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블루레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블루레이'''<!--블루 레이, 블루-레이-->(blu-ray)<!--bluray, blueray, blue ray-->는 기존의 CDDVD가 사용하던 적색 레이저 대신 파장이 훨...)
 
1번째 줄: 1번째 줄:
'''블루레이'''<!--블루 레이, 블루-레이-->(blu-ray)<!--bluray, blueray, blue ray-->는 기존의 [[CD]]나 [[DVD]]가 사용하던 적색 [[레이저]] 대신 파장이 훨씬 짧은 파랑색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저장 용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킨 [[광디스크]]이다. 블루레이 한 층에 25GB를 저장할 수 있으며, 블루레이 한 장을 4개 층으로 구성할 경우 최대 128GB의 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 원래는 '''블루레이 디스크'''(blue-ray disc)라고 써야 하지만, 일반 단어는 상표권 등록이 어려워 ‘e’자를 빼고 '''blu-ray'''(블루-레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간략히 '''BD'''라고도 쓰는데, Blu-ray Disk의 약자이다.
+
'''블루레이'''<!--블루 레이, 블루-레이-->(blu-ray)<!--bluray, blueray, blue ray-->는 기존의 [[CD]]나 [[DVD]]가 사용하던 적색 [[레이저]] 대신 파장이 훨씬 짧은 파랑색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저장 용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킨 [[광디스크]]이다.
 +
 
 +
==개요==
 +
원래는 '''블루레이 디스크'''(blue-ray disc)라고 써야 하지만, 일반 단어는 상표권 등록이 어려워 ‘e’자를 빼고 '''blu-ray'''(블루-레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간략히 '''BD'''라고도 쓰는데, Blu-ray Disk의 약자이다. 블루레이 한 층에 25GB를 저장할 수 있으며, 디스크 한 면에 2층의 데이터 기록 면을 갖춘다. 듀얼 레이어(Dual layer)규격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에는 총 50GB까지 저장할 수 있다. 블루레이 한 장을 4개 층으로 구성할 경우 최대 128GB의 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 블루레이 디스크의 종류에는 데이터의 읽기만 가능한 규격인 BD-ROM, 1회만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한 BD-R, 여러 번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한 BD-RE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ref name=“블루레이”>DevilRayman, 〈[https://m.blog.naver.com/devilrayman/220876405141 블루레이란?]〉, 《네이버 블로그》, 2016-12-02</ref> 고선명 즉, HD 영사를 위해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소니가 주도하는 BDA에서 정한 광 기록 방신 저장매체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 무단 복제를 막기 위해 강력한 여러 복제 방지 기술이 구현되어 있으며, 각 디스크 별로 다르게 적용할 수 있어 한 디스크의 복제방식 기술이 무력화되더라도 다른 디스크의 복제 방지 기술에는 접근할 수 없다.<ref>행복한 그림자, 〈[https://blog.daum.net/ltvs602/654 블루레이란 ? 블루레이 dvd 차이점 체크!]〉, 《네이버 블로그》, 2018-11-28</ref>
 +
 
 +
==특징==
 +
블루레이 디스크용 푸른색 레이저는 CD/DVD용 붉은색 레이저보다 파장이 짧기 때문에 훨씬 높은 정밀도로 디스크 표면에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루레이 디스크 자체의 크기가 기존의 CD와 DVD와 같지만, 용량은 단층 규격 기준 DVD의 5배, CD의 35배나 많은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시중에 판매되는 블루레이 영화 타이틀은 대용량의 장점을 활용하여 1080p 급 고화질 영상을 담아 공급하고, 블루레이 플레이어 혹은 블루레이 드라이브를 탑재한 PC를 통해 감상할 수 있다.<ref name=“블루레이”></ref>
 +
 
