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드라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결방 사유 및 편성 변경 및 방송 사고)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정보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방송명 = [[파일:SBS 플러스 글자.png|130px]] 수목드라마<br/>[[파일:신세계 로고.png|190px]] (2020)
+
|방송명 = [[파일:코미디TV 2015.png|70px]] 수목드라마<br/>[[파일:신세계 로고.png|190px]] (2020)
 
|원제 = ''{{lang|en|SHINSEGAE}}''
 
|원제 = ''{{lang|en|SHINSEGAE}}''
 
|시청등급 = 19
 
|시청등급 = 19
|장르 = 드라마, 로맨스, 판타지
+
|장르 = [[특촬물]],[[히어로]], [[고대소설]]
 +
|방송 시간
 +
|방송 분량 = 70분
 +
|방송 기간 = [[2020년]] [[12월 23일]] ~ [[2021년]] [[3월 4일]]
 +
|방송 횟수 = 20부작
 
|방송 국가 = {{KOR}}
 
|방송 국가 = {{KOR}}
|방송 채널 = [[SBS 플러스]]
+
|방송 채널 = [[코미디TV]]
|방송 기간 = [[2020년]] [[12월 23일]] ~ [[2021년]] [[3월 4일]]
+
|추가 편성= [[K-STAR]], [[AXN 코리아]], [[iHQ DRAMA]], HQ플러스 TV, [[ENA 플레이]], [[MX (텔레비전 채널)|MX]], [[ENA (텔레비전 채널)|ENA]], [[YTN2]]
|방송 시간 = 매주 수 · 목요일 밤 8시 (1~8회)<br />밤 8시 30분 (9~16회)
+
|원작 = 《[[큰세계]]》
|방송 분량 = 75분 (1~2회)<br/>60분 (3~16회)
+
|기획 = [[iHQ]]
|방송 횟수 = 16부작 + 스페셜 2부작
+
|책임프로듀서 =  
|추가 편성 =  
+
|프로듀서 =  
|기획 = [[최진희 (기업인)|최진희]]
+
|제작사 = [[스튜디오드래곤|스튜디오 드래곤]], [[제이에스픽쳐스]]
|책임프로듀서 = 김진이
+
|제작 = [[이진석 (연출가)|이진석]]
|프로듀서 = 김기재
+
|연출 = [[박홍균]] (1회 ~ )<br />김슬아 (1회 ~ 4회)<br /> 김정현 (4회 ~ )<br /> 김병수 (7회 ~ )
|제작사 = THE UNICORN
+
|조연출 = 최현성, 금원정, 이소진
|제작 = 박지영
+
|각본 = [[홍자매 (홍정은, 홍미란)|홍정은]], [[홍자매 (홍정은, 홍미란)|홍미란]]
|연출 = 김철규, 김상우
+
|출연자 = [[최시원]], [[강소라]], [[공명 (배우)|공명]] 외
|조연출 = 곽정후, 김정욱, 윤현기, 김근희, 김미라
 
|각본 = [[진수완]]
 
|음악 = 남혜승
 
|촬영 = 박재홍, 권영준
 
|편집 = 김나영
 
|출연자 = [[임주은]], [[윤미라]], [[신동엽]], [[성시경]] 외
 
|여는 곡 = 〈신세계〉
 
|닫는 곡 = 〈Satellite〉(1~2, 4, 9~10, 14회), 〈아주 오래된 기억〉(3, 11회), 〈우리의 얘기를 쓰겠소〉(5~6, 8, 12~13, 15회), 〈Be My Light〉(7회), 〈Come With Me〉(16회)
 
|음성 =
 
 
|자막 =  
 
|자막 =  
 
|데이터 방송 =  
 
|데이터 방송 =  
 
|고화질 방송여부 = [[고선명 텔레비전|HD]] 제작 · 방송
 
|고화질 방송여부 = [[고선명 텔레비전|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 https://programs.sbs.co.kr/plus/shinsegae/main
+
|여는 곡 =
|외부 링크 이름 = 신세계 공식 홈페이지
+
|닫는 곡 =
|비고 =  
+
|외부 링크 = http://comedytv.ihq.co.kr/shinsegae/
 +
|외부 링크 이름 = 신세계 홈페이지
 +
|비고 =
 
}}
 
}}
  
《'''신세계'''》(Shinsegae)는 [[2020년]] [[12월 23일]]부터 [[2021년]] [[3월 4일]]까지 방송된 [[SBS 플러스 수목 드라마]]이다. 1회부터 8회까지 밤 8시에 방영했고, 황금연휴 결방 이후 9회부터는 30분 늦춰진 밤 8시 30분에 방영했다.<ref>{{뉴스 인용|제목=‘시카고타자기’ 서머타임 도입 “9회부터 8시30분 방송” [공식]|url=http://sports.donga.com/3/all/20201223/84184843/1|날짜=2020-12-23|출판사=동아닷컴|저자=홍세영}}</ref>
+
《'''신세계'''》는 [[코미디TV]]에서 [[2020년]] [[12월 23일]]부터 [[2021년]] [[3월 4일]]까지 방영된 [[코미디TV 수목 드라마]]이다.
 
