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마이크로컴퓨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마이크로컴퓨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중앙 처리 장치]]로 사용하는 [[컴퓨터]]를 가리킨다. 물리적으로 메인 프레임과 [[미니컴퓨터]]에 견주어 작은 편이다. 수많은 마이크로컴퓨터들 또한 개인용 컴퓨터라고 할 수 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C%9D%B4%ED%81%AC%EB%A1%9C%EC%BB%B4%ED%93%A8%ED%84%B0 마이크로컴퓨터]〉, 《위키백과》 </ref>
 
 
[[파일:마이크로 컴퓨터.png|오른쪽|썸네일|200픽셀|'''마이크로 컴퓨터''']]
 
[[파일:마이크로 컴퓨터.png|오른쪽|썸네일|200픽셀|'''마이크로 컴퓨터''']]
 +
 +
'''마이크로컴퓨터'''<!--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micro computer-->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중앙처리장치]](CPU)로 사용하는 [[컴퓨터]]를 가리킨다. '''마이컴'''이라고도 한다. 물리적으로 [[메인프레임]]과 [[미니컴퓨터]]에 견주어 작은 편이다. 수많은 마이크로컴퓨터 또한 [[개인용 컴퓨터]](PC)라고 할 수 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C%9D%B4%ED%81%AC%EB%A1%9C%EC%BB%B4%ED%93%A8%ED%84%B0 마이크로컴퓨터]〉, 《위키백과》 </ref>
 +
 
==개요==
 
==개요==
마이크로컴퓨터란 중앙처리장치(CPU)를 1개의 LSI(고밀도 집적회로) 칩에 접전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만든 초소형 컴퓨터. 약칭으로 마이 컴이라고도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원칩 CPU라고도 하며, 이와 같은 LSI 소자는 대량생산되어 값이 싸므로 가전제품, 승용차, 계측기 등의 기기나 개인용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인텔리전트 단말기 등의 심장부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최초로 등장한 것은 1971년 미국의 인텔사가 개발한 4004형 소자이다. 이것은 한 번에 취급되는 데이터의 폭이 겨우 4비트에 불과한 간단한 것이고 1개의 LSI에 집적된 트랜지스터 수는 2700개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 후 집적도가 향상되어 한 번에 8비트의 데이터가 처리되는 Z-80(트랜지스터 8400개)이 등장했다. 여기서 주목되는 소자는 원칩 마이 컴이라고 하는 인텔사의 8048(트랜지스터 수 12400개)과 같은 LSI이다. 이런 소자는 간단한 중앙처리장치 외에 프로그램을 넣는 전용 기억장치, 가변 데이터를 넣는 기억 자이, 외부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입출력 회로까지 모두 1개의 LSI 내에 들어가게 되어 있다. 현재의 범용 소형컴퓨터 중 8비트 형에서는 Z 80, 16비트 형에서는 인텔사의 8086(트랜지스터 수 29000개), 모트롤 라사의 68000(트랜지스터 수 75000개) 등 그와 동등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ref> 〈[https://www.scienceall.com/%eb%a7%88%ec%9d%b4%ed%81%ac%eb%a1%9c%ec%bb%b4%ed%93%a8%ed%84%b0microcomputer/ 마이크로컴퓨터]〉, 《사이언스올》 </ref>
+
마이크로컴퓨터는 하나의 칩 속에 중앙처리장치가 들어 있는 것으로, 1971년 인텔에서 처음으로 개발하였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 LSI(large scale integration)에 의한 연산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을 부가한 컴퓨터로, 개인용 컴퓨터나 산업용 [[로봇]], [[자동차]] [[엔진]], 가정용 기기 등에서 [[제어장치]]로 이용되고 있다. 집적기술의 발달로 [[CPU]], [[메모리]], [[입출력]] 제어의 각 부를 1개의 집적회로 위에 형성할 있는데, 이것을 특히 원 칩(one chip) 마이크로컴퓨터라고 한다.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시스템은 수많은 논리소자의 역할을 1개의 마이크로컴퓨터 칩으로 대치시킴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품의 수가 줄어들므로 고장이 발생할 확률도 감소하며, 초기의 간단한 논리회로나 아날로그 회로를 이용한 시스템보다 훨씬 더 유연성이 있다.
 +
 