 +
==코덱==
 +
===영상===
 +
코덱은 제한된 용량의 저장 매체에 보다 많은 데이터를 수록하기 위해 원본 데이터의 용량을 압축하거나 이미 압축된 데이터를 원본 상태로 되돌리는 기술로, 압축 비율이 높은 규격의 코덱일수록 같은 용량 대비 고품질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같은 화질의 블루레이 영상이라도, 해당 타이틀을 출시한 업체에 따라 영상 코덱 규격이 달라질 수 있다. 블루레이 영화 타이틀에는 MPEG-2, H.264/MPEG-4 AVC, VC-1 3가지 규격의 코덱으로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3가지 규격 외의 코덱을 사용할 경우에는 어떤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재생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MPEG-2는 다른 코덱들에 비해 압축률이 확연히 낮다. 때문에 동일한 해상도와 화질을 가진 영상을 MPEG-2 코덱을 이용해 압축하면 다른 코덱을 이용해 압축하는 것 보다 데이터 용량이 커진다. 따라서 같은 블루레이 영화 타이틀이라면 MPEG-2 코덱보다는 H.264/MPEG-4 AVC 또는 VC-1 코덱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은 용량으로 더 선명한 화질을 담을 수 있기 때문에, MPEG-2 코덱에 비해 H.264/MPEG-4 AVC 또는 VC-1 코덱이 선호되는 편이다.
 +
 
 +
===음성===
 +
블루레이의 음성 규격의 종류는 블루레이 케이스 뒷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블루레이 디스크의 대용량 장점은 영상뿐만 아니라 음향의 품질을 높이는데도 유용하다. 기존의 DVD 영화 타이틀은 돌비 디지털(Dolby Digital) 또는 DTS(Digital Theater System) 규격의 음성 코덱을 사용하여 입체 음향을 구현했지만, 블루레이의 경우 앞의 두 가지 음성 코덱보다 음질이 뛰어난 돌비 트루 HDlby True HD)나 DTS HD 마스터 오디오(Digital Theater System HD Master Audio) 규격의 음성 코덱도 지원한다. 일부 블루레이 영화 타이틀은 별도의 음성 코덱을 사용하지 않고, 무압축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의 입체 음향이 수록된 경우도 있다. 다만 무압축 PCM 방식으로 5.1 채널이나 7.1 채널의 입체 음향을 수록할 경우 1~2시간짜리 영화에서 음성 데이터 용량만 수십 GB를 차지하기 때문에, 전체 디스크에서 영상 데이터 용량보다 음향 데이터 용량이 몇 배나 더 커지게 된다.<ref name=“블루레이”></ref>
 +
 
 +
===BD-J===
 +
 
 +
==드라이브==
 +
블루레이 드라이브를 장착하면 PC에서도 블루레이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고, 블루레이 디스크를 PC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PC용 블루레이 드라이브가 있어야한다. CD 드라이브나 DVD 드라이브와 달리, 블루레이 드라이브는 CD와 DVD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블루레이 드라이브가 장착된 PC라면 CD 드라이브나 DVD 드라이브를 별도로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블루레이 드라이브는 디스크의 읽기만 하는 드라이브, 기록 기능을 가지고 있는 드라이브, 재 기록 기능을 가지고 있는 드라이브 등 몇 가지 종류가 있다.
 +
 
 +
*BD-ROM: CD, DVD 계열은 물론 블루레이 계열 디스크까지 모두 읽을 수 있는 제품으로서, 쓰기 기능은 없다. BD-ROM 드라이브 보다는 단순히 블루레이 드라이브라고 부르는 일이 더 많다.
 +
*BD 콤보 드라이브: BD-ROM 드라이브에 CD/DVD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것으로, CD와 DVD의 읽기, 쓰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블루레이 디스크는 읽기만 가능하다. 블루레이 콤보라고 부르기도 한다.
 +
*BD 레코드: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해 CD, DVD 등 시중에 나와 있는 거의 모든 디스크의 읽기와 기록이 가능한 제품이다. 좀 더 정확히는 BD 콤보 드라이브에 BD-R의 기록 기능을 더한 것을 BD-R 레코더, BD-RE의 재기록 기능까지 더한 것을 BD-RE 레코더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기록만 가능한 BD-R 제품은 시장에 거의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시중에서 BD 레코더 혹은 블루레이 레코더라고 하는 제품들은 대부분 BD-RE레코더를 의미한다.<ref name=“블루레이”></ref>
 +
 