 
이 드라마는 1930년대 일제강점기의 경성과 2017년 서울을 배경으로 주인공들의 전생과 현생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담았다. 일제강점기 청춘들의 삶과 올드한 감정이 현대를 사는 사람들에게 따뜻한 위로와 응원이 될 수 있음을 전하고자 기획된 작품이다.<ref>{{웹 인용|url=https://programs.sbs.co.kr/plus/shinsegae/main/11/Contents/Html|웹사이트=시카고 타자기 공식홈페이지|제목=프로그램 소개|확인날짜=2020-12-04|archive-date=2021-03-04|archive-url=https://programs.sbs.co.kr/plus/shinsegae/main/11/Contents/Html|url-status=}}</ref> 판타지, 로맨스, 코미디, 미스터리 등이 가미된 복합 장르물이다.
 
 
 
드라마의 제목은 [[톰프슨 기관단총]]의 별명, 서휘영의 유작(遺作), 한세주의 소설, 시카고에서 발견된 타자기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중의적이다.
 
 
 
== 줄거리 ==
 
1930년대 일제 치하를 치열하게 살다간 문인(文人)이자 독립운동가 서휘영과 가수이자 저격수 류수현이 각각 슬럼프에 빠진 베스트셀러 작가 한세주와 그의 열혈팬이자 문인 덕후 전설로 환생하고, 전생의 둘과 함께 했던 신율이 유령작가 유진오로 나타나면서 벌어지는 앤티크 로맨스다.
 
 
 
전생의 배경은 주로 1933년이며 항일단체 조선청년해방연맹과 이들의 숨은 근거지인 카르페디엠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현생의 주인공들이 전생의 사건들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슬럼프와 트라우마를 딛고 현재에 충실히 살아간다는 [[카르페 디엠]]을 주제의식으로 지니고 있는 드라마다.
 
 
 
== 제목의 의미 ==
 
이 드라마의 제목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 [[톰프슨 기관단총]]의 별명을 뜻한다. 극 중 서휘영과 류수현이 일제에 항거하기 위해 이 총을 사용했다.
 
* 서휘영의 유작(遺作)으로 작가 본인과 류수현, 신율의 이야기를 담은 자전적 소설이다.
 
* 모바일에 연재됐던 한세주의 소설이다. 이 소설을 활용하는 원소스 멀티유즈 프로젝트의 이름이기도 하다. 한세주가 전설, 유진오와 전생의 기억을 공유하면서 집필했다. 세 명이 모두 기억을 찾은 후 유진오는 전생을 기반으로 서휘영의 유고 소설을 마무리했다. 그러나 한세주는 전생과 다른 내용을 담아 소설을 다시 썼고, 동명의 단행본으로 출간했다.
 
* 신율의 영혼이 봉인된 채 시카고에서 발견된 타자기를 말한다. 서휘영은 이 타자기로 소설을 집필했다. 신율이 서휘영의 유언을 따라 그의 소설을 이어 쓸 때도 이 타자기를 사용했다.
 
  
 
== 등장 인물 ==
 
== 등장 인물 ==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 [[임주은]] : 한세주 / 서휘영 (한세주의 아역 : [[최민영]])
+
* [[이승기]] : [[손오공]] - 원숭이 요괴
: '''현생 베스트셀러 작가'''. 단편소설 '운명'으로 등단했지만, 지석을 만난 후 장르 소설 위주로 쓰고 있다. 문단의 아이돌이라는 별명답게 많은 팬을 거느리고 있다. 그러나 원고 압박과 황색언론 및 루머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어릴 적부터 사람들에게 버림받았던 아픔을 갖고 있다. 스토커 사건 이후 번아웃 신드롬을 겪고 슬럼프에 빠졌다. 설과 진오를 만나고 전생을 기억해내면서 슬럼프를 극복하기 시작하고 삶의 변화를 느낀다.
+
* [[차승원]] : 우휘 (우마왕) 역 - 루시퍼기획 회장, 흰소 요괴
: '''전생 소설가, 독립운동가'''. 경성제대 의학부 출신이지만 소설가가 되기 위해 자퇴했다.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수장이 되어 독립운동을 펼친다. 주색잡기에 능한 한량으로 보이지만 자신의 신분을 감추기 위한 것이며, 신문에 연재하는 삼류 연애소설은 동지들에게 작전명령을 알리는 암호문이다. 수현을 사랑하지만 수장이라는 위치때문에 자신의 감정을 철저히 숨긴 채 그녀와 거리를 두려 한다.
+
* [[오연서]] : 진선미 ([[삼장법사]]) 역 (아역 [[갈소원]]) - 한빛부동산 대표
  
