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블루레이

해시넷
jingayoun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2월 1일 (월) 11:21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블루레이(blu-ray)는 기존의 CDDVD가 사용하던 적색 레이저 대신 파장이 훨씬 짧은 파랑색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저장 용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킨 광디스크이다.

개요

원래는 블루레이 디스크(blue-ray disc)라고 써야 하지만, 일반 단어는 상표권 등록이 어려워 ‘e’자를 빼고 blu-ray(블루-레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간략히 BD라고도 쓰는데, Blu-ray Disk의 약자이다. 블루레이 한 층에 25GB를 저장할 수 있으며, 디스크 한 면에 2층의 데이터 기록 면을 갖춘다. 듀얼 레이어(Dual layer)규격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에는 총 50GB까지 저장할 수 있다. 블루레이 한 장을 4개 층으로 구성할 경우 최대 128GB의 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 블루레이 디스크의 종류에는 데이터의 읽기만 가능한 규격인 BD-ROM, 1회만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한 BD-R, 여러 번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한 BD-RE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1] 고선명 즉, HD 영사를 위해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소니가 주도하는 BDA에서 정한 광 기록 방신 저장매체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 무단 복제를 막기 위해 강력한 여러 복제 방지 기술이 구현되어 있으며, 각 디스크 별로 다르게 적용할 수 있어 한 디스크의 복제방식 기술이 무력화되더라도 다른 디스크의 복제 방지 기술에는 접근할 수 없다.[2]

특징

블루레이 디스크용 푸른색 레이저는 CD/DVD용 붉은색 레이저보다 파장이 짧기 때문에 훨씬 높은 정밀도로 디스크 표면에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루레이 디스크 자체의 크기가 기존의 CD와 DVD와 같지만, 용량은 단층 규격 기준 DVD의 5배, CD의 35배나 많은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시중에 판매되는 블루레이 영화 타이틀은 대용량의 장점을 활용하여 1080p 급 고화질 영상을 담아 공급하고, 블루레이 플레이어 혹은 블루레이 드라이브를 탑재한 PC를 통해 감상할 수 있다.[1]

코덱

영상

코덱은 제한된 용량의 저장 매체에 보다 많은 데이터를 수록하기 위해 원본 데이터의 용량을 압축하거나 이미 압축된 데이터를 원본 상태로 되돌리는 기술로, 압축 비율이 높은 규격의 코덱일수록 같은 용량 대비 고품질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같은 화질의 블루레이 영상이라도, 해당 타이틀을 출시한 업체에 따라 영상 코덱 규격이 달라질 수 있다. 블루레이 영화 타이틀에는 MPEG-2, H.264/MPEG-4 AVC, VC-1 3가지 규격의 코덱으로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3가지 규격 외의 코덱을 사용할 경우에는 어떤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재생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MPEG-2는 다른 코덱들에 비해 압축률이 확연히 낮다. 때문에 동일한 해상도와 화질을 가진 영상을 MPEG-2 코덱을 이용해 압축하면 다른 코덱을 이용해 압축하는 것 보다 데이터 용량이 커진다. 따라서 같은 블루레이 영화 타이틀이라면 MPEG-2 코덱보다는 H.264/MPEG-4 AVC 또는 VC-1 코덱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은 용량으로 더 선명한 화질을 담을 수 있기 때문에, MPEG-2 코덱에 비해 H.264/MPEG-4 AVC 또는 VC-1 코덱이 선호되는 편이다.

음성

블루레이의 음성 규격의 종류는 블루레이 케이스 뒷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블루레이 디스크의 대용량 장점은 영상뿐만 아니라 음향의 품질을 높이는데도 유용하다. 기존의 DVD 영화 타이틀은 돌비 디지털(Dolby Digital) 또는 DTS(Digital Theater System) 규격의 음성 코덱을 사용하여 입체 음향을 구현했지만, 블루레이의 경우 앞의 두 가지 음성 코덱보다 음질이 뛰어난 돌비 트루 HDlby True HD)나 DTS HD 마스터 오디오(Digital Theater System HD Master Audio) 규격의 음성 코덱도 지원한다. 일부 블루레이 영화 타이틀은 별도의 음성 코덱을 사용하지 않고, 무압축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의 입체 음향이 수록된 경우도 있다. 다만 무압축 PCM 방식으로 5.1 채널이나 7.1 채널의 입체 음향을 수록할 경우 1~2시간짜리 영화에서 음성 데이터 용량만 수십 GB를 차지하기 때문에, 전체 디스크에서 영상 데이터 용량보다 음향 데이터 용량이 몇 배나 더 커지게 된다.[1]

드라이브

블루레이 드라이브를 장착하면 PC에서도 블루레이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고, 블루레이 디스크를 PC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PC용 블루레이 드라이브가 있어야한다. CD 드라이브나 DVD 드라이브와 달리, 블루레이 드라이브는 CD와 DVD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블루레이 드라이브가 장착된 PC라면 CD 드라이브나 DVD 드라이브를 별도로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블루레이 드라이브는 디스크의 읽기만 하는 드라이브, 기록 기능을 가지고 있는 드라이브, 재 기록 기능을 가지고 있는 드라이브 등 몇 가지 종류가 있다.

