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틴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13번째 줄: 13번째 줄:
 
==문제점==
 
==문제점==
  
==썬팅의 법규 문제==
+
==법규 문제==
  
 
==필름의 종류==
 
==필름의 종류==

2021년 8월 20일 (금) 15:51 판

썬팅(Sunting)은 햇빛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유리창 겉면에 수지 따위의 얇은 막을 입히는 일이다.[1] 흔히, 자동차 유리(전면 유리, 1열 측면 유리, 2열 측면 유리)에 필름을 발라 태양빛을 차단하는 행위를 말한다.

개요

썬팅은 '썬 코팅'을 줄여 쓴듯 하지만 이 단어는 영어사전에 없다. 정확한 표현은 '윈도우 틴팅'(Window Tinting) '창에 색을 입히다'가 정확한 표현이며, 줄여서 '틴팅'이라고 읽는다.요즘에는 틴팅을 하지 않은 자동차를 찾는 것이 어려울정도로 거의 모든 차들이 틴팅이 되어 있다. [2]선팅목적은 자외선을 차단하고, 열을 차단하거나 눈부심 방지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 외 최근 반사필름, 카멜레온 색상 반사필름 등으로 차량 외관의 퍼포먼스적 효과를 위하여 시공하기도 한다. 이렇게 되면서 차량의 틴팅이 더욱 짙어지거나 밝기가 어두워지면서 많은 문제점이 생기기도 한다. 또한 썬팅을 더 짙고 어둡게할 수록 효율이 좋다는 오해가 있다.

목적

자외선차단

날이 더워 질수록 강해진 햇빛으로부터 가시광선이 유리로 투과되어 운전자가 노출되는 자외선 역시 강해지게 된다. 자외선은 사람에게 있어 피부손상 및 노화와 피부암을 유발시킬 수 있게되는데 차량을 썬팅해줌으로써 자외선으로부터 눈과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너무 싼 염색 필름을 제외한 상당수의 제품들이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반 썬팅을 하지않은 유리만으로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없기에 대부분 차량이 썬팅이 되어있다. [3]

적외선 차단

태양광에는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이 있는데 태양애너지 100%에서 자외선 3%, 가시광선 44%, 적외선 53%의 각각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선팅 필름은 태양빛을 일부 반사하거나 흡수하며, 흡수한 에너지는 다시 차량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여 복사열 형태로 방출하는데, 이를 모두 합쳐서 총태양에너지차단율(TSER)이라는 수치를 계산한다. 같은 가시광선 투과율(VLT)에서 TSER이 더 높은 제품이 좋은 필름이다.[4] 열차단이 많이 되는 제품은 적외선의 영역을 많이 차단해주는 제품이다. 기본필름은 자외선과 가시광선의 차단률은 높지만 적외선 영역의 차단율이 낮아서 적외선 영역까지 차단해주는 제품과 비교하면 열차단율이 낮다. 기본필름이 열차단율이 아예 없다는 뜻은 아니다. 기본필름이라 하더라도 가시광선 영역을 차단해주면 40%이상의 태양에너지 차단율을 만들기 때문에 열차단율은 최소한 40%이상은 나오게 된다.[5]

가시광선 차단

햇빛으로 인한 눈부심이나 야간에 다른 차량의 전조등으로 인한 눈부심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해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가시광선의 반사로 인하여 차량외부에서 실내를 보지 못하게 하려는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이로 인하여 프라이버시를 지키며 차량 내부를 잘 보이지 않게하여 도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6]본래에 운전자는 서로 보이는 상태에서 다른 운전자들과 소통하는 것이 원활한 교통환경에 적합하기 때문에 최소한 1열에 한해서는 밝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4]

유리파손시 비산방지

순수한 강화유리의 경우, 충격이 발생했을때 썬팅 필름이 깨진 강화유리를 어느 정도는 잡아줄 수 있다. 다만 필름이 깨진 유리를 완전히 잡아줄 만큼의 내구도를 갖추지는 않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힘이 가해진 부분은 필름이 찢어지고 구멍이 뚫리면서 그쪽 부분에서 유리파편이 휘날릴 수 있다. 어디까지나 유리 흩날림을 완화시켜줄 뿐 완벽하게 차단하지는 못한다. 특히 전면유리에 주로 사용하는 이중접합유리의 경우 두 장의 유리 사이에 충격으로 인한 깨짐 발생시 흩날림을 막는 별도의 특수 필름이 내장되 있기 때문에, 썬팅 필름을 붙이면 이 설계에 영향을 주어 안 붙인것만 못한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4]

문제점

법규 문제

필름의 종류

관리

각주

  1. 잡식성삐삐, 〈자동차 썬팅(틴팅), 어디까지 알고 있니? 썬팅에 대하여!〉, 《티스토리》, 2019-04-16
  2. 이럴 때 꿀팁, 〈누구나 하는 썬팅(틴팅), 아무렇게나 하지 마세요!〉, 《금호타이어》, 2016-09-23
  3. 치치포카, 〈[1]〉, 《출처》, 2019-11-07
  4. 4.0 4.1 4.2 선팅〉, 《나무위키》
  5. 루마썬팅, 〈자동차 썬팅 싸다고 진짜 열차단이 안될까?〉, 《네이버포스트》, 2019-02-12
  6. trex2802, 〈자동차 썬팅 꼭 해야 하나?알아두면 좋은 자동차 썬팅 상식 5가지.〉, 《티스토리》, 2018-01-19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틴팅 문서는 데이터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