* [[윤미라]] : 전설 / 류수현 역 (전설의 아역 : [[최명빈]], 류수현의 아역 : [[조민아 (2002년)|조민아]])
+
=== 우마왕의 주변 인물 ===
: '''현생 수의사'''. 작가를 아이돌처럼 쫓아다니는 문인 덕후이며 세주의 열혈팬이다. 국가대표 사격 선수였으나 총만 잡으면 이상한 환영이 보이자 그만뒀다. 광우병 사건으로 수의사 역시 그만두고 심부름센터를 운영하며 생계를 이어나갔다. 더불어 선배의 동물병원에서 일을 돕다가 다시 수의사 일을 시작하고, 세주를 만나 트라우마를 조금씩 극복해 나간다.
+
* [[이홍기]] : P.K ([[저팔계]]) 역 - 톱스타, 멧돼지 요괴
: '''전생 가수, 독립운동가'''. 휘영의 도움으로 카르페디엠에 온 후 남장을 한 채 심부름꾼으로 일했다.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조직원으로 저격수가 됐으며, 신분을 숨기기 위해 카르페디엠의 가수 '아나스타샤'로도 활동한다. 휘영을 사랑하고 자신을 구해준 복면남이라고 생각하지만, 일부러 냉정하게 대하는 휘영과 서로 마음을 확인하지 못하고 엇갈린다.
+
* [[이엘]] : 마지영 역  - 우마왕의 비서, 개 요괴
  
* [[신동엽]] : 유진오 / 신율
+
=== 손오공의 주변 인물 ===
: '''현시점 유령'''. 세주의 해외 팬 사인회가 열린 카페에 있던 타자기 속에 영혼이 봉인돼 있었다. 세주의 집으로 온 후 슬럼프에 빠진 세주를 대신해 소설을 쓰고 홀연히 사라지기를 반복했다. 그러던 중 세주의 눈에 보이게 됐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유령이라는 사실도 밝혀진다. 그리고 자신이 왜 죽었는지 알기 위해서는 소설을 완성해야 한다고 말하고, 세주와 함께 소설 집필을 위해 노력한다.
+
* [[장광]] : 윤대식 ([[사오정]]) - No.1 대기업 회장, 돈 끌어모으는 재물 요괴
: '''1930년대 시점 카르페디엠 사장, 독립운동가'''. 경성제대 법학부 출신으로 친구 휘영과 함께 항일운동을 한다. 친일파 집안임을 역이용해 카르페디엠을 통해 올린 수익을 독립군 자금으로 사용한다. 수현이 저격수가 되는 것을 걱정했으나 그녀에게 사격을 가르쳐 주기도 한다.
+
* [[성혁]] : [[동장군]] (하선녀의 오빠) 역 - 공원 아이스크림 가게 사장 ファユキ、孫悟空の頭お兄さんの車のテウン最強値イ・スンギ
  
* [[성시경]] : 백태민 / 허영민 (백태민의 아역 : [[손상연]])
+
=== 진선미의 주변 인물 ===
: '''현생 소설가, 대학 강사'''. 단편소설 '인연'으로 세주보다 2년 먼저 신춘문예에 당선됐지만, 실은 세주의 원고를 훔쳐다 쓴 것이다. 세주와 함께 큰 인기를 누리고 있지만, 차기작들은 데뷔작에 못 미친다는 반응을 듣고 있기 때문에 세주에 대한 열등감이 강하다. 같은 이유로 설에게 일부러 접근한다. '인연'에 대한 비밀이 점점 드러나게 되자 세주를 해치려 한다.
+
* [[김성오]] : 이한주 - 한빛부동산 직원
: '''전생 일제의 밀정'''. 위기에 처한 수현을 도와주며 조선청년해방연맹 일원들에게 접근한다. 휘영과 율에게는 자신을 시인이라고 소개했다. 조선청년해방연맹을 와해하고 수장을 잡기 위해 노력한다.
 
  
=== 한세주의 주변 인물 ===
+
=== 그 외 주변 인물 ===
* [[홍석천]] : 갈지석
+
* [[윤보라]] : 앨리스 / 옥룡 - 대왕문어, 용왕의 아들. 현재 탑모델 앨리스의 몸에 잠시 기거 중
: 황금곰 출판사의 사장. 갓 등단한 세주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그에게 출판사의 창립 작품을 써달라고 제안했다. 세주를 자신의 '골든에그(황금알)'라고 표현하면서 세주에게 끊임없이 압박을 주는 장본인이다. 돈의 논리를 쫓고 있지만 세주의 집필통을 잘 이해하며 염려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
* [[이세영 (배우)|이세영]] : 좀비소녀 진부자 / 정세라 / 아사녀 역
 +
* [[성지루]] : [[수보리]] 조사 역 - 손오공의 스승, 우마왕의 벗
  