  • BD-ROM: CD, DVD 계열은 물론 블루레이 계열 디스크까지 모두 읽을 수 있는 제품으로서, 쓰기 기능은 없다. BD-ROM 드라이브 보다는 단순히 블루레이 드라이브라고 부르는 일이 더 많다.
  • BD 콤보 드라이브: BD-ROM 드라이브에 CD/DVD 레코더의 기능을 합친 것으로, CD와 DVD의 읽기, 쓰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블루레이 디스크는 읽기만 가능하다. 블루레이 콤보라고 부르기도 한다.
  • BD 레코드: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해 CD, DVD 등 시중에 나와 있는 거의 모든 디스크의 읽기와 기록이 가능한 제품이다. 좀 더 정확히는 BD 콤보 드라이브에 BD-R의 기록 기능을 더한 것을 BD-R 레코더, BD-RE의 재기록 기능까지 더한 것을 BD-RE 레코더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기록만 가능한 BD-R 제품은 시장에 거의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시중에서 BD 레코더 혹은 블루레이 레코더라고 하는 제품들은 대부분 BD-RE레코더를 의미한다.[1]

BD-J

BD-J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 자바(Blu-ray Disc Java)는 블루레이 디스크의 고급 콘텐츠와 GEM(Globally Executable MHP)의 패키지 미디어 프로파일을 위한 자바 플랫폼, 마이크로 에디션(JAVA ME) Xlet을 지원하는 규격이다. 블루레이 디스크 협회에서 개발한 것으로, 블루레이 디스크 타이틀의 보너스 콘텐츠를 네트워크 액세스, 픽처 인 픽처(picture-in-picture), 확장된 로컬 스토리지 액세스 등 표준 DVD가 제공하는 보너스 콘텐츠보다 훨씬 더 정교하게 만들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능 중 인터넷 액세스를 제외한 기능을 보너스 뷰(Bonus View)라고 하며, 인터넷 액세스 추가 기능은 BD Live라고 한다. 비디오 콘텐츠를 지원하는 모든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는 사양에 따라 BD-J를 지원해야 한다. 2007년 10월 31이후부터 새롭게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보너스 뷰 기능에 대한 하드웨어 지원이 필요하지만,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향후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도 있다. BD Live에 대한 지원은 선택적인 사항이다. 소니(Sony)의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3은 BD-J를 준수하고 지원하는 실질적인 선두 업체다. 2008년 1월 펌웨어 업그레이드와 함께 블루레이 프로파일 1.1 지원을 추가했고, CES에서 BD Live를 선보였다.

Xlet

필름 제목 선택, 새 디스크 삽입과 같이 주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의해 호출되고, 호출된 Xlet은 다른 Xlet을 호출할 수 있다. Java 플랫폼 보안 모델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JAR의 서명된 애플리케이션은 로컬 저장소에 대한 읽기/ 쓰기 액세스, 네트워크 액세스, BD-ROM 디스크의 다른 타이틀 선택 및 실행중인 다른 BD-J 애플리케이션 제어 등 서명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보다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Xlet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가 없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이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해 추가 클래스가 호출된다. Havi UI 장치 모델과 위젯 세트 원격 제어용으로 사용하지만 BD 지원 해상도 및 BD 지원 A/V 제어가 가능하도록 확장되었다. 사용자가 필름의 특정 프레임에 정확하게 동기화 할 수 있는 클래스가 있다. 비디오 동기화는 콜백 방법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벤트의 여러 프레임 내에서 정확한 느슨한 동기화 방식과, org.blay 패키지를 사용하는 엄격한 동기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엄격한 동기화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은 JMF(Java Media FrameWork)의 javax.media 패키지의 시간 코드를 사용하여 정확한 프레임에 확실하게 동기화할 수 있다. BD-J 애플리케이션의 GUI는 필요한 키 집합과 옵션인 포인팅 장치가 있는 리모컨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필수 키 집합에는 적어도 HDMV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작업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키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GUI의 프레임워크는 GEM에서 요구하는 Havi UI 프레임워크를 포함하고 있으며, 스윙이나 AWT와 같은 데스크톱 GUI 프레임워크가 아니다. 프레임워크에는 PBP에서 지정한대로 AWT의 코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위젯 세트에는 GEM의 원격 제어 탐색 메커니즘과 Havi의 룩 앤드 필(Look and Feel)을 손쉽게 사용자 정의하는 매커니즘이 포함되어 있다.