 
==역사==
 
==역사==
* 1984년 [[트랜지스터]]발명된 이래 반도체 집적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여 진공관에 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소비전력이 적은 능동소자를 작은 영역인 안에 집적시키는 기술이 비약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ref name="교보문고">  〈[http://report.kyobobook.co.kr/view/2003/2406953/#:~:text=%EC%B5%9C%EC%B4%88%EC%9D%98%20%EB%A7%88%EC%9D%B4%ED%81%AC%EB%A1%9C%20%ED%94%84%EB%A1%9C%EC%84%B8%EC%84%9C%20%28micro%20process%29%EB%8A%94%201971%EB%85%84,%EB%AF%B8%EA%B5%AD%EC%9D%98%20%EB%B0%98%EB%8F%84%EC%B2%B4%20%ED%9A%8C%EC%82%AC%EC%9D%B8%20%EC%9D%B8%ED%85%94%20%28Intel%29%E7%A4%BE%EC%97%90%EC%84%9C%20%EB%B0%9C%ED%91%9C%ED%95%9C%204004%EC%98%80%EB%8B%A4. 마이크로컴퓨터에대하여]〉, 《교보문고》 </ref>
+
1960년, 마이크로컴퓨터란 용어가 등장했던 당시에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는 대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아니었다. 당시 대세는 집적회로가 아닌 분리형 회로(discrete circuit)에 수많은 트랜지스터, 또는 심지어 진공관들로 이루어진 논리 게이트들과 마그네틱 코어 메모리를 탑재된 덩치 큰 컴퓨터들이었으며, 이런 컴퓨터는 그 본체를 구성하는 커다란 프레임의 명칭인 메인프레임, 또는 크기를 대폭 축소한 간이 메인프레임인 미니컴퓨터 등으로 불리웠다. 오늘날에는 모든 컴퓨터에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탑재되므로 컴퓨터 'CPU =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당연하게 여겨지지만, 초창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성능과 신뢰성 면에서 트랜지스터 기반 분리형 회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에 뒤떨어지는 물건 취급을 받았다.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는 본격적인 컴퓨터가 아니라 보급형, 염가형 취급이었으며 제대로 된 메인프레임이나 미니컴퓨터를 들여놓을 돈이 없는 기업이나 연구실에서 쓰는 컴퓨터로 인식되곤 했다. 1960년, 마이크로컴퓨터란 용어가 등장했던 당시에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는 대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아니었다. 당시 대세는 집적회로가 아닌 분리형 회로(discrete circuit)에 수많은 트랜지스터, 또는 심지어 진공관들로 이루어진 논리 게이트들과 마그네틱 코어 메모리를 탑재된 덩치 큰 컴퓨터들이었으며, 이런 컴퓨터는 그 본체를 구성하는 커다란 프레임의 명칭인 메인프레임, 또는 크기를 대폭 축소한 간이 메인프레임인 미니컴퓨터 등으로 불리웠다. 오늘날에는 모든 컴퓨터에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탑재되므로 컴퓨터 'CPU = 마이크로프로세서'당연하게 여겨지지만, 초창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성능과 신뢰성 면에서 트랜지스터 기반 분리형 회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에 뒤떨어지는 물건 취급을 받았다.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는 본격적인 컴퓨터가 아니라 보급형, 염가형 취급이었으며 제대로 된 메인프레임이나 미니컴퓨터를 들여놓을 돈이 없는 기업이나 연구실에서 쓰는 컴퓨터로 인식되곤 했다. 1960년대 중반부터는 반도체 제작 기술이 발전하여 한 개의 집적회로인 실리콘 칩 사이에 20~100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한 소규모 집적회로가 만들어졌으며, 1000여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할 수 있는 중간 규모 집적회로와 5MM의 상에 1만 개 이상 트랜지스터를 집적할 수 있는 대규모 집적회로를 만들 수 있는 기술로 발전되었다.<ref name="교보문고">  〈[http://report.kyobobook.co.kr/view/2003/2406953/#:~:text=%EC%B5%9C%EC%B4%88%EC%9D%98%20%EB%A7%88%EC%9D%B4%ED%81%AC%EB%A1%9C%20%ED%94%84%EB%A1%9C%EC%84%B8%EC%84%9C%20%28micro%20process%29%EB%8A%94%201971%EB%85%84,%EB%AF%B8%EA%B5%AD%EC%9D%98%20%EB%B0%98%EB%8F%84%EC%B2%B4%20%ED%9A%8C%EC%82%AC%EC%9D%B8%20%EC%9D%B8%ED%85%94%20%28Intel%29%E7%A4%BE%EC%97%90%EC%84%9C%20%EB%B0%9C%ED%91%9C%ED%95%9C%204004%EC%98%80%EB%8B%A4. 마이크로컴퓨터에대하여]〉, 《교보문고》 </ref> 이때부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덕분에 큰 인기를 끌었으며, 1970년대는 마이크로컴퓨터의 시대라 할 있을 정도로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마이크로프로세서용 [[소프트웨어]]를 전문으로 개발하는 회사들도 많이 만들어졌으며, [[썬 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등 회사명에 “마이크로”가 들어간 기업들이 창업된 것도 시기이다. 이처럼 마이크로컴퓨터와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높은 인기를 끌자 관련 기술에 대한 투자도 활발해졌으며, 텍사스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인텔(Intel), 모토로라(Motorola) 등의 유명 회사들도 진공관, 트랜지스터 기반 제품에서 집적회로 칩, 즉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제품으로 주력 사업을 변경하기에 이른다. 최초의 마이크로컴퓨터는, 1971년에 인텔이 개발한 MCS-4라는 탁상 계산기용의 중앙전산처리장치(CPU)로서 사용되고 있던 4004를 사용한 4비트 컴퓨터였다. 점차 마이크로컴퓨터가 대중화되고 가격이 저렴해지자 아예 개인이 혼자 사용하는 1인용 마이크로컴퓨터 제품까지 등장하는데 이것이 개인용 컴퓨터(PC)다. PC는 1970년대 말에 등장해 1980년대를 주름잡은 대 히트 상품이었으며, 컴퓨터 사용자 저변인구를 기하급수적으로 확장시키며 인터넷의 보급을 비롯해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여명을 연 일등 공신이기도 하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마이크로컴퓨터라는 용어는 종종 사용되었으며, 영국의 PC였던 BBC 마이크로, 미국 컴퓨터 게임 제작사인 마이크로프로즈, 일본식 신조어인 마이콘 등 1980년대의 물건과 말에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허나 [[IBM]]의 PC인 5150의 제품명인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가 큰 인기를 끌면서, 마이크로컴퓨터라는 용어는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고 그 자리를 퍼스널 컴퓨터란 용어가 차지하게 된다. 엄밀히 말하면 마이크로컴퓨터와 PC는 동시 사용자가 몇 명이냐는 차이가 있다. PC는 한 번에 한 명의 사용자만이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컴퓨터지만, 마이크로컴퓨터는 터미널을 연결해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타임 셰어링(시분할) 방식으로 이용할 수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마이크로컴퓨터용 [[운영체제]]인 [[제닉스]](Xenix)는 [[유닉스]]의 일종으로 시분할 처리 방식의 운영체제였다. 하지만 PC의 인기가 급상승하며 마이크로컴퓨터는 점점 설 자리를 잃게 된다. 물론 상술한 대로 오늘날엔 모든 컴퓨터가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중앙처리장치를 갖고 있으므로 마이크로컴퓨터의 원래 정의를 그대로 이용할 수는 없게 되었으며, 주로 아주 작은 소형 컴퓨터를 마이크로컴퓨터라 부르곤 한다. 허나 이젠 마이크로컴퓨터라는 용어 자체를 거의 안 쓴다.<ref name="나무">〈[https://namu.wiki/w/%EB%A7%88%EC%9D%B4%ED%81%AC%EB%A1%9C%EC%BB%B4%ED%93%A8%ED%84%B0 마이크로컴퓨터]〉, 《나무위키》</ref>
* 1960년대 중반부터는 반도체 제작 기술이 발전하여 한 개의 집적회로인 실리콘 칩 사이에 20~100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한 소규모 집적회로가 만들어졌으며, 1000여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할 있는 중간 규모 집적회로와 5MM의 칩 상에 1만 개 이상 트랜지스터를 집적할 수 있는 대규모 집적회로를 만들 수 있는 기술로 발전되었다.<ref name="교보문고"></ref>
 
* 1973년 [[인텔사]]의 8080 아키텍처는 8008과 매우 다르지만 새로운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로 8008의 소프트웨어와 호환성이 있으며 새로운 마이크로프로세서에는 기존 명령 48개에다 새로운 명령 30개를 추가하여 제2세대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탄생되었다.<ref name="교보문고"></ref>
 
* 그 후 모토로라에서 개발한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디바이스 패밀리가 있고, 프로세서에 쉽게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모두가 단일 5V 전원을 사용하는 MC 6800 과 내쇼날 세미컨덕터사의 6809가 개발되어 발표되었으며, 인텔사에서도 8080A를 개량한 8085가 발표되었다 또 8080A의 기능과 완전 호환성이 있으며 단점을 보강하고, 새롭게 명령을 78개나 추가하여 명령어 수가 총 158개인 ZILOG 사의 Z-80이 발표되었다.<ref name="교보문고"></ref>
 