=== 전설의 주변 인물 ===
+
=== 그 외 인물 ===
* [[이지혜]] : 마방진 (아역 : [[곽지혜]])
+
* [[송종호 (배우)|송종호]] : 강대성 - 한국대 사학과 교수
: 설의 소꿉친구. 드라마 작가 지망생. 혼자가 된 설과 함께 같은 집에서 친자매처럼 지냈다. 드라마 작가가 되기 위해 습작을 하며 서점과 식당에서 아르바이트를 한다. 글빨을 내려달라며 신에게 기도를 하다가 신빨이 내려 유령인 진오를 보고 첫눈에 반해 버린다.
+
* [[박상훈 (2005년)|박상훈]] : 은성
* [[전수경]] : 왕방울
+
* [[마이클 리 (배우)|마이클 리]] : 조나단 역 (아역 [[김현빈]])
: 방진의 엄마. 무속인. 최근에는 신빨이 떨어져 손님이 줄었다. 어린 설을 자신의 집 성수청에 데려온 후 친딸처럼 키웠다. 우연히 만난 세주에게 그의 관상을 읊어 주었으며, 전생의 환영으로 힘들어하는 설을 진심으로 염려한다. 친딸 방진이 귀신을 볼 줄 아는 것을 알고 걱정한다.
+
* [[원 (래퍼)|원]] : 젊은 청년 [[홍해아]] 역 - 방물장수의 손자, 우마왕과 나찰녀의 아들
* [[강홍석]] : 원대한 역 (아역 : [[송준희]])
+
* [[정재은 (배우)|정재은]] : 외숙모 역  
: 설과 방진의 소꿉친구. 이탈리안 레스토랑 '리까르도'의 오너 셰프. 짝사랑하고 있는 설을 '세뇨리나'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설과 가까워지는 세주를 질투하지만 번번이 밀린다.
+
* [[강성필]] : 조폭
* [[지대한]] : 원만해 역 - 대한의 아버지
+
* [[김미혜 (배우)|김미혜]] : 꽃집여자
 
+
* 오유미
=== 백태민의 주변 인물 ===
+
* 이재은
* [[천호진]] : 백도하
+
* [[전해룡]]
: 한국문학의 거장. 태민의 아버지. 세주의 아버지와 친구 사이였고 세주의 어머니를 사랑했다. 고아가 된 세주를 자신의 집으로 들인 후 세주의 든든한 후원자가 됐다. 하지만 아들 태민이 세주의 원고 '인연'을 훔쳐 등단한 것을 눈감아준다. 이후 세주와의 관계가 악화됐고 태민과 소희와의 관계도 역시 좋지 못하다. 세주에게 미안한 감정을 갖고 있고 잘못된 만행을 바로잡기 위해 노력하려 한다.
+
* [[최대성 (배우)|최대성]] : 방송국PD
* [[조경숙 (배우)|조경숙]] : 홍소희
+
* 임지현
: 도하의 아내. 태민의 어머니. 남편이 아직도 첫사랑인 세주의 어머니를 잊지 못했다고 생각하며 세주가 도하의 친아들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이유로 누구보다도 세주를 증오한다. 송 기자와 모략하는 등 세주를 몰락시키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총동원한다.
+
* 주우
* 미정 : 백세라 - 태민의 여동생. 뛰어난 미모를 가졌지만 트러블 메이커라 불릴만큼 반항적인 이미지가 강하다. 프랑스 유학중이며 오랜 시간 세주를 짝사랑했다. (등장하지 않음)
+
* 이승희
 
