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테이블 (데이터베이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34번째 줄: 34번째 줄:
 
== 키 ==
 
== 키 ==
 
=== 기본키 ===
 
=== 기본키 ===
 +
* 기본키(Primary Key, P.K) : 후보키 중에서 선택한 주키(Main Key)
 +
  한 릴레이션에서 특정 튜플을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속성
 +
  Null 값을 가질 수 없다.
 +
  기본키로 정의된 속성에는 동일한 값이 중복되어 저장될 수 없다.
 +
=== 후보키 ===
  
 
=== 외래키 ===
 
=== 외래키 ===
 +
 +
=== ===
  
 
{{각주}}
 
{{각주}}

2020년 8월 5일 (수) 14:20 판

테이블(table)은 행(row)과 열(column)로 구성된 데이터 집합(값)의 모임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개요

테이블(table)은 데이터베이스(database) 상 특정한 종류의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묶은 것이다.

구조

테이블은 기본적으로 행(row)과 열(column)으로 구성되어 있다.

  •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정의되는 행(row)
 레코드(record), 튜플(tuple) : 릴레이션이 나타내는 엔티티(entity)의 특정 인스턴스에 관한 사실(값)들의 모임이다. 공식적으로 튜플이라고 부른다.
 카디날리티(cardinality) : 릴레이션 튜플의 개수
  •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정의되는 열(column)
 속성(attribute, 애트리뷰트) : 하나의 릴레이션은 현실세계의 어떤 개체(entity)를 표현하고 저장되는 데 사용된다. 
 이때 개체는 사물이 될 수도, 추상적인 개념이 될 수도 있다.
 필드(field) : 종종 컬럼의 대용으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필드와 필드값은 한 열이나 한 컬럼 사이의 교차로 존재하는 단일 항목을 특정할 때 언급하는 
 것이다.
 차수(degree) : 한 릴레이션에 들어 있는 애트리뷰트의 수
  • 도메인(domain) :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있는 같은 타입의 원자값들의 집합
 1. 도메인은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있는 같은 타입의 원자값들의 집합이다.
 2. 도메인은 실제 애트리뷰트 값이 나타날 때 그 값의 합법 여부를 시스템이 검사하는데 이용된다.
  • 릴레이션 인스턴스(relation instance) : 데이터 개체를 구성하고 있는 속성들에 데이터 타입이 정의되어 구체적인 데이터 값을 갖고 있는 것을 말한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조
 image


세부항목

기본키

  • 기본키(Primary Key, P.K) : 후보키 중에서 선택한 주키(Main Key)
 한 릴레이션에서 특정 튜플을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속성
 Null 값을 가질 수 없다.
 기본키로 정의된 속성에는 동일한 값이 중복되어 저장될 수 없다.

후보키

외래키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문서는 프로그래밍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