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컴퓨터 바이러스

해시넷
218.146.11.126 (토론)님의 2019년 7월 29일 (월) 10:4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컴퓨터 바이러스(computer virus)란 스스로 복제하여 다른 프로그램을 감염시키고 컴퓨터파일이나 데이터를 파괴하거나 속도 저하, 정보유출, 오작동 등을 일으키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정식 명칭은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computer virus program)이다. 간단히 바이러스라고 한다. 멀웨어(malware)의 일종이다. 백신(vaccin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진단 및 치료할 수 있다.

개요

컴퓨터 바이러스(computer virus)는 스스로를 복제하여 컴퓨터를 감염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복제 기능이 없는 다른 종류의 악성 코드, 애드웨어, 스파이웨어와 혼동하여 잘못 쓰이는 경우도 있다. 바이러스는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일부 형식의 실행 코드로) 확산할 수 있다. 이를테면 사용자는 인터넷이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또는 플로피 디스크, CD, DVD, USB 드라이브와 같은 이동식 매체를 통하여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 바이러스는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이나, 다른 컴퓨터를 통해 접근하는 파일 시스템 상의 파일을 감염시킴으로써 다른 컴퓨터로의 확산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역사

1970년대에 인터넷의 선구자인 아파넷에서 크리퍼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됐으며 이것이 최초의 바이러스로 기록되어 있다. 크리퍼는 실험적인 자기 복제 프로그램이었으며 1971년에 BBN에서 밥 토머스가 작성한 것이다. 크리퍼는 아파넷을 사용하여 TENEX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DEC PDP-10 컴퓨터들을 감염시켰다. 크리퍼는 아파넷을 통한 접근 권한을 얻었고 스스로를 "I'm the creeper, catch me if you can!"(나는 크리퍼다, 잡을 수 있다면 나 잡아봐라!)라는 메시지가 있는 원격 시스템에 복사시켰다. 뒤에 리퍼(Reaper)라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크리퍼 바이러스를 지우게 되었다.

개인용 컴퓨터에서 발견된 최초의 바이러스는 (c)브레인이라고 하는 부트 섹터 바이러스였으며 1986년에 파루크 앨비 형제가 만들었다. 1990년대 중반에 매크로 바이러스가 일상화되었다. 이 바이러스 대부분이 워드와 액셀과 같은 마이크로소프트 프로그램을 위한 스크립팅 언어로 기록되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를 통하여 문서와 스프레드시트를 감염시키며 퍼져나갔다. 워드와 액셀이 OS X에서도 사용할 수 있었으므로 이 대부분이 매킨토시 컴퓨터에도 퍼질 수 있었다.

2002년에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을 사용하여 확산된 바이러스가 처음 보고되었으며 학술적으로는 2005년에 증명되었다.

최초의 바이러스

'이동'이 아니라 진짜 '복제' 개념이 들어간 최초의 바이러스는 '엘크 클로너(Elk Cloner)'라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1982년 경에 만들어졌는데, 놀랍게도 이를 만든 이는 당시 15세였던 리처드 '리치' 스크렌타라는 소년이었다. 이 Elk Cloner는 Apple II 시스템에만 감염되었으며 부팅용 플로피 디스크에 감염되는 일종의 부트 섹터 바이러스였다. Elk Cloner는 부팅된 이후 메모리에 남아있다가 만약 감염되지 않은 새로운 디스크가 컴퓨터에 들어오면 자신을 해당 디스크에 감염시켰다. 이런 식으로 Elk Cloner는 디스크에서 디스크를 통해 감염되는 프로그램이었다. Elk Cloner는 특별히 파괴적인 활동을 벌이지는 않았으며, 감염된 컴퓨터는(정확히는 플로피 디스크) 감염된 뒤 50번째로 부팅하면 다음과 같은 짧은 시를 출력했다.