+
* 김상일
=== 그 외 ===
+
* 손유락
* [[오나라 (배우)|오나라]] : 강 비서 - 세주의 비서
+
* 최한호
* [[이규복]] : 송종욱 역 - LK잡지 기자
+
* 박한나
* [[김현숙 (배우)|김현숙]] : 수의사 - 동물병원 원장. 전설의 선배
+
* 김송이
* [[심민 (VJ)|심민]] : 미영 역 - 황금곰 출판사 사원
+
* 박도준
* [[김성훈 (배우)|김성훈]] : 이정봉 역 - 황금곰 출판사 사원
+
* 김민선
* 박지훈<ref>박지훈 ([[1989년]] [[4월 19일]] ~ [[2020년]] [[5월 11일]]) 캐스팅 출연했으나, 3년 뒤인 위암으로 사망했다.</ref> : 전두엽 역 - 황금곰 출판사 신입사원
+
* [[이용이]] : 진선미의 외할머니
* [[하경|김기수]] : 조상철 역 - 세주의 스토커
+
* 이은조
<!---->
+
* 임지현
* [[장격수]] : 사채업자
+
* 류정
* 강학수
+
* 정나진
* 전재현
+
* 혜주
* [[박선임]] : 한나 킴 역 - 시카고의 카페 알바생
+
* 한소연
* 정연주 : 방진의 동료 직원 역
+
* [[한창현]]
* [[나혜진]] : 방진의 동료 직원 역
+
* 정미경
* 최서연 : 설의 동료 알바생 역
+
* 김지예
* [[조영훈 (배우)|조영훈]] : 동물병원 수의사 역<!--1회끝-->
+
* [[김동수 (1970년)|김동수]] : 조폭
* 강지훈
+
* 함나영 : 아키코 역  
* 최교식 : 세주네 정원사 역
+
* [[한지선 (배우)|한지선]]
* [[이상홍 (배우)|이상홍]] : 스토커 사건 수사관
+
* 지성근
* 정영도 : 방송기자
+
* 서원덕
* [[이지수 (배우)|이지수]] : 황금곰 출판사 사원 역<!--4회-->
+
* 김나무
* 권진란 : 황금곰 출판사 사원 역
+
* 송민희
* 김숙인<!--3회-->
+
* 윤예나
* 전민협
+
* 김수진
* 윤재인<!--2회끝-->
+
* 은서라
* 최현준 : 1930년대 사복경찰 역<!--3회끝 / 4회-->
+
* 정미혜
* 김은지
+
* 유필란
* 홍대성 : 카르페디엠의 요진보 역 <!--5회끝-->
+
* 김성준
* 김영아
+
* 정현성
* [[정병호]] : 양호필 역 - 세주의 신경정신과 담당의<!--6회끝-->
+
* 김아람
* 차건우 : 율이네 집사 역
+
* [[손영순]] : 노점상 할머니
* 윤부진
+
* [[이승훈 (배우)|이승훈]]
* 이슬아 : 카페 알바 역
+
* [[서윤아]] : 미주
* 박초아
+
* [[정성윤]]
* 이지윤 : 견주
+
* 신난애
* 서혜진
+
* 현승진
* 이유진
+
* 채유희
* [[변주현]] : 1920년대 경무국 부장
+
* 최한호
* [[차순형]] : 1920년대 사복경찰 역
+
* 정근정
* 김하윤
+
* 한다정
* 권정현
+
* 나도율
* 김우진
+
* [[한동환]]
* [[윤복성]] : 프로젝트 '시카고 타자기'의 투자자 역
+
* 조선묵
* 전이랑 : 장기봉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
 
* 감승민 : 양형식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
 
* 이태윤 : 남자 역 - 휘영에게 시간을 물어 작전개시를 확인한다.
 
* 이성원
 
 
* 김도형
 
* 김도형
* 이선영
+
* 서영삼
* 박지홍 : 취객 - 공연 중인 수현을 위협해 싸움을 일으킨다.
+
* [[박승태]] : 강명자
* 김대건 : 용의자
+
* 김영조
* 김남호
+
* [[공윤찬]]
* 김종호
+
* [[방수진]] : 인어 역
* 김태훈
+
* 김왕은
* 장병수
+
* 장준현
* 강동윤 : 조 선생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
+
* [[박노식 (1971년)|박노식]] : 독취(악플악귀)
* [[전진기]] : 경무국장
+
* 류지훈
* 임지민 : 기생
+
* [[장태민]]
* 김홍현 : 학생1 - 태민을 향해 비난하는 학생
+
* [[김대국]]
* 우현욱 : 학생2 역 - 태민을 향해 비난하는 학생
+
* 손동수
* 최다영 : 학생3 역 - 태민을 향해 비난하는 학생
+
* 오태은
* 김사훈
+
* [[옥예린]] : 한별
* 해선
+
* [[최승훈 (배우)|최승훈]] : 이수정의 오빠
* 김광태 : 기자3
+
* [[오아린]] : 이수정
* 김용진
+
* [[리민 (배우)|리민]] : 박 씨
* 하루비 : 공원의 아이
+
* [[옥주리]]
* [[이두석]] : 강 동지(동지1)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
+
* [[한성용]]
* 신원우 : 이 동지(동지2)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
+
* [[금동현]]
* 이원진 : 동지3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
+
* 김현
* 주동희 : 경찰 역 - 납치된 설을 찾아낸다.
+
* [[윤영주]]
* 임호준 : 형사 역
+
* 성낙경 : 조세팔 역  
* 강성한
+
* 손승훈
* [[추연규]]
+
* 이시은
* 호동이 : 견우 - 개
+
* [[서은우]] : 하선녀
 +
* [[오연아]] : 백로 역
 +
* 조선묵
 +
* 김승준
 +
* 석윤호
 +
* 박서연
 +
* 박병훈
 +
* 김아라
 +
* 송인섭
 +
* 김현태
 +
* 민대식
 +
* 황명환
 +
* 김범용
 +
* [[박팔영]]
 +
* [[권혁수 (성우)|권혁수]]
 +
* 김진양
 +
* 지웅
 +
* 김현
 +
* [[박용 (배우)|박용]]
 +
* [[이정성]]
 +
* 손정림
 +
* 고원석
 +
* 감례인
 +
* 강충훈
 +
* 김희열
 +
* 명석근
 +
* 유영빈
 +
* 김명진
 +
* 권용식 : STAFF
 +
* 유연우
 +
* 김지은
 +
* 오진하
 +
* [[전지안|주서은]]
 +
* [[이다해 (1986년)|이다해]] : 예신회원
  