==개발 시스템==
 
하드웨어를 조정하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며 오류를 보정하기 위한 장치. 마이크로컴퓨터의 설계와 개발에 필요한 요구를 충족시킨다. 프로그램들을 구성하며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 기억 장치, 입출력 보조 시스템과 자동 오류 보정 작동을 모방할 수 있다. 또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 개발 주기를 매우 빠르게 한다. 하드웨어를 개발할 때 그 기능을 소프트웨어 모방을 통하여 쉽게 설계하고 결함을 수정하도록 고안되었다. 따라서 하드웨어를 개발할 때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반복해서 하드웨어를 재구성하여 테스트할 필요 없이 사용자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기능을 쉽게 설계하고 테스트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 시간을 많이 단축할 수 있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45672&cid=42346&categoryId=42346 마이크로컴퓨터 개발 시스템], 《네이버 지식백과》 </ref>
 
===개발 하드웨어===
 
마이크로컴퓨터 개발 하드웨어는 제품 설계 주기를 단순하게 하기 위하여 설계된 것으로, 내재하는 온라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오류 수정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보조 기능은 물론 인터페이스나 관련된 하드웨어의 검사를 위한 기능도 제공한다. 주변 기기 인터페이스는 전신 타자기, 고속 종이테이프 장치, 자기테이프 카세트를 갖춘 직렬 라인 프린터가 있다. 또한 이 시스템의 기판 단위 모듈은 마이크로컴퓨터, 기억 장치, 입출력 모듈로부터 범용 배열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29296&cid=42344&categoryId=42344 마이크로컴퓨터 개발 하드웨어]〉, 《네이버 지식백과》 </ref>
 
===개발용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어떤 일을 처리하려면 미리 그 처리 내용을 정확하게 한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읽기용 기억장치(ROM) 또는 프로그램 가능 읽기용 기억 장치(PROM)에 기억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각 메이커가 부여하는 각종 개발용 지원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를 말한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18356&cid=50372&categoryId=50372 마이크로컴퓨터 개발 소프트웨어]〉, 《네이버 지식백과》 </ref>
 
===타이밍===
 
설계자가 각 명령 스텝을 수행해 주는 계획을 작성하는 데는 비동기 논리와 동기 논리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비동기 논리에서는 모든 명령의 각 스텝이 다음의 적당한 스텝을 발생시키는 자체 논리 순서를 가지고 있다. 단 호출 명령 순서는 모든 명령에 공통된다. 비동기 논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중요한 제약점이 있다.<ref name="타이밍">〈[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29316&cid=42344&categoryId=42344 마이크로컴퓨터 타이밍]〉, 《네이버 지식백과》 </ref>
 
#CPU 논리를 더욱 복잡하게 한다.<ref name="타이밍"></ref>
 
#CPU를 외부 논리 모듈에 접했을 때 양쪽이 서로 모순되는 타이밍 요청을 하는 경우 상당한 문제점이 생긴다는 것이다. 동기 회로는 값싸고 설계하기 쉽다. 이것은 클록 신호 각 펄스의 한끝에 동작을 발생시키게 되어 있으며, 각 클록 펄스는 고정된 시간 간격을 가지고 있다.<ref name="타이밍"></ref>  
 
  
 
==특징==
 
==특징==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는 논리 소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2진수로 동작하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을 규정하는 프로그램도 2진수로 줄 필요가 있다. 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2진수의 언어를 기계어라 한다. 그러나, 기계어는 2진수의 나열이며, 인간으로서는 대단히 읽기 어려운 언어이다. 이 때문에 보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에는 인간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프로그램을 기술하고, 마이크로컴퓨터에 줄 때에 기계어로 변환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프로그램 언어에는 그 진화의 정도에 따라 크게 나누어, 어셈블리 언어와 고급 언어가 있다.<ref name="바람마개"> 안그래여, 〈[https://blog.naver.com/PostView.nhn?isHttpsRedirect=true&blogId=gujam1ri&logNo=80001573070&jumpingVid=&widgetTypeCall=true#:~:text=CPU%2C%20%EB%A9%94%EB%AA%A8%EB%A6%AC%2C%20%EC%9E%85%2F%EC%B6%9C%EB%A0%A5%EC%9D%84%201%20%EA%B0%9C%EC%9D%98%20LSI%20%28%EC%B9%A9%EC%9D%B4%EB%9D%BC%EA%B3%A0%EB%8F%84%20%ED%95%9C%EB%8B%A4%29%EB%A1%9C,2%20%EC%A7%84%EC%88%98%EC%9D%98%20%EB%82%98%EC%97%B4%EC%9D%B4%EB%A9%B0%2C%20%EC%9D%B8%EA%B0%84%EC%9C%BC%EB%A1%9C%EC%84%9C%EB%8A%94%20%EB%8C%80%EB%8B%A8%ED%9E%88%20%EC%9D%BD%EA%B8%B0%20%EC%96%B4%EB%A0%A4%EC%9A%B4%20%EC%96%B8%EC%96%B4%EC%9D%B4%EB%8B%A4. 마이크로컴퓨터란?]〉, 《네이버 블로그》, 2004-04-03 </ref>
+
===언어===
===어셈블리 언어===
+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는 논리 소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2진수]]로 동작하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을 규정하는 프로그램도 2진수로 줄 필요가 있다. 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2진수의 언어를 [[기계어]]라 한다. 그러나, 기계어는 2진수의 나열이며, 인간으로서는 대단히 읽기 어려운 언어이다. 이 때문에 보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에는 인간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프로그램을 기술하고, 마이크로컴퓨터에 줄 때에 기계어로 변환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ref name="바람마개"> 안그래여, 〈[https://blog.naver.com/PostView.nhn?isHttpsRedirect=true&blogId=gujam1ri&logNo=80001573070&jumpingVid=&widgetTypeCall=true#:~:text=CPU%2C%20%EB%A9%94%EB%AA%A8%EB%A6%AC%2C%20%EC%9E%85%2F%EC%B6%9C%EB%A0%A5%EC%9D%84%201%20%EA%B0%9C%EC%9D%98%20LSI%20%28%EC%B9%A9%EC%9D%B4%EB%9D%BC%EA%B3%A0%EB%8F%84%20%ED%95%9C%EB%8B%A4%29%EB%A1%9C,2%20%EC%A7%84%EC%88%98%EC%9D%98%20%EB%82%98%EC%97%B4%EC%9D%B4%EB%A9%B0%2C%20%EC%9D%B8%EA%B0%84%EC%9C%BC%EB%A1%9C%EC%84%9C%EB%8A%94%20%EB%8C%80%EB%8B%A8%ED%9E%88%20%EC%9D%BD%EA%B8%B0%20%EC%96%B4%EB%A0%A4%EC%9A%B4%20%EC%96%B8%EC%96%B4%EC%9D%B4%EB%8B%A4. 마이크로컴퓨터란?]〉, 《네이버 블로그》, 2004-04-03 </ref>
어셈블리 언어는 니모닉이라고 하는 기계어와 1 대 1에 대응한 코드로 기술되는 언어이다. 기계어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어셈블러라고 한다. 어셈블러에는 생성된 기계어가 메모리의 주소에 절대적으로 할당되는 절대적 어셈블러와 메모리의 임의의 주소에 재배치 가능한 기계어를 출력하는 리로케이터블 어셈블러가 있다.<ref name="바람마개"></ref>  
+
* '''[[어셈블리언어]]''' : [[니모닉]]이라고 하는 기계어와 1대 1에 대응한 코드로 기술되는 언어이다. 기계어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어셈블러라고 한다. 어셈블러에는 생성된 기계어가 메모리의 주소에 절대적으로 할당되는 절대적 어셈블러와 메모리의 임의의 주소에 재배치 가능한 기계어를 출력하는 리로케이터블 어셈블러가 있다.<ref name="바람마개"></ref>  
===고급언어===
+
* '''[[고급언어]]''' : [[C언어]], [[포트란]](FORTRAN), [[베이직]](BASIC) 등으로 대표되는 고급언어는 어셈블리 언어와 비교하면, 인간의 말에 가깝기 때문에 프로그램 개발이 쉬우며, 기종의 다른 마이크로컴퓨터에도 이식이 가능하다. 기계어의 변환에 사용하는 컴파일러는 어셈블러와는 다르며, 하나의 소스 스테이트먼트를 여러 개의 기계어로 변환한다. 그 때문에 변환할 때에는 프로그램의 메모리 효율에 장황도가 나온다.<ref name="바람마개"></ref>
고급언어인 [[C언어]], FORTRAN, BASIC 등으로 대표되는 고급언어는 어셈블리 언어와 비교하면, 인간의 말에 가깝기 때문에 프로그램 개발이 쉬우며, 기종의 다른 마이크로컴퓨터에도 이식이 가능하다. 기계어의 변환에 사용하는 컴파일러는 어셈블러와는 다르며, 하나의 소스 스테이트먼트를 여러 개의 기계어로 변환한다. 그 때문에 변환할 때에는 프로그램의 메모리 효율에 장황도가 나온다.<ref name="바람마개"></ref>
 