 +
==복제 방지 기술==
 +
==지역 코드==
 +
 
 +
==비교==
 +
===HD DVD===
 +
 
 +
===DVD===
 +
<ref>znrnd,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owon009&logNo=221545326559&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블루레이란 뜻 및 DVD 와의 차이점 핵심만 살펴보기]〉, 《네이버 블로그》, 2019-05-24</ref>
 +
 
 +
{{각주}}
 +
 
 +
==참고자료==
 +
*DevilRayman, 〈[https://m.blog.naver.com/devilrayman/220876405141 블루레이란?]〉, 《네이버 블로그》, 2016-12-02
 +
*복한 그림자, 〈[https://blog.daum.net/ltvs602/654 블루레이란 ? 블루레이 dvd 차이점 체크!]〉, 《네이버 블로그》, 2018-11-28
 +
*znrnd,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owon009&logNo=221545326559&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블루레이란 뜻 및 DVD 와의 차이점 핵심만 살펴보기]〉, 《네이버 블로그》, 2019-05-24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1년 1월 29일 (금) 17:58 판

블루레이(blu-ray)는 기존의 CDDVD가 사용하던 적색 레이저 대신 파장이 훨씬 짧은 파랑색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저장 용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킨 광디스크이다.

개요

원래는 블루레이 디스크(blue-ray disc)라고 써야 하지만, 일반 단어는 상표권 등록이 어려워 ‘e’자를 빼고 blu-ray(블루-레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간략히 BD라고도 쓰는데, Blu-ray Disk의 약자이다. 블루레이 한 층에 25GB를 저장할 수 있으며, 디스크 한 면에 2층의 데이터 기록 면을 갖춘다. 듀얼 레이어(Dual layer)규격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에는 총 50GB까지 저장할 수 있다. 블루레이 한 장을 4개 층으로 구성할 경우 최대 128GB의 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 블루레이 디스크의 종류에는 데이터의 읽기만 가능한 규격인 BD-ROM, 1회만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한 BD-R, 여러 번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한 BD-RE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1] 고선명 즉, HD 영사를 위해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소니가 주도하는 BDA에서 정한 광 기록 방신 저장매체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 무단 복제를 막기 위해 강력한 여러 복제 방지 기술이 구현되어 있으며, 각 디스크 별로 다르게 적용할 수 있어 한 디스크의 복제방식 기술이 무력화되더라도 다른 디스크의 복제 방지 기술에는 접근할 수 없다.[2]

특징

블루레이 디스크용 푸른색 레이저는 CD/DVD용 붉은색 레이저보다 파장이 짧기 때문에 훨씬 높은 정밀도로 디스크 표면에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루레이 디스크 자체의 크기가 기존의 CD와 DVD와 같지만, 용량은 단층 규격 기준 DVD의 5배, CD의 35배나 많은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시중에 판매되는 블루레이 영화 타이틀은 대용량의 장점을 활용하여 1080p 급 고화질 영상을 담아 공급하고, 블루레이 플레이어 혹은 블루레이 드라이브를 탑재한 PC를 통해 감상할 수 있다.[1]

코덱

영상

코덱은 제한된 용량의 저장 매체에 보다 많은 데이터를 수록하기 위해 원본 데이터의 용량을 압축하거나 이미 압축된 데이터를 원본 상태로 되돌리는 기술로, 압축 비율이 높은 규격의 코덱일수록 같은 용량 대비 고품질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같은 화질의 블루레이 영상이라도, 해당 타이틀을 출시한 업체에 따라 영상 코덱 규격이 달라질 수 있다. 블루레이 영화 타이틀에는 MPEG-2, H.264/MPEG-4 AVC, VC-1 3가지 규격의 코덱으로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3가지 규격 외의 코덱을 사용할 경우에는 어떤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재생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MPEG-2는 다른 코덱들에 비해 압축률이 확연히 낮다. 때문에 동일한 해상도와 화질을 가진 영상을 MPEG-2 코덱을 이용해 압축하면 다른 코덱을 이용해 압축하는 것 보다 데이터 용량이 커진다. 따라서 같은 블루레이 영화 타이틀이라면 MPEG-2 코덱보다는 H.264/MPEG-4 AVC 또는 VC-1 코덱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은 용량으로 더 선명한 화질을 담을 수 있기 때문에, MPEG-2 코덱에 비해 H.264/MPEG-4 AVC 또는 VC-1 코덱이 선호되는 편이다.

