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연결리스트

해시넷
rlatpdbs2931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8월 11일 (화) 10:44 판 (새 문서: '''연결 리스트'''(Linked list)란 리스트 구현의 한 방법으로 일정한 순서를 가지는 자료들의 저장과 탐색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각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연결 리스트(Linked list)란 리스트 구현의 한 방법으로 일정한 순서를 가지는 자료들의 저장과 탐색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각 데이터 요소들에 이전데이터나 다음데이터를 가리키는 참조를 추가적으로 부여하여 자료들을 연결하는 방법을 말한다.[1]


역사

연결 리스트는 1955~1956년에 랜드 연구소에서 앨런 뉴웰, 클리프 셔, 허버트 A. 사이먼이 그들의 정보 처리 언어(IPL)를 위한 1차 자료 구조로서 개발하였다.

개요

각 자료는 이전 데이터나 다음 데이터에 대한 참조를 가져야 하므로 연결 리스트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와 다른 데이터에 대한 참조를 표현한 구조여야 하며 이를 노드(node)라고 부른다.[1] 연결리스트는 각 노드가 데이터와 포인터를 가지고 한 줄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의 자료구조이다. 데이터를 담고 있는 노드들이 연결되어 있고, 노드의 포인터가 이전, 다음노드와의 연결을 담당한다. [2]

특징

구성

==

각주

  1. 1.0 1.1 배열과 리스트 비교〉, 《개발이 하고 싶어요》, 2014-04-05
  2. 연결리스트 구현하기〉, 《freestrokes》, 2019-04-18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연결리스트 문서는 데이터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