==분류==
 
마이크로컴퓨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억장치 RAM 및 ROM, 입출력 장치가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다.<ref> 현경, 〈[https://queenspark1231.tistory.com/2 마이크로컴퓨터 종류 정의 응용제어]〉, 《티스토리》, 2019-04-24 </ref>
 
===마이크로프로세서===
 
[[파일:인텔 4004 마이크로프로세서.png|오른쪽|썸네일|200픽셀|'''인텔 4004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2가지 형태로 나뉜다. 하나는 CPU 형 마이크로프로세서 또 다른 하나는 단일 칩 마이크로컴퓨터이다. CPU 형 마이크로프로세서는 CPU 기능 대부분을 칩 하나에 집적하고, CPU 형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중심으로 ROM, RAM, 입출력장치 등을 추가하여 마이크로컴퓨터를 구성할 수 있다. 단일 칩 마이크로컴퓨터는 마이크로컴퓨터에 들어가는 모든 부품들을 하나의 반도체 칩에 집적한 것이다. 연산용과 제어용으로 분류하며, 제어용 단일 칩 마이크로컴퓨터를 마이크로 컨트롤러라고 하고 8051, AVR, PIC 등이 있다.<ref name="오잉"> Oo, 〈[https://m.blog.naver.com/dustmd0815/220807532921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개요]〉, 《네이버 블로그》, 2016-09-08 </ref>
 
===인텔의 8051 계열===
 
*내부 데이터 RAM 128바이트
 
*내장 특수 기능 레지스터 128바이트
 
*내부 프로그램 메모리 4K 바이트
 
*외부 확장 프로그램 메모리 60K 바이트
 
*외부 프로그램 메모리 4K 바이트<ref name="오잉"></ref>
 
===마이크로칩의 PIC 계열===
 
*RISC 방식의 8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
 
*속도, 내부 메모리 용량, 내장 디바이스 특성에 따라 PIC12, PIC14, PIC16, PIC17, PIC18 계열이 있다.
 
*동작 전원 범위가 넓고, 소비 전류는 수 mA 이하며, 파워 ON Reset과 원 칩 타이머, ROM 등을 내장하고 있어 소형 제품을 만드는데 적합하다.<ref name="오잉"></ref>
 
===아트멜의 AVR 계열===
 
* ATiny, AT90S, ATmega 계열이 있다.
 
* 동작 전원 범위가 넓고,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플래시 [[메모리]]와 데이터를 저장할 EEPROM, SRAM 등 다양한 내부 메모리를 제공한다.
 
*모든 계열이 ROM writer와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 PC에서 AVR의 내부 [[플래시 메모리]]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ISP 기능을 갖추고 있다.<ref name="오잉"></ref>
 
==종류==
 
마이크로컴퓨터의 종류로는 슈퍼 마이크로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팝탑 컴퓨터가 있다.<ref> newind2000, 〈[https://newind2000.tistory.com/9#:~:text=%EB%A7%88%EC%9D%B4%ED%81%AC%EB%A1%9C%20%EC%BB%B4%ED%93%A8%ED%84%B0%EC%9D%98%20%EC%A2%85%EB%A5%98%20-%20%EC%8A%88%ED%8D%BC%20%EB%A7%88%EC%9D%B4%ED%81%AC%EB%A1%9C%20%EC%BB%B4%ED%93%A8%ED%84%B0%20%28Super,%EB%85%B8%ED%8A%B8%EB%B6%81%20%EC%BB%B4%ED%93%A8%ED%84%B0%20%28notebook%20computer%29%2C%20%ED%8C%9C%ED%83%91%20%EC%BB%B4%ED%93%A8%ED%84%B0%20%28palm%20computer%29 마이크로 컴퓨터와 ADC & DAC]〉, 《티스토리》, 2015-02-02 </ref>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
 
구동 시기를 기준으로 일반적인 컴퓨터에 비해 월등한 연산 능력을 보유한 컴퓨터이다. 시기가 중요한 이유는 시대에 따라 컴퓨터의 연산력은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컴퓨터 분야의 연산량의 증가 속도가 매우 빠른지라 10년 전 세계 최고 수준의 컴퓨터라도 현재에는 ‘[[슈퍼컴퓨터]]’라는 칭호를 붙여주기도 아까운 경우가 대부분이다.<ref> 〈[https://namu.wiki/w/%EC%8A%88%ED%8D%BC%EC%BB%B4%ED%93%A8%ED%84%B0 슈퍼컴퓨터]〉, 《나무위키》 </ref>
 
===데스크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는 책상이나 테이블 등 정해진 위치에서 사용하기 위해 디자인된 컴퓨터이다. 사이즈가 크지만 게임용 PC 등 고사양의 컴퓨터에 필요한 넉넉한 전원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노트북 컴퓨터, PDA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와 구별된다. 데스크톱 컴퓨터들은 또한 마이크로컴퓨터라고도 알려져 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8D%B0%EC%8A%A4%ED%81%AC%ED%86%B1_%EC%BB%B4%ED%93%A8%ED%84%B0 데스크톱 컴퓨터]〉, 《위키백과》 </ref>
 
===휴대형 랩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는 개인용 컴퓨터를 휴대할 수 있도록 작은 크기로 제작한 컴퓨터이다.
 