  • 엘크 복제자 : 자아를 가진 프로그램
  • ‘그것은 너의 모든 디스크를 헤집으며,’
  • ‘네 칩 속을 드나들지.’
  • ‘그래, 그것이 바로 복제자다!'
  • ‘그것은 끈끈이처럼 너에게 들러붙고’
  • ‘너의 또한 휘저어 놓지.’
  • ‘복제자를 들여보내라!’

컴퓨터를 잘 모르는 이가 보기엔 마치 컴퓨터가 진짜 자아를 가져서 이런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으로 여길지도 모른다. 한편 이 Elk Cloner는 실질적으로 별다른 피해를 주는 것은 없었고, 이 Elk cloner가 퍼져나간 범위도 개발자인 스크렌타의 주변 인물 정도였기 때문에 이것에 대한 백신이 개발된 적은 없다고 한다.[1]

그렇다면 악의적 컴퓨터 바이러스가 세상에 퍼지게 된 경위는 무엇일까? 그 경위에는 여러 가지 설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설, 경쟁사 등에 타격을 주기 위한 상업적 목적으로 만들었다는 설, 소프트웨어의 유통 경로 등을 추적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설 등이 대두된다. 그러나 이는 은밀하게 유포되는 바이러스의 특성상 정확하게 구분 짓기는 어렵고 복합적이고 전반적인 경위로 보아야 할 것이다.

종류

  • 바이러스 : 대부분의 매체와 일반 최종 사용자는 뉴스에 보도되는 모든 악성코드 프로그램을 컴퓨터 바이러스라고 부른다. 바이러스는 다른 파일을 "감염"시키는 유일한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  : 웜은 컴퓨터 바이러스보다 훨씬 오래전인 메인프레임 시대부터 있었다. 이메일로 인해 1990년대에 유행했고 컴퓨터 보안 전문가들은 메시지 첨부 파일로 도착하는 악성 웜에 약 10년 동안 시달렸다. 효과적인 웜은 최종 사용자의 행동 없이 확산된다는 점에서 치명적이다.
  • 트로이 목마 : 해커들은 컴퓨터 웜 대신에 트로이 목마 악성코드 프로그램을 선택했다. 트로이 목마는 정상 프로그램으로 가장하지만 악성 지침에 포함되어 있다. 컴퓨터 바이러스보다 역사가 길지만 그 어떤 유형의 악성코드보다도 현대의 컴퓨터를 더욱 자주 감염시키고 있다.
  • 컴퓨터 웜 : 프로그램 복제가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감염되는 경우이다.(숙주인 컴퓨터 내부에서만 증식을 하는 악성코드를 바이러스 라고 하며, 숙주 컴퓨터가 필요없이 네트워크상에서 계속 증식이 가능한 악성코드를 이라고 한다)
  • 웜 바이러스 : 웜과 바이러스의 특징을 결합하여 프로그램에 기생하며 네트워크로도 감염시키는 경우이다.
  • 시동 바이러스 : 시동 바이러스(boot virus)는 컴퓨터를 처음 시동할 때 실행되는 시동 프로그램에 기생하는 컴퓨터 바이러스이다. 시동 바이러스는 일단 감염이 되면 시동 프로그램에 자리잡게 된다. 그렇게 되면 컴퓨터를 처음 시동하고 그 뒤에 디스크 시동을 시작하는 순간 해당 바이러스도 메모리 상주 형식으로 같이 활동을 하면서 시동을 방해하는 등의 작동을 한다. 대표적인 시동 바이러스에는 미켈란젤로 바이러스, 브레인 바이러스, LBC 돌 바이러스 등이 있다.
  • 하이브리드와 이국적인 형태 : 대부분의 악성코드는 전통적인 악성 프로그램들의 조합이며 트로이 목마와 웜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고 바이러스가 포함될 때도 있다. 일반적으로 악성코드 프로그램은 최종 사용자에게 트로이 목마로 표시되지만 실행해 보면 웜과 마찬가지로 네트워크상의 다른 피해자를 공격한다.
  • 랜섬웨어 :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볼모로 잡고 암호 화폐로 몸값을 지불할 때까지 기다리는 악성코드 프로그램이 지난 수 년 동안 악성코드 중 큰 비중을 차지했고 그 비율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랜섬웨어 프로그램은 트로이 목마이기 때문에 일종의 소셜 엔지니어링을 통해 확산되어야 한다. 다른 모든 유형의 악성코드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예방이 가능하지만, 일단 실행되면 검증을 거친 정상적인 백업 없이는 피해를 되돌리기 어려울 수 있다.
  • 파일리스 악성코드 : 파일리스 악성코드는 악성코드와 다르지는 않지만 익스플로잇 공격을 수행하고 버티는 방법에 대한 설명에 가깝다. 전통적인 악성코드는 파일 시스템을 이용해 이동하고 새로운 시스템을 감염시킨다. 현재 전체 악성코드 중 50% 이상을 구성하고 있으며 증가하고 있는 파일리스 악성코드는 파일 또는 파일 시스템을 직접 사용하지 않는 악성코드이다.
  • 애드웨어 : 운이 좋다면 유일하게 마주친 악성코드 프로그램이 해킹된 최종 사용자를 원치 않고 잠재적으로 악의적인 광고에 노출시키는 애드웨어일 것이다. 일반적인 애드웨어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브라우저 검색을 다른 제품 광고가 포함된 유사한 웹 페이지로 재전송할 것이다.
  • 스파이웨어 : 스파이웨어는 사랑하는 사람의 컴퓨터 활동을 확인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자주 사용한다. 물론, 표적 공격에서 범죄자는 스파이웨어를 사용하여 피해자의 키 입력을 기록하고 암호 또는 지적 재산에 접근할 수 있다. 애드웨어와 스파이웨어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제거가 가장 쉬우며, 그 이유는 다른 유형의 악성코드만큼 목적이 비도덕적이지 않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악성 실행 파일을 찾아 실행되지 않도록 하면 그만이다.