BD-ROM 디스크와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JMF와 유사한 미디어 프레임 워크를 포함한다. BD-ROM 디스크가 미디어 파일의 주요 소스가 될 것이라고 추정되기는 하지만, 유일한 소스는 아니며, 다른 소스는 스튜디오의 웹 서버와 로컬 저장소가 될 수 있다. BD-J는 JFIF(JPEG), PNG 및 기타 이미지 형식으로 이미지를 디코딩하고 표시하기 위한 표준 라이브러리를 포함하고 있어, 이미지가 표준 자바 그래픽 기능을 사용하여 자바 그래픽 평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특정 패키지를 사용하여 배경 평면에서 이미지를 렌더링할 수 있다. 표준 자바 텍스트 함수를 사용하면 텍스트도 렌더링할 수 있는데, 이렇나 텍스트 렌더링 기능은 BD-J UI의 프레임워크와 통합되는 고급 텍스트 레이아웃 관리자로 확장된다. 텍스트는 디스크, 플레이어 또는 네트워크에서 다운로드 된 벡터 기반 글꼴을 사용하여 렌더링된다. HDMV의 버튼 사운드는 자바 UI 프레임워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운드 파일은 사용자가 키를 누르는 것에 대한 반응 또는 필름과 관련된 표시된 이벤트에 대한반응 또는 BD-J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모든 이벤트에 대한 반응으로, 로드되고 렌더링 될 수 있다.

인증 된 애플리케이션은 권한 요청 파일을 사용하여 로컬 및 시스템 스토리지 읽기 및 쓰기, 네트워크 연결사용, BD-ROM 디스크의 파일 시스템 액세스, BD-ROM 디스크에 있는 다른 타이틀의 타이틀 선택, 실행중인 기타 BD-J 애플리케이션 제어 등 샌드 박스를 넘어서는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BD-J 애플리케이션은 java.net 패키지를 사용하여 인터넷 상의 서버에 연결할 수 있다. 물리적 연결은 이더넷, 전화선 등과 같은 구현 간에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더넷이나 전화선 등 네트워크 수준에서 TCP/IP가 지원되고,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고, 보안 연결을 위한 자바 패키지는 BD-J 플랫폼의 일부로 포함되어 있다. BD-J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연결을 사용하려면 먼저 인증을 받아야하며,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권한이 있어야 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이동할 웹 사이트는 콘텐츠 제공 업체가 전적으로 제어하는데, 제어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디스크를 재생할 때 인증 된 BD-J 애플리케이션만 실행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쿼으 연결 사용을 제어한다. 두 번째, 디스크에 정의된 권한은 특정 사이트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BD-J에는 스토리지 지원도 포함되는데, 필수 시스템 스토리지와 선택적 로컬 스토리지 두 가지 유형의 스토리지가 있다. 모든 스토리지는 자바의 IO 패키지 메소드를 사용하여 액세스 되고, 로컬 스토리지 경로는 GEM에서 지정한 대로다. 시스템 스토리지는 모든 BD-J에 있는 스토리지로, 필요한 최소 크기의 설정, 최고 점수 등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르 저장할 수 있다. 다운로드한 모든 AV 자료를 저장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기 때문에 선택적 로컬 스토리지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스토리지는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되고, 선택적 로컬 스토리지는 HDD에 구현된다. 저장소는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모든 디스크간에 공유되는 리소스이므로 자바 액세스 제어는 BD-J의 일부이다. BD-J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 공간의 디스크 특정 부분에만 액세스할 수 있고, 다른 디스크에 속한 부분에는 액세스할 수 없다.

콘텐츠 개발

콘텐츠 작성자는 넷빈즈(NetBeans)나 이클립스(Eclips)와 같은 기존 통합 개발 환경(IDE), MacroMedia Director와 유사한 프로그래밍 되지 않은 그래픽 환경 또는 HTML, XML, SVG와 같은 표준 데이터 형식을 사용하는 렌더링 엔진을 통해 다양한 개발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모든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전체 프로그래밍 환경을 사용할 수 있어, 개발자는 표준 DVD의 제한에 구애받지 않고 콘텐츠 유형을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개발자는 BD-J 플랫폼의 제약을 벗어난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자바 플랫폼, 마이크로 에디션 1.3 클래스 파일만 지원한다는 가정 하에 표준 BD-J API외에도, 기존의 자바 라이브러리와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자바 개발자가 BD-J를 통합한 완전한 디스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무료로 사용 가능한 도구는 HD Cookbook 프로젝트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개발 환경에서 콘텐츠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플레이어가 BD-J를 지원하는지 플레이어 버전에 주의하면서, 플레이스테이션3 또는 윈도우 용 타사 소프트웨어 플레이어가 필요하다. 다양한 표준 및 구성 요소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BD-J에 대한 통합 문서 작성은 어려운 일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3]

복제 방지 기술

지역 코드

비교

HD DVD

DVD

[4]

각주

  1. 1.0 1.1 1.2 1.3 DevilRayman, 〈블루레이란?〉, 《네이버 블로그》, 2016-12-02
  2. 행복한 그림자, 〈블루레이란 ? 블루레이 dvd 차이점 체크!〉, 《네이버 블로그》, 2018-11-28
  3. BD-J〉, 《위키백과》
  4. znrnd, 〈블루레이란 뜻 및 DVD 와의 차이점 핵심만 살펴보기〉, 《네이버 블로그》, 2019-05-24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블루레이 문서는 컴퓨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