 
=== 특별출연 ===
 
=== 특별출연 ===
* [[유병재]] : 사슴 사육사 (2회)
+
* [[김형석 (음악가)|김형석]] : 슈퍼스타 오디션 심사위원 김형석
* [[최덕문]] : 전설의 아버지 (3회 & 16화)
+
* [[김연우]] : 슈퍼스타 오디션 심사위원 김연우
* [[최송현]] : 원소스 멀티유즈 프로젝트 '시카고 타자기'의 제작발표회 진행자 역 (3회)
+
* [[백승희]] : 목각귀 신부
* [[우주소녀]] : 한세주 소설 애독자 걸그룹 (3회)
+
* [[김정근 (아나운서)|김정근]]
* [[전미선]] : 현생 전설의 어머니 임소윤 / 전생 카르페디엠의 마담 소피아 (9~11화 & 13~16화)
+
* [[김지성 (1996년)|김지성]] : 귀신
* [[우도임]] : 조상미 - 조상철의 여동생 (10~15화)
+
* [[연정 (가수)|연정]] : 이다인
 
+
* [[이은형 (희극인)|이은형]] : 신혼부부
== 제작진 ==
+
* [[강재준]] : 신혼부부 역
* 기획 : [[SBS 플러스]]
+
* [[민성욱]] : 색정귀 역
* 연출 : 김철규, 김상우
+
* [[박슬기 (방송인)|박슬기]] : 리포터 역
* 극본 : [[진수완]]
+
* [[임예진]] : 방물장수 역
* 조연출 : 곽정후, 김정욱, 윤현기, 김미라(5회~16회), 김근희(1~4회)
+
* [[장근석]] : 공작 역
* 제작 : 박지영
+
* [[김지수 (1972년)|김지수]] : [[철선공주|나찰녀]] / 서윤희 역
* 책임프로듀서 : 김진이
+
* [[이소연 (배우)|이소연]] : 악귀 책장수 역
* 프로듀서 : 김기재
 
* 제작총괄 : 김경준
 
* 제작프로듀서 : 박정훈, 김운영
 
* 촬영 : 박재홍, 권영준, 윤석조(9회~16회), 송혜경(1회~8회)
 
* 조명 : 김승춘, 이강헌
 
* 미술 : 이강현
 
* 동시녹음 : 문인설, 정인호
 
* 음악 : 남혜승
 
* 편집 : 김나영
 
* 사운드 : 스튜디오 에스에이취
 
* CG : 매버릭
 
* DI/종합편집 : 이동환
 
  
 +
== 촬영지 ==
 +
*소래습지생태공원
 +
*워커바웃
 +
*에버랜드 - 매직 가든
 +
*대장금파크
 +
*송도 센트럴파크
 +
*씨밋갤러리 - 푸르지오 밸리
 +
*합천영상테마파크
 +
*이상한 나라의 미쓰윤
 +
*경기도박물관
 +
*문화공감 수정 - 정란각
 +
*담쟁이
 +
*남산서울타워(사랑의 열쇠)
 +
*인천차이나타운
 +
*베뉴지 웨딩
 +
*최인아책방
  
 
== 시청률 ==
 
== 시청률 ==
203번째 줄: 217번째 줄:
 
!rowspan="1"|회차
 
!rowspan="1"|회차
 
!rowspan="1"|방송일
 
!rowspan="1"|방송일
!colspan="1"|[[AGB닐슨 미디어 리서치 코리아|AGB]] 시청률<ref name="agb">{{웹 인용 |url=http://www.nielsenkorea.co.kr/tv_terrestrial_day.asp?menu=Tit_1&sub_menu=3_1# |제목=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확인날짜=2020-11-0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00513095904/http://www.nielsenkorea.co.kr/tv_terrestrial_day.asp?menu=Tit_1&sub_menu=3_1# |보존날짜=2020-05-13 |url-status=dead }}</ref>
+
!colspan="1"|[[AGB닐슨 미디어 리서치 코리아|AGB]] 시청률<ref name="agb">{{웹 인용 |url=http://www.nielsenkorea.co.kr/tv_terrestrial_day.asp?menu=Tit_1&sub_menu=3_1# |제목=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확인날짜=2020-11-0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00513095904/http://www.nielsenkorea.co.kr/tv_terrestrial_day.asp?menu=Tit_1&sub_menu=3_1# |보존날짜=2017-05-13 |url-status=dead }}</ref>
 
!colspan="1"|[[TNmS]] 시청률<ref name="tnms">[http://www.tnms.tv/rating/default.asp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ref>
 
!colspan="1"|[[TNmS]] 시청률<ref name="tnms">[http://www.tnms.tv/rating/default.asp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ref>
 
|-
 
|-
217번째 줄: 231번째 줄:
 
|-
 
|-
 
|-
 
|-
!colspan="4" | [[2021년]]
+
!colspan="4" | [[2018년]]
 
|-
 
|-
 
!제3회
 
!제3회
314번째 줄: 328번째 줄:
 
* [[2020년]] [[12월 24일]] : CG 처리미숙으로 지연방송 및 갑작스러운 방송 마무리.
 