현재는 15인치 이상의 랩톱도 출시된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9E%A9%ED%86%B1_%EC%BB%B4%ED%93%A8%ED%84%B0 랩톱 컴퓨터]〉, 《위키백과》 </ref>
 
===팜탑 컴퓨터===
 
팜탑 컴퓨터는 소형인 PDA나 컴퓨터 기종 중 키보드와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것을 이르는 말이다. 데스크톱이 책상 위에 놓을 수 있는 폼팩터의 컴퓨터이고, 랩톱이 무릎 위에 놓을 수 있는 수준이라면 팜탑은 손바닥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컴퓨터이다.<ref> 〈[https://namu.wiki/w/%ED%8C%9C%ED%86%B1%20%EC%BB%B4%ED%93%A8%ED%84%B0 팜톱 컴퓨터]〉, 《위키백과》 </ref>
 
==구성==
 
[[파일: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png|오른쪽|썸네일|200픽셀|'''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성''']]
 
마이크로컴퓨터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부품. 마이크로컴퓨터는 몇 개의 대규모 집적 회로 칩으로 된 작은 디지털 컴퓨터이다. 중앙 처리 장치(CPU)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LSI 소자로 되어 있으며, 그 밖에 프로그램과 자료를 위한 읽기용 기억 장치(ROM), 클럭 회로, 입출력 접속 장치, 선별 레지스터, 제어 회로 등이 필요하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48094&cid=50371&categoryId=50371 마이크로컴퓨터 구성요소]〉, 《네이버 지식백과》 </ref> 마이크로컴퓨터는 연산이나 조건 판단을 마이크로프로세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 센서나 스위치 입력이나 모터 구동을 담당하는 입출력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우리가 흔히 쓰는 PC도 입출력장치가 다양할 뿐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다.<ref name="CUE"> CUE, 〈[http://ngkgood.egloos.com/1014350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조 & 8051]〉, 《이글루》, 2011-10-23 </ref>
 
  
 +
===구조===
 +
마이크로컴퓨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억장치 [[램]](RAM) 및 [[롬]](ROM), 입출력 장치가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다.<ref> 현경, 〈[https://queenspark1231.tistory.com/2 마이크로컴퓨터 종류 정의 응용제어]〉, 《티스토리》, 2019-04-24 </ref> 마이크로컴퓨터는 몇 개의 대규모 집적 회로 칩으로 된 작은 디지털컴퓨터이다. 마이크로컴퓨터는 연산이나 조건 판단을 마이크로프로세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 [[센서]]나 [[스위치]] 입력이나 [[모터]] 구동을 담당하는 입출력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ref name="CUE"> CUE, 〈[http://ngkgood.egloos.com/1014350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조 & 8051]〉, 《이글루》, 2011-10-23</ref> [[중앙처리장치]](CPU)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LSI 소자로 되어 있으며, 그 밖에 프로그램과 자료를 위한 읽기용 기억 장치, 클럭 회로, 입출력 접속 장치, 선별 레지스터, 제어 회로 등이 필요하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48094&cid=50371&categoryId=50371 마이크로컴퓨터 구성요소]〉, 《네이버 지식백과》 </ref> 마이크로컴퓨터 구조는 한번 실행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슬라이스의 크기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 셀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트]] 수(8비트, 16비트, 32비트 등)로 나누어진다. 마이크로컴퓨터 구조는 정의된 비트 수가 많을수록 전체 명령을 수행하는 속도가 빠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컴퓨터 구조에는 사용 가능한 레지스터의 개수, 사용방법, 하드웨어 인터럽트 구조, 기억 장치로의 자료 통로, 중앙 처리 장치로의 자료 통로 등이 포함되어 있다. 대부분의 구조는 중앙 처리 장치 위주, 기억 장치 위주, 비트 슬라이스 등으로 구분된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29285&cid=42344&categoryId=42344 마이크로컴퓨터 구조]〉, 《네이버 지식백과》 </ref>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외부와 어드레스, 데이터, 컨트롤 버스와 의사소통을 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와 마이크로컴퓨터의 전체 동작을 동기화 시키기 위해 시간 기준이 필요한데 수정 발진자 등으로 기준 클록을 넣어준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는 명령을 해독하는 부분, 수치 연산을 행하는 부분, 버스를 제어하는 부분 등이 있다.<ref name="CUE"></ref>
  
 +
===종류===
 +
마이크로컴퓨터의 종류로는 슈퍼 마이크로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팝탑 컴퓨터가 있다.<ref> newind2000, 〈[https://newind2000.tistory.com/9#:~:text=%EB%A7%88%EC%9D%B4%ED%81%AC%EB%A1%9C%20%EC%BB%B4%ED%93%A8%ED%84%B0%EC%9D%98%20%EC%A2%85%EB%A5%98%20-%20%EC%8A%88%ED%8D%BC%20%EB%A7%88%EC%9D%B4%ED%81%AC%EB%A1%9C%20%EC%BB%B4%ED%93%A8%ED%84%B0%20%28Super,%EB%85%B8%ED%8A%B8%EB%B6%81%20%EC%BB%B4%ED%93%A8%ED%84%B0%20%28notebook%20computer%29%2C%20%ED%8C%9C%ED%83%91%20%EC%BB%B4%ED%93%A8%ED%84%B0%20%28palm%20computer%29 마이크로 컴퓨터와 ADC & DAC]〉, 《티스토리》, 2015-02-02 </ref>
 +
* '''슈퍼 마이크로컴퓨터''' : 구동 시기를 기준으로 일반적인 컴퓨터에 비해 월등한 연산 능력을 보유한 컴퓨터이다. 시기가 중요한 이유는 시대에 따라 컴퓨터의 연산력은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컴퓨터 분야의 연산량의 증가 속도가 매우 빠른지라 10년 전 세계 최고 수준의 컴퓨터라도 현재에는 [[슈퍼컴퓨터]]라고 부르기에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ref> 〈[https://namu.wiki/w/%EC%8A%88%ED%8D%BC%EC%BB%B4%ED%93%A8%ED%84%B0 슈퍼컴퓨터]〉, 《나무위키》 </ref>
 +
* '''데스크톱컴퓨터''' : 책상이나 테이블 등 정해진 위치에서 사용하기 위해 디자인된 컴퓨터이다. 사이즈가 크지만 게임용 PC 등 고사양의 컴퓨터에 필요한 넉넉한 전원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노트북 컴퓨터, PDA와 같은 PC와 구별된다. 데스크톱 컴퓨터들은 또한 마이크로컴퓨터라고도 알려져 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8D%B0%EC%8A%A4%ED%81%AC%ED%86%B1_%EC%BB%B4%ED%93%A8%ED%84%B0 데스크톱 컴퓨터]〉, 《위키백과》 </ref>
 +
* '''휴대형 랩톱컴퓨터''' : 랩톱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는 개인용 컴퓨터를 휴대할 수 있도록 작은 크기로 제작한 컴퓨터이다. 현재는 15인치 이상의 랩톱도 출시된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EB%9E%A9%ED%86%B1_%EC%BB%B4%ED%93%A8%ED%84%B0 랩톱 컴퓨터]〉, 《위키백과》 </ref>
 +
* '''팜탑컴퓨터''' : 소형인 PDA나 컴퓨터 기종 중 키보드와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것을 이르는 말이다. 데스크톱이 책상 위에 놓을 수 있는 폼팩터의 컴퓨터이고, 랩톱이 무릎 위에 놓을 수 있는 수준이라면 팜탑은 손바닥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컴퓨터이다.<ref> 〈[https://namu.wiki/w/%ED%8C%9C%ED%86%B1%20%EC%BB%B4%ED%93%A8%ED%84%B0 팜톱 컴퓨터]〉, 《위키백과》 </ref>
  
