉, 《네이버 지식백과》
  3. 한상목 씀 ,〈4차 산업혁명의 종합 플랫폼, 스마트시티〉, 2018-11-19
  4. LeeArchitecture, 〈[1] 세계에 주목받는 스마트시티의 정의 및 비전〉,《네이버 블로그》
  5. 김진구 기자,〈[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56337&REFERER=NP 또 원격의료?…국토부, 부산·세종서 시범사업 추진〉,《Daliypharm》
  6. 김진구 기자,〈[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56337&REFERER=NP 또 원격의료?…국토부, 부산·세종서 시범사업 추진〉,《Daliypharm》
  7. 0199캠퍼스,〈스마트 시티 항저우와 시티브레인(도시대뇌)〉,《네이버 블로그》
  8. 인터비즈,〈세계 곳곳서 태어나는 스마트시티...〉,《네이버 블로그》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스마트시티 문서는 사물인터넷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