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슈퍼컴퓨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6번째 줄: 6번째 줄:
  
 
한국의 경우 [[기상청]], [[대법원]],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등에 슈퍼컴퓨터가 도입되어 있다.
 
한국의 경우 [[기상청]], [[대법원]],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등에 슈퍼컴퓨터가 도입되어 있다.
 +
 +
==개요==
 +
 +
 +
 +
==역사==
 +
 +
 +
 +
 +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
==종류==
 +
===해외===
 +
===국내===
 +
==순위==
 +
==활용==
 +
===해외===
 +
===국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0년 8월 13일 (목) 10:47 판

슈퍼컴퓨터(supercomputer)란 일반 컴퓨터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대용량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를 말한다. 간략히 슈퍼컴(supercom)이라고도 한다.

슈퍼컴퓨터의 개념은 상대적인 것이라서 시대에 따라 기준이 다르다. 현재의 슈퍼컴퓨터는 테라플롭스(TeraFLOPS) 또는 페타플롭스(PetaFLOPS) 단위로 연산 처리 속도를 표시한다. 1 페타플롭스는 초당 연산 능력 1000조번에 이른다.

2020년 6월 기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는 일본의 후가쿠(富岳, Fugaku)로서 415.5 페타플롭스의 연산 속도를 가지고 있다. 이는 기존 세계 1위인 미국 테네시주 오크리지국립연구소의 아이비엠(IBM) 슈퍼컴 `서밋'(148.6 페타플롭스)보다 2.8배나 빠른 것이다.

한국의 경우 기상청, 대법원,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등에 슈퍼컴퓨터가 도입되어 있다.

개요

역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종류

해외

국내

순위

활용

해외

국내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슈퍼컴퓨터 문서는 컴퓨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