 
+
==발전==
 
+
===메모리 내장 마이크로컴퓨터===
==구조==
+
반도체 기업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는 최첨단 마이크로컴퓨터에 내장하는 [[플래시메모리]]의 셀 구조의 동작 확인을 완료하였다. [[메모리]]의 리라이팅이 25만 번 가능하며, 160도의 고온에서도 10년 이상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안정 성능을 실현하였다. 고속 연산처리가 필요한 [[자율주행]] 차량용으로 2023년에 샘플 출하를 목표로 한다. 고성능 연산처리용 반도체에 반드시 필요한 플래시메모리의 최소 단위인 셀 부분으로, '스플릿게이트 모노(Split-Gate Monos)'라고 부르는 독자적인 구조를 채용하였다. 모노는 실리콘 기판 위에 산화막과 질화막, 산화막이 중첩된 3층 구조가 있고, 질화막에 전자를 모아 데이터를 기억하는 구조다. 자율주행 기술의 진전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연산 처리하는 [[반도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르네사스는 운전자가 필요 없는 레벨 5의 완전 자율주행 차량용으로, 최첨단 대규모 집적회로나 마이크로컴퓨터를 연구 개발하고 있다. 플래시메모리가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는 메모리에 소프트를 탑재하였다. 소프트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자동차의 제어기능을 기술혁신에 맞춰서 경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회로를 미세화하여 칩에 탑재하는 플래시메모리나 주변기기의 집적도를 높인다. 자동차는 [[스마트폰]] 등 휴대전화나 가전제품과 달리 이용 기간이 길고 사이버 공격 대책 등 시큐리티 기능을 경신하거나 고기능화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메모리가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의 수요는 앞으로 증가할 전망이다.<ref>hjtic, 〈[https://hjtic.snu.ac.kr/board/news_summary/view/3082 르네사스, 메모리 내장 마이크로컴퓨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2017-12-06 </ref>
[[파일: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조.png|오른쪽|썸네일|200픽셀|'''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조''']]
 
마이크로컴퓨터 구조는 한번 실행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슬라이스의 크기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 셀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트 수 (8비트, 16비트, 32비트 등)로 나누어진다. 마이크로컴퓨터 구조는 정의된 비트 수가 많을수록 전체 명령을 수행하는 속도가 빠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컴퓨터 구조에는 사용 가능한 레지스터의 개수, 사용방법, 하드웨어 인터럽트 구조, 기억 장치로의 자료 통로, 중앙 처리 장치로의 자료 통로 등이 포함되어 있다. 대부분의 구조는 중앙 처리 장치 위주, 기억 장치 위주, 비트 슬라이스 등으로 구분된다.<re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29285&cid=42344&categoryId=42344 마이크로컴퓨터 구조]〉, 《네이버 지식백과》 </ref>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외부와 어드레스, 데이터, 컨트롤 버스와 의 소소 통을 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와 마이크로컴퓨터의 전체 동작을 동기화 시키기 위해 시간 기준이 필요한데 수정 발진자 등으로 기준 클록을 넣어준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는 명령을 해독하는 부분, 수치 연산을 행하는 부분, 버스를 제어하는 부분 등이 있다.<ref name="CUE"></ref>
 
  
 
{{각주}}
 
{{각주}}
82번째 줄: 44번째 줄:
 
* CUE, 〈[http://ngkgood.egloos.com/1014350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조 & 8051]〉, 《이글루》, 2011-10-23
 
* CUE, 〈[http://ngkgood.egloos.com/1014350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조 & 8051]〉, 《이글루》, 2011-10-23
 
* 〈[https://namu.wiki/w/%EC%8A%88%ED%8D%BC%EC%BB%B4%ED%93%A8%ED%84%B0 슈퍼컴퓨터]〉,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C%8A%88%ED%8D%BC%EC%BB%B4%ED%93%A8%ED%84%B0 슈퍼컴퓨터]〉, 《나무위키》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45672&cid=42346&categoryId=42346 마이크로컴퓨터 개발 시스템]〉, 《네이버 지식백과》
+
* hjtic, 〈[https://hjtic.snu.ac.kr/board/news_summary/view/3082 르네사스, 메모리 내장 마이크로컴퓨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2017-12-06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29296&cid=42344&categoryId=42344 마이크로컴퓨터 개발 하드웨어]〉, 《네이버 지식백과》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18356&cid=50372&categoryId=50372 마이크로컴퓨터 개발 소프트웨어]〉, 《네이버 지식백과》
+
==같이 보기==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29316&cid=42344&categoryId=42344 마이크로컴퓨터 타이밍]〉, 《네이버 지식백과》
+
* [[PC]]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48094&cid=50371&categoryId=50371 마이크로컴퓨터 구성요소]〉, 《네이버 지식백과》
+
* [[데스크톱]]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29285&cid=42344&categoryId=42344 마이크로컴퓨터 구조]〉, 《네이버 지식백과》
+
* [[마이크로프로세서]]
==같이보기==
+
* [[슈퍼컴퓨터]]
*[[PC]]
+
* [[미니컴퓨터]]
*[[데스크톱]]
+
 
*[[마이크로프로세서]]
 
*[[슈퍼컴퓨터]]
 
*[[미니컴퓨터]]
 
 
{{컴퓨터|검토 필요}}
 
{{컴퓨터|검토 필요}}

2021년 8월 12일 (목) 16:46 기준 최신판

마이크로 컴퓨터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는 마이크로프로세서중앙처리장치(CPU)로 사용하는 컴퓨터를 가리킨다. 마이컴이라고도 한다. 물리적으로 메인프레임미니컴퓨터에 견주어 작은 편이다. 수많은 마이크로컴퓨터 또한 개인용 컴퓨터(PC)라고 할 수 있다.[1]

개요[편집]

마이크로컴퓨터는 하나의 칩 속에 중앙처리장치가 들어 있는 것으로, 1971년 인텔에서 처음으로 개발하였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 LSI(large scale integration)에 의한 연산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을 부가한 컴퓨터로, 개인용 컴퓨터나 산업용 로봇, 자동차 엔진, 가정용 기기 등에서 제어장치로 이용되고 있다. 집적기술의 발달로 CPU, 메모리, 입출력 제어의 각 부를 1개의 집적회로 위에 형성할 수 있는데, 이것을 특히 원 칩(one chip) 마이크로컴퓨터라고 한다.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시스템은 수많은 논리소자의 역할을 1개의 마이크로컴퓨터 칩으로 대치시킴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품의 수가 줄어들므로 고장이 발생할 확률도 감소하며, 초기의 간단한 논리회로나 아날로그 회로를 이용한 시스템보다 훨씬 더 유연성이 있다.