* [[2020년]] [[12월 24일]] : CG 처리미숙으로 지연방송 및 갑작스러운 방송 마무리.
 
* [[2020년]] [[12월 25일]] : [[12월 24일]] 방송사고로 인해 2회는 오후 6시 10분에 재편성되어 방송됨.
 
* [[2020년]] [[12월 25일]] : [[12월 24일]] 방송사고로 인해 2회는 오후 6시 10분에 재편성되어 방송됨.
* [[2020년]] [[12월 30일]] : [[TV 동물농장]] 재방송 편성으로 결방.
+
* [[2020년]] [[12월 30일]] : [[맛있는 녀석들]] 재방송 편성으로 결방.
 
* [[2020년]] [[12월 31일]] : [[미운 우리 새끼]] 재방송 편성으로 결방.
 
* [[2020년]] [[12월 31일]] : [[미운 우리 새끼]] 재방송 편성으로 결방.
  
 
== 사건·사고 ==
 
== 사건·사고 ==
표절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으며 첫 회 전날인 [[2020년]] [[12월 23일]] 한 스태프가 천장에 조명을 달다 추락사고를 당했고 이 과정에서 스태프 A씨의 소속회사인 SBS 미디어넷이 그 해 [[12월 28일]] 제작사(JS픽쳐스) 법인,대표,미술감독을 업무상 과실치상,공갈,협박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ref>{{뉴스 인용
+
표절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으며 첫 회 전날인 [[2017년]] [[12월 23일]] 한 스태프가 천장에 조명을 달다 추락사고를 당했고 이 과정에서 스태프 A씨의 소속회사인 MBC아트가 그 해 [[12월 28일]] 제작사(JS픽쳐스) 법인,대표,미술감독을 업무상 과실치상,공갈,협박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ref>{{뉴스 인용
 
| 제목    = [MK이슈] 희대의 방송사고+추락사고 `화유기` 이번엔 표절논란?  
 
| 제목    = [MK이슈] 희대의 방송사고+추락사고 `화유기` 이번엔 표절논란?  
 
| url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4110678
 
| url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4110678
324번째 줄: 338번째 줄:
 
| 저자    = 신영은  
 
| 저자    = 신영은  
 
| 쪽      =  
 
| 쪽      =  
| 날짜    = 2021-03-06
+
| 날짜    = 2018-03-06
| 확인날짜 = 2021-03-06
+
| 확인날짜 = 2018-03-06
}}</ref>
+
}}</ref>.
 
 
{{각주}}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타임슬립]]
 
* [[타임슬립]]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ㅎ)]]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ㅎ)]]
* [[2021년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
* [[2017년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
 
 +
== 각주 ==
 +
<references/>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https://programs.sbs.co.kr/plus/spiderlove/main 신세계 공식사이트]
+
* [http://comedytv.ihq.co.kr/shinsegae/ 신세계 공식사이트]
  
 
{{전후 방송
 
{{전후 방송
|방송개요= [[SBS 플러스 수목드라마]]
+
|방송개요= [[코미디TV 수목드라마]]
 
|이전 작품=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WEBTOON]] <br /> (2020년 12월 9일 ~ 2020년 12월 17일)
 
|이전 작품=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WEBTOON]] <br /> (2020년 12월 9일 ~ 2020년 12월 17일)
 
|작품명= 신세계 <br /> (2020년 12월 23일 ~ 2021년 3월 4일)
 
|작품명= 신세계 <br /> (2020년 12월 23일 ~ 2021년 3월 4일)
|다음 작품= [[요맘때]] <br /> (2021년 3월 10일 ~ 2021년 5월 6일)
+
|다음 작품= [[요맘때 (드라마)|요맘때]] <br /> (2021년 3월 10일 ~ 2021년 5월 6일)
 
}}
 
}}
  
{{SBS 플러스 수목 드라마}}
+
{{코미디TV 드라마}}
 +
 
 +
{{전거 통제}}
  
 
[[분류:2020년 드라마]]
 
[[분류:2020년 드라마]]
 +
[[분류:2021년 드라마]]
 
[[분류:202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202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대한민국의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
+
[[분류:큰세계를 바탕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분류:홍정은·홍미란 시나리오 작품]]
 +
[[분류:스튜디오 드래곤 텔레비전 프로그램]]
 +
[[분류:제이에스픽쳐스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대한민국의 로맨틱 판타지 드라마]]
 
[[분류:대한민국의 로맨틱 판타지 드라마]]
[[분류:일제강점기 역사 드라마]]
+
[[분류:표절 논란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소설가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
+
[[분류:코미디TV 수목드라마]]
[[분류:환생을 소재로 한 작품]]
 
[[분류:유령을 소재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분류:진수완 시나리오 작품]]
 
[[분류:SBS 플러스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류:한국의 반일 감정]]
 
