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스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114.203.105.47(토론)의 편집을 220.86.111.199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1번째 줄: 1번째 줄:
 
+
{{다른뜻|해커스랩㈜}}
 +
[[파일:해커스랩 로고.png|썸네일|200픽셀|'''해커스랩'''(HackersLab)]]
 +
[[파일:해커스랩 글자.png|썸네일|300픽셀|'''해커스랩'''(HackersLab)]]
 
[[파일:해커스랩.jpg|오른쪽|100픽셀|썸네일|해커스랩 캐릭터]]
 
[[파일:해커스랩.jpg|오른쪽|100픽셀|썸네일|해커스랩 캐릭터]]
'''해커스랩'''(HackersLab)은 보안 소프트웨어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웹사이트이다. 2013년 6월에 설립된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이자 [[모파스]](MoFAS)라는 암호화폐를 개발한 [[해커스랩㈜]]해커스랩은 보안솔루션개발 및 시큐어코딩 ,모의해킹 취약점진단을 전문으로하는 정보보안회사다.
+
'''해커스랩'''(HackersLab)은 보안 소프트웨어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웹사이트이다. 2013년 6월에 설립된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이자 [[모파스]](MoFAS)라는 암호화폐를 개발한 [[해커스랩㈜]]와 이름은 비슷해도 업무상 아무런 관련이 없는 별개의 사이트이다.
  
 
== 역사 ==
 
== 역사 ==
 +
해커스랩은 1999년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 기업인 [[㈜시큐어소프트]]<!--시큐어소프트-->의 부설 연구소로 출범했다. 2000년 ㈜시큐어소프트에서 분사하여 별도의 법인회사인 [[㈜해커스랩]]을 설립했다.
 +
 +
해커스랩은 프리해킹존(free hacking zone)이라는 해킹 및 컴퓨터 보안 관련 문제를 출제하고, 문제를 모두 푸는 해커의 이름을 '명예의 전당'에 올려주었다. 프리해킹존 사이트 오픈 3개월만에 약 25만명이 방문했고, 약 100명이 명예의 전당에 등록되었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B4%EC%BB%A4%EC%8A%A4%EB%9E%A9 해커스랩]〉, 《위키백과》</ref> 1999년 11월에는 한국 최초의 해킹대회인 왕중왕(King of Fight) 해킹대회를 개최했다. 또한 세계정보보호 올림페이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했다. 2002년 [[해커스랩 평생교육원]]을 설립했다. 하지만, 보안 수요의 감소로 인해 2003년부터 경영이 악화되었고, 11월 정부가 지정하는 '정보보호 안전진단 컨설팅 업체' 심사에서 탈락했다. 2005년 2월 ㈜해커스랩이 폐업했다. 해커스랩 출신들은 한국의 보안 관련 산업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 해커스랩㈜는 기존 해커스랩 사이트의 설립한 해커대학 유영일 총장과 김태순대표가 해커스랩의 교육 사업 담당의 후견에 의해 해커스랩㈜의 사업이 시작되게 되었다.
+
2016년 4월 1일 기존의 ㈜해커스랩이 폐업한지 11년만에 다시 해커스랩 사이트를 공개 오픈했다. 별도의 회사가 없이, 기존 운영진들이 주축이 되어, 해커스랩(http://www.hackerslab.org )이라는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
== 모파스와 무관 ==
 +
해커스랩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인 [[모파스]](MoFAS)를 개발한 [[해커스랩㈜]]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 해커스랩은 해커스랩㈜와 이름이 비슷하지만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홈페이지에 다음과 같이 명확히 적어두었다.
 +
* 해커스랩㈜는 기존 해커스랩 사이트의 운영진 혹은 ㈜해커스랩 출신의 직원이 차린 회사가 아니다. 다만, 해커대학 유영일 총장이 전 해커스랩의 교육 사업 담당의 후견에 의해 해커스랩㈜의 사업이 시작되게 되었다.
 +
* 기존 해커스랩 운영진 혹은  ㈜해커스랩 경영진은  해커스랩㈜로부터 해커스랩㈜ 설립 관련하여 아무런 정보도 들은 적이 없으며, 해커스랩㈜ 설립을 추천, 권유, 동의, 관여한 바가 전혀 없다.<ref>[https://www.hackerslab.org/faq/ 해커스랩 공식 홈페이지 F.A.Q.]</ref>
  
 +
{{각주}}
  
 +
== 참고자료 ==
 +
* 해커스랩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hackerslab.org
 +
* 〈[https://ko.wikipedia.org/wiki/%ED%95%B4%EC%BB%A4%EC%8A%A4%EB%9E%A9 해커스랩]〉, 《위키백과》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1년 8월 30일 (월) 21:56 판

            가기.png (다른뜻) 해커스랩㈜에 대해 보기

해커스랩(HackersLab)
해커스랩(HackersLab)
해커스랩 캐릭터

해커스랩(HackersLab)은 보안 소프트웨어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웹사이트이다. 2013년 6월에 설립된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이자 모파스(MoFAS)라는 암호화폐를 개발한 해커스랩㈜와 이름은 비슷해도 업무상 아무런 관련이 없는 별개의 사이트이다.

역사

해커스랩은 1999년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 기업인 ㈜시큐어소프트의 부설 연구소로 출범했다. 2000년 ㈜시큐어소프트에서 분사하여 별도의 법인회사인 ㈜해커스랩을 설립했다.

해커스랩은 프리해킹존(free hacking zone)이라는 해킹 및 컴퓨터 보안 관련 문제를 출제하고, 문제를 모두 푸는 해커의 이름을 '명예의 전당'에 올려주었다. 프리해킹존 사이트 오픈 3개월만에 약 25만명이 방문했고, 약 100명이 명예의 전당에 등록되었다.[1] 1999년 11월에는 한국 최초의 해킹대회인 왕중왕(King of Fight) 해킹대회를 개최했다. 또한 세계정보보호 올림페이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했다. 2002년 해커스랩 평생교육원을 설립했다. 하지만, 보안 수요의 감소로 인해 2003년부터 경영이 악화되었고, 11월 정부가 지정하는 '정보보호 안전진단 컨설팅 업체' 심사에서 탈락했다. 2005년 2월 ㈜해커스랩이 폐업했다. 해커스랩 출신들은 한국의 보안 관련 산업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2016년 4월 1일 기존의 ㈜해커스랩이 폐업한지 11년만에 다시 해커스랩 사이트를 공개 오픈했다. 별도의 회사가 없이, 기존 운영진들이 주축이 되어, 해커스랩(http://www.hackerslab.org )이라는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모파스와 무관

해커스랩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인 모파스(MoFAS)를 개발한 해커스랩㈜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 해커스랩은 해커스랩㈜와 이름이 비슷하지만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홈페이지에 다음과 같이 명확히 적어두었다.

  • 해커스랩㈜는 기존 해커스랩 사이트의 운영진 혹은 ㈜해커스랩 출신의 직원이 차린 회사가 아니다. 다만, 해커대학 유영일 총장이 전 해커스랩의 교육 사업 담당의 후견에 의해 해커스랩㈜의 사업이 시작되게 되었다.
  • 기존 해커스랩 운영진 혹은 ㈜해커스랩 경영진은 해커스랩㈜로부터 해커스랩㈜ 설립 관련하여 아무런 정보도 들은 적이 없으며, 해커스랩㈜ 설립을 추천, 권유, 동의, 관여한 바가 전혀 없다.[2]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