역사[편집]

1960년, 마이크로컴퓨터란 용어가 등장했던 당시에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는 대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아니었다. 당시 대세는 집적회로가 아닌 분리형 회로(discrete circuit)에 수많은 트랜지스터, 또는 심지어 진공관들로 이루어진 논리 게이트들과 마그네틱 코어 메모리를 탑재된 덩치 큰 컴퓨터들이었으며, 이런 컴퓨터는 그 본체를 구성하는 커다란 프레임의 명칭인 메인프레임, 또는 크기를 대폭 축소한 간이 메인프레임인 미니컴퓨터 등으로 불리웠다. 오늘날에는 모든 컴퓨터에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탑재되므로 컴퓨터 'CPU =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당연하게 여겨지지만, 초창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성능과 신뢰성 면에서 트랜지스터 기반 분리형 회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에 뒤떨어지는 물건 취급을 받았다.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는 본격적인 컴퓨터가 아니라 보급형, 염가형 취급이었으며 제대로 된 메인프레임이나 미니컴퓨터를 들여놓을 돈이 없는 기업이나 연구실에서 쓰는 컴퓨터로 인식되곤 했다. 1960년, 마이크로컴퓨터란 용어가 등장했던 당시에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는 대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아니었다. 당시 대세는 집적회로가 아닌 분리형 회로(discrete circuit)에 수많은 트랜지스터, 또는 심지어 진공관들로 이루어진 논리 게이트들과 마그네틱 코어 메모리를 탑재된 덩치 큰 컴퓨터들이었으며, 이런 컴퓨터는 그 본체를 구성하는 커다란 프레임의 명칭인 메인프레임, 또는 크기를 대폭 축소한 간이 메인프레임인 미니컴퓨터 등으로 불리웠다. 오늘날에는 모든 컴퓨터에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탑재되므로 컴퓨터 'CPU =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당연하게 여겨지지만, 초창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성능과 신뢰성 면에서 트랜지스터 기반 분리형 회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에 뒤떨어지는 물건 취급을 받았다.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는 본격적인 컴퓨터가 아니라 보급형, 염가형 취급이었으며 제대로 된 메인프레임이나 미니컴퓨터를 들여놓을 돈이 없는 기업이나 연구실에서 쓰는 컴퓨터로 인식되곤 했다. 1960년대 중반부터는 반도체 제작 기술이 발전하여 한 개의 집적회로인 실리콘 칩 사이에 20~100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한 소규모 집적회로가 만들어졌으며, 1000여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할 수 있는 중간 규모 집적회로와 5MM의 칩 상에 1만 개 이상 트랜지스터를 집적할 수 있는 대규모 집적회로를 만들 수 있는 기술로 발전되었다.[2] 이때부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덕분에 큰 인기를 끌었으며, 1970년대는 마이크로컴퓨터의 시대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마이크로프로세서용 소프트웨어를 전문으로 개발하는 회사들도 많이 만들어졌으며, 썬 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등 회사명에 “마이크로”가 들어간 기업들이 창업된 것도 이 시기이다. 이처럼 마이크로컴퓨터와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높은 인기를 끌자 관련 기술에 대한 투자도 활발해졌으며, 텍사스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인텔(Intel), 모토로라(Motorola) 등의 유명 회사들도 진공관, 트랜지스터 기반 제품에서 집적회로 칩, 즉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제품으로 주력 사업을 변경하기에 이른다. 최초의 마이크로컴퓨터는, 1971년에 인텔이 개발한 MCS-4라는 탁상 계산기용의 중앙전산처리장치(CPU)로서 사용되고 있던 4004를 사용한 4비트 컴퓨터였다. 점차 마이크로컴퓨터가 대중화되고 가격이 저렴해지자 아예 개인이 혼자 사용하는 1인용 마이크로컴퓨터 제품까지 등장하는데 이것이 개인용 컴퓨터(PC)다. PC는 1970년대 말에 등장해 1980년대를 주름잡은 대 히트 상품이었으며, 컴퓨터 사용자 저변인구를 기하급수적으로 확장시키며 인터넷의 보급을 비롯해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여명을 연 일등 공신이기도 하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마이크로컴퓨터라는 용어는 종종 사용되었으며, 영국의 PC였던 BBC 마이크로, 미국 컴퓨터 게임 제작사인 마이크로프로즈, 일본식 신조어인 마이콘 등 1980년대의 물건과 말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허나 IBM의 PC인 5150의 제품명인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가 큰 인기를 끌면서, 마이크로컴퓨터라는 용어는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고 그 자리를 퍼스널 컴퓨터란 용어가 차지하게 된다. 엄밀히 말하면 마이크로컴퓨터와 PC는 동시 사용자가 몇 명이냐는 차이가 있다. PC는 한 번에 한 명의 사용자만이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컴퓨터지만, 마이크로컴퓨터는 터미널을 연결해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타임 셰어링(시분할) 방식으로 이용할 수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마이크로컴퓨터용 운영체제제닉스(Xenix)는 유닉스의 일종으로 시분할 처리 방식의 운영체제였다. 하지만 PC의 인기가 급상승하며 마이크로컴퓨터는 점점 설 자리를 잃게 된다. 물론 상술한 대로 오늘날엔 모든 컴퓨터가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중앙처리장치를 갖고 있으므로 마이크로컴퓨터의 원래 정의를 그대로 이용할 수는 없게 되었으며, 주로 아주 작은 소형 컴퓨터를 마이크로컴퓨터라 부르곤 한다. 허나 이젠 마이크로컴퓨터라는 용어 자체를 거의 안 쓴다.[3]

특징[편집]

언어[편집]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는 논리 소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2진수로 동작하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을 규정하는 프로그램도 2진수로 줄 필요가 있다. 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2진수의 언어를 기계어라 한다. 그러나, 기계어는 2진수의 나열이며, 인간으로서는 대단히 읽기 어려운 언어이다. 이 때문에 보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에는 인간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프로그램을 기술하고, 마이크로컴퓨터에 줄 때에 기계어로 변환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4]