 
[[분류:2020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분류:2020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분류:2021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분류:2021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분류:SBS 플러스 수목드라마]]
+
[[분류:코미디TV 수목드라마]]

2024년 5월 15일 (수) 22:49 판

Picto infobox TV-icon-novela.png
코미디TV 2015.png 수목드라마
신세계 로고.png (2020)

SHINSEGAE
장르 특촬물,히어로, 고대소설
공개 국가 대한민국
공개 채널 코미디TV
공개 기간 2020년 12월 23일 ~ 2021년 3월 4일
영상 길이 70분
에피소드 수 20부작
추가 채널 K-STAR, AXN 코리아, iHQ DRAMA, HQ플러스 TV, ENA 플레이, MX, ENA, YTN2
원작 큰세계
기획 iHQ
제작사 스튜디오 드래곤, 제이에스픽쳐스
제작자 이진석
연출 박홍균 (1회 ~ )
김슬아 (1회 ~ 4회)
김정현 (4회 ~ )
김병수 (7회 ~ )
조연출 최현성, 금원정, 이소진
각본 홍정은, 홍미란
출연자 최시원, 강소라, 공명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신세계 홈페이지

신세계》는 코미디TV에서 2020년 12월 23일부터 2021년 3월 4일까지 방영된 코미디TV 수목 드라마이다.

등장 인물

주요 인물

우마왕의 주변 인물

  • 이홍기 : P.K (저팔계) 역 - 톱스타, 멧돼지 요괴
  • 이엘 : 마지영 역 - 우마왕의 비서, 개 요괴

손오공의 주변 인물

  • 장광 : 윤대식 (사오정) 역 - No.1 대기업 회장, 돈 끌어모으는 재물 요괴
  • 성혁 : 동장군 (하선녀의 오빠) 역 - 공원 아이스크림 가게 사장 ファユキ、孫悟空の頭お兄さんの車のテウン最強値イ・スンギ

진선미의 주변 인물

  • 김성오 : 이한주 역 - 한빛부동산 직원

그 외 주변 인물

  • 윤보라 : 앨리스 / 옥룡 역 - 대왕문어, 용왕의 아들. 현재 탑모델 앨리스의 몸에 잠시 기거 중
  • 이세영 : 좀비소녀 진부자 / 정세라 / 아사녀 역
  • 성지루 : 수보리 조사 역 - 손오공의 스승, 우마왕의 벗

그 외 인물

특별출연

촬영지

  • 소래습지생태공원
  • 워커바웃
  • 에버랜드 - 매직 가든
  • 대장금파크
  • 송도 센트럴파크
  • 씨밋갤러리 - 푸르지오 밸리
  • 합천영상테마파크
  • 이상한 나라의 미쓰윤
  • 경기도박물관
  • 문화공감 수정 - 정란각
  • 담쟁이
  • 남산서울타워(사랑의 열쇠)
  • 인천차이나타운
  • 베뉴지 웨딩
  • 최인아책방

시청률

최저 시청률 최고 시청률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20년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1] TNmS 시청률[2]
제1회 12월 23일 5.290% 4.9%
제2회 12월 24일 4.849% 5.4%
2018년
제3회 1월 6일 5.614% 7.1%
제4회 1월 7일 6.060% 7.0%
제5회 1월 13일 6.102% 6.2%
제6회 1월 14일 6.942% 7.2%
제7회 1월 20일 5.131% 6.1%
제8회 1월 21일 5.822% 6.4%
제9회 1월 27일 5.054% 5.8%
제10회 1월 28일 6.271% 6.6%
제11회 2월 3일 5.705% 6.5%
제12회 2월 4일 5.605% 6.1%
제13회 2월 10일 4.397% 5.0%
제14회 2월 11일 5.517% 6.2%
제15회 2월 17일 3.586% 4.5%
제16회 2월 18일 4.250% 4.6%
제17회 2월 24일 3.821% 5.0%
제18회 2월 25일 5.472% 6.2%
제19회 3월 3일 5.945% 6.8%
제20회 3월 4일 6.881% 7.4%

결방 사유 및 편성 변경 및 방송 사고

사건·사고

표절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으며 첫 회 전날인 2017년 12월 23일 한 스태프가 천장에 조명을 달다 추락사고를 당했고 이 과정에서 스태프 A씨의 소속회사인 MBC아트가 그 해 12월 28일 제작사(JS픽쳐스) 법인,대표,미술감독을 업무상 과실치상,공갈,협박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3].

같이 보기

각주

  1.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2.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3. 신영은, 〈[MK이슈 희대의 방송사고+추락사고 `화유기` 이번엔 표절논란?]〉, 《매일경제》, 2018-03-06

외부 링크

코미디TV 수목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WEBTOON
(2020년 12월 9일 ~ 2020년 12월 17일)
신세계
(2020년 12월 23일 ~ 2021년 3월 4일)
요맘때
(2021년 3월 10일 ~ 2021년 5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