음성

블루레이의 음성 규격의 종류는 블루레이 케이스 뒷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블루레이 디스크의 대용량 장점은 영상뿐만 아니라 음향의 품질을 높이는데도 유용하다. 기존의 DVD 영화 타이틀은 돌비 디지털(Dolby Digital) 또는 DTS(Digital Theater System) 규격의 음성 코덱을 사용하여 입체 음향을 구현했지만, 블루레이의 경우 앞의 두 가지 음성 코덱보다 음질이 뛰어난 돌비 트루 HDlby True HD)나 DTS HD 마스터 오디오(Digital Theater System HD Master Audio) 규격의 음성 코덱도 지원한다. 일부 블루레이 영화 타이틀은 별도의 음성 코덱을 사용하지 않고, 무압축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의 입체 음향이 수록된 경우도 있다. 다만 무압축 PCM 방식으로 5.1 채널이나 7.1 채널의 입체 음향을 수록할 경우 1~2시간짜리 영화에서 음성 데이터 용량만 수십 GB를 차지하기 때문에, 전체 디스크에서 영상 데이터 용량보다 음향 데이터 용량이 몇 배나 더 커지게 된다.[1]

BD-J

드라이브

블루레이 드라이브를 장착하면 PC에서도 블루레이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고, 블루레이 디스크를 PC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PC용 블루레이 드라이브가 있어야한다. CD 드라이브나 DVD 드라이브와 달리, 블루레이 드라이브는 CD와 DVD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블루레이 드라이브가 장착된 PC라면 CD 드라이브나 DVD 드라이브를 별도로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블루레이 드라이브는 디스크의 읽기만 하는 드라이브, 기록 기능을 가지고 있는 드라이브, 재 기록 기능을 가지고 있는 드라이브 등 몇 가지 종류가 있다.

  • BD-ROM: CD, DVD 계열은 물론 블루레이 계열 디스크까지 모두 읽을 수 있는 제품으로서, 쓰기 기능은 없다. BD-ROM 드라이브 보다는 단순히 블루레이 드라이브라고 부르는 일이 더 많다.
  • BD 콤보 드라이브: BD-ROM 드라이브에 CD/DVD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것으로, CD와 DVD의 읽기, 쓰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블루레이 디스크는 읽기만 가능하다. 블루레이 콤보라고 부르기도 한다.
  • BD 레코드: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해 CD, DVD 등 시중에 나와 있는 거의 모든 디스크의 읽기와 기록이 가능한 제품이다. 좀 더 정확히는 BD 콤보 드라이브에 BD-R의 기록 기능을 더한 것을 BD-R 레코더, BD-RE의 재기록 기능까지 더한 것을 BD-RE 레코더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기록만 가능한 BD-R 제품은 시장에 거의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시중에서 BD 레코더 혹은 블루레이 레코더라고 하는 제품들은 대부분 BD-RE레코더를 의미한다.[1]

복제 방지 기술

지역 코드

비교

HD DVD

DVD

[3]

각주

  1. 1.0 1.1 1.2 1.3 DevilRayman, 〈블루레이란?〉, 《네이버 블로그》, 2016-12-02
  2. 행복한 그림자, 〈블루레이란 ? 블루레이 dvd 차이점 체크!〉, 《네이버 블로그》, 2018-11-28
  3. znrnd, 〈블루레이란 뜻 및 DVD 와의 차이점 핵심만 살펴보기〉, 《네이버 블로그》, 2019-05-24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블루레이 문서는 컴퓨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