  • 어셈블리언어 : 니모닉이라고 하는 기계어와 1대 1에 대응한 코드로 기술되는 언어이다. 기계어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어셈블러라고 한다. 어셈블러에는 생성된 기계어가 메모리의 주소에 절대적으로 할당되는 절대적 어셈블러와 메모리의 임의의 주소에 재배치 가능한 기계어를 출력하는 리로케이터블 어셈블러가 있다.[4]
  • 고급언어 : C언어, 포트란(FORTRAN), 베이직(BASIC) 등으로 대표되는 고급언어는 어셈블리 언어와 비교하면, 인간의 말에 가깝기 때문에 프로그램 개발이 쉬우며, 기종의 다른 마이크로컴퓨터에도 이식이 가능하다. 기계어의 변환에 사용하는 컴파일러는 어셈블러와는 다르며, 하나의 소스 스테이트먼트를 여러 개의 기계어로 변환한다. 그 때문에 변환할 때에는 프로그램의 메모리 효율에 장황도가 나온다.[4]

구조[편집]

마이크로컴퓨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억장치 (RAM) 및 (ROM), 입출력 장치가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다.[5] 마이크로컴퓨터는 몇 개의 대규모 집적 회로 칩으로 된 작은 디지털컴퓨터이다. 마이크로컴퓨터는 연산이나 조건 판단을 마이크로프로세서, 데이터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 센서스위치 입력이나 모터 구동을 담당하는 입출력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6] 중앙처리장치(CPU)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LSI 소자로 되어 있으며, 그 밖에 프로그램과 자료를 위한 읽기용 기억 장치, 클럭 회로, 입출력 접속 장치, 선별 레지스터, 제어 회로 등이 필요하다.[7] 마이크로컴퓨터 구조는 한번 실행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슬라이스의 크기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 셀의 개수를 나타내는 비트 수(8비트, 16비트, 32비트 등)로 나누어진다. 마이크로컴퓨터 구조는 정의된 비트 수가 많을수록 전체 명령을 수행하는 속도가 빠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컴퓨터 구조에는 사용 가능한 레지스터의 개수, 사용방법, 하드웨어 인터럽트 구조, 기억 장치로의 자료 통로, 중앙 처리 장치로의 자료 통로 등이 포함되어 있다. 대부분의 구조는 중앙 처리 장치 위주, 기억 장치 위주, 비트 슬라이스 등으로 구분된다.[8]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외부와 어드레스, 데이터, 컨트롤 버스와 의사소통을 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와 마이크로컴퓨터의 전체 동작을 동기화 시키기 위해 시간 기준이 필요한데 수정 발진자 등으로 기준 클록을 넣어준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는 명령을 해독하는 부분, 수치 연산을 행하는 부분, 버스를 제어하는 부분 등이 있다.[6]

종류[편집]

마이크로컴퓨터의 종류로는 슈퍼 마이크로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팝탑 컴퓨터가 있다.[9]

  • 슈퍼 마이크로컴퓨터 : 구동 시기를 기준으로 일반적인 컴퓨터에 비해 월등한 연산 능력을 보유한 컴퓨터이다. 시기가 중요한 이유는 시대에 따라 컴퓨터의 연산력은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컴퓨터 분야의 연산량의 증가 속도가 매우 빠른지라 10년 전 세계 최고 수준의 컴퓨터라도 현재에는 슈퍼컴퓨터라고 부르기에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0]
  • 데스크톱컴퓨터 : 책상이나 테이블 등 정해진 위치에서 사용하기 위해 디자인된 컴퓨터이다. 사이즈가 크지만 게임용 PC 등 고사양의 컴퓨터에 필요한 넉넉한 전원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노트북 컴퓨터, PDA와 같은 PC와 구별된다. 데스크톱 컴퓨터들은 또한 마이크로컴퓨터라고도 알려져 있다.[11]
  • 휴대형 랩톱컴퓨터 : 랩톱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는 개인용 컴퓨터를 휴대할 수 있도록 작은 크기로 제작한 컴퓨터이다. 현재는 15인치 이상의 랩톱도 출시된다.[12]
  • 팜탑컴퓨터 : 소형인 PDA나 컴퓨터 기종 중 키보드와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것을 이르는 말이다. 데스크톱이 책상 위에 놓을 수 있는 폼팩터의 컴퓨터이고, 랩톱이 무릎 위에 놓을 수 있는 수준이라면 팜탑은 손바닥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컴퓨터이다.[13]

발전[편집]

메모리 내장 마이크로컴퓨터[편집]

반도체 기업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는 최첨단 마이크로컴퓨터에 내장하는 플래시메모리의 셀 구조의 동작 확인을 완료하였다. 메모리의 리라이팅이 25만 번 가능하며, 160도의 고온에서도 10년 이상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안정 성능을 실현하였다. 고속 연산처리가 필요한 자율주행 차량용으로 2023년에 샘플 출하를 목표로 한다. 고성능 연산처리용 반도체에 반드시 필요한 플래시메모리의 최소 단위인 셀 부분으로, '스플릿게이트 모노(Split-Gate Monos)'라고 부르는 독자적인 구조를 채용하였다. 모노는 실리콘 기판 위에 산화막과 질화막, 산화막이 중첩된 3층 구조가 있고, 질화막에 전자를 모아 데이터를 기억하는 구조다. 자율주행 기술의 진전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으로 연산 처리하는 반도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르네사스는 운전자가 필요 없는 레벨 5의 완전 자율주행 차량용으로, 최첨단 대규모 집적회로나 마이크로컴퓨터를 연구 개발하고 있다. 플래시메모리가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는 메모리에 소프트를 탑재하였다. 소프트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자동차의 제어기능을 기술혁신에 맞춰서 경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회로를 미세화하여 칩에 탑재하는 플래시메모리나 주변기기의 집적도를 높인다. 자동차는 스마트폰 등 휴대전화나 가전제품과 달리 이용 기간이 길고 사이버 공격 대책 등 시큐리티 기능을 경신하거나 고기능화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메모리가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의 수요는 앞으로 증가할 전망이다.[14]

각주[편집]

  1. 마이크로컴퓨터〉, 《위키백과》
  2. 마이크로컴퓨터에대하여〉, 《교보문고》
  3. 마이크로컴퓨터〉, 《나무위키》
  4. 4.0 4.1 4.2 안그래여, 〈마이크로컴퓨터란?〉, 《네이버 블로그》, 2004-04-03
  5. 현경, 〈마이크로컴퓨터 종류 정의 응용제어〉, 《티스토리》, 2019-04-24
  6. 6.0 6.1 CUE, 〈마이크로 컴퓨터의 구조 & 8051〉, 《이글루》, 2011-10-23
  7. 마이크로컴퓨터 구성요소〉, 《네이버 지식백과》
  8. 마이크로컴퓨터 구조〉, 《네이버 지식백과》
  9. newind2000, 〈마이크로 컴퓨터와 ADC & DAC〉, 《티스토리》, 2015-02-02
  10. 슈퍼컴퓨터〉, 《나무위키》
  11. 데스크톱 컴퓨터〉, 《위키백과》
  12. 랩톱 컴퓨터〉, 《위키백과》
  13. 팜톱 컴퓨터〉, 《위키백과》
  14. hjtic, 〈르네사스, 메모리 내장 마이크로컴퓨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2017-12-06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마이크로컴퓨터 문서는 컴퓨터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