바이러스 증상

다음 증상이 지속적, 또는 갑자기 발생하면 바이러스 감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 컴퓨터가 평소와 달리 심하게 느려지는 경우
  • 아예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
  •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이 평소보다 더디게 진행되는 경우
  • 특정 파일 등의 정보(크기, 이름 등)가 지속적으로 변하는 경우
  • 기타 평소 발생하지 않은 의심스러운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 이상한 파일(예: wosfawr.exe, iliawtzg.exe등)이 생성된 경우

그리고 몇몇 바이러스들은 증상이 심해지거나 본격적인 증상이 발동되면, 제작자의 메세지나 장난성 그래픽 효과가 튀어나오기도 한다. 이는 바이러스 제작자가 스스로를 과시하기 위한 용도, 혹은 모종의 메세지를 주기 위해서일 가능성이 크다.

대안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해선 여타 다른 악성코드들과 다를 것 없이, 우선 안티 바이러스 소프트웨어를 활성화하고, 항상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며 윈도우 보안 업데이트를 설치해야만 한다. 또한 의심스러운 사이트나 프로그램 등은 실행 전 충분한 경계가 요구된다. 대부분의 안티 바이러스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바이러스들을 감지하고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는 웹사이트 등의 경우 바이러스 토탈 등으로 검사하는 것도 좋다. 주기적으로 컴퓨터의 임시 파일을 정리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요즘 백신도 잡아내지 못하는 바이러스도 종종 등장하고 있는데, 시스템 파일 중 하나로 위장하고 원래 시스템 파일은 먹통으로 만드는 바이러스도 있다. 시스템 파일은 삭제하기도 힘들고 잘못 건들면 컴퓨터를 먹통으로 만들기도 하니 치료에 주의해야 한다.

사례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컴퓨터 바이러스 문서는 보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