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해시넷
218.146.11.79 (토론)님의 2019년 7월 22일 (월) 17:4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eGovFrame; Electronic Government Standard Framework)로고와 글자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eGovFrame; Electronic Government Standard Framework)는 오픈소스 기반으로 대한민국 정부가 만든 표준 프레임워크이다. 각 업체별로 서로 다른 프레임워크컴포넌트를 사용함에 따르는 중복 개발을 막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단일한 표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주로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와 아이바티스(iBatis)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개발했으며, 아파치 라이선스(Apache License)로 배포하고 있다. 2009년 6월 1.0 버전이 배포되었고, 2015년 6월 3.5 버전이 배포되었다. '전자정부 프레임웍'이 아니라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가 올바른 표기법이다.

역사

2007년,2008년

  • ISP을 수립,삼성 SDSLG CNS,SK C&C 같은 대기업이나 티맥소프트같은 중소기업이JAVA기반으로한 표준프레임워크 실행, 개발 , 관리환경,공통컴포넌트172종의 1.0 버전을 발표했다

2009년

2010년,2011년

  • 3단계 구축사업을 통해서 공통 컴포넌트 47종 구축과 CMMI인증을 휙득
  • 4단계 구축사업을 통해서 오픈소스 버전업글과 경량화,모바일 프레임을 구축 버전 2.0을 발표함.
  • 5단계 구축사업은 배치프레임워크까지 포함한다.

특징

  • 오픈소스 기반으로 특정사업자에 대한 종속성을 베제
  • 이클립스 기반의 모델링,디버깅,컴파일링등의 편한 환경을 제공한다.
  • 기술발전에 따른 모듈교체가 용이하다.
  • 지속적인 의견수렴과 정보교환을통한 국가적차원의 표준화
  • 실행환경을 필수적인 부분과 선택적 부분으로 분리하여 배포하므로 경량화된 환경을 구성한다.[1]

활용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kimst)

*내부 업무시스템인 경영정보시스템,그룹웨어시스템을 교체하여 사용자 중심의 기능으로 업무 효율성이 높아졌다.
  • 향후에도 경영혁신의 기반이 될 것이라며 확대할 계획이다.

아이온컴즈

  • 전지정보프레임워크호환성 레벨 1을 휙득했다.
  • 공공시장영역까지도 안정적인 솔루션으로 공급하겠다 밝힘.

문제점

  • black box 형태로 제공되어서 사업자의 기술지원없이는 응용SW의 유지,보수가 힘들다.
  • 복수개일 경우엔 프레임워크의 중복투자가 우려되고 관리 절차의 마비로 버전관리가 힘들다.

각주

  1. 바다,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설명〉, 《네이버》, 2016-04-20

미래전망 및 평가

  • 대규모의 프로젝트에서는 전자정부프레임워크는 필수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 해외에도 수출되는 기술이므로 iot,cloud,big data,mobile같은4차산업혁명에서는 더 늘어날 것이다.[1]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문서는 프로그래밍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1. 비젠트로 이야기, 〈ICBM으로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서다...〉, 《네이버》, 2017-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