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중앙처리장치

해시넷
xodrn1004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6월 25일 (화) 11:28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앙처리장치(中央處理裝置)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씨피유)란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를 말한다. 제어장치, 연산장치, 저장 장치(register)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CPU는 버스(bus)를 통해 메모리, 하드디스크, 모니터, 마우스, 키보드, 프린터 등 다양한 입출력(I/O) 장치를 제어한다.

과거의 CPU는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를 이용해 구현했으나, 1971년 미국 인텔(Intel)이 세계 최초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개발한 후, PC, 노트북, 서버 등에 사용되는 거의 모든 CPU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만들고 있다. 주요 CPU 제조 업체는 인텔AMD이다.

배경

'고정된-프로그램 컴퓨터'라고 불리는 ENIAC 같은 컴퓨터는 다른 종류의 작업을 하기 위해 전선을 재배열하는 과정이 필요하였고, "CPU"라는 용어가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위한 장치로 불리게 된 후, CPU라고 불릴 수 있는 장치의 출현은 프로그램 내장 방식 컴퓨터의 출현 덕분이었다.


역사

  • 1971년
4004, 1968년 실리콘 밸리에서 창립한 인텔에서 1971년에 만들어진 최초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일본의 계산기회사인 비치 컴과 신형전자 계산기를 만들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4bit 데이터버스가 사용되었다.
  • 1971년
4040, 4004의 특징을 유지하면서 몇 가지 기능을 첨가한 제품이 출시되었다.
8008, 4004와 비교해봤을 때 2배의 성능향상을 이룬 제품이다. 8bit 데이터버스가 사용되었다.
  • 1975년
8080, 8008의 제품보다 10배 상향된 제품이 출시되었다. 8bit 데이터 버스가 사용되었다. 이후 8080A-2와 8080A-1으로 발전했다.
  • 1978년
8086, 인텔이 PC용으로 만든 최초의 CPU이다. IBM PC에 사용되었다.
  • 이후
인텔은 CPU 자체 생산량만으로는 물량을 감당할 수 없어 다양한 회사와 사용권을 체결하였다. 다양한 회사 중 하나가 AMD였다. AMD는 인텔과 비슷한 시기에 좀 더 고클럭의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1991년, 386과 486 제품의 라이센스 소송전에서 인텔과 AMD 사이에 발생하였고 소송에서 AMD가 승소하였으나, AMD는 차후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 자신만의 CPU를 제작하기로 하였다. 이후 둘은 경쟁사가 되어 현재까지도 CPU 분야에서의 경쟁하는 업체이다.


특징

흔히 컴퓨터의 기본적인 연산, 계산작업에 쓰이며, 사람으로 비유를 하면 뇌와 같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명령어를 해석하며, 연산후에 그결과를 출력을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CPU가 단순 계산만 처리는 하지않으며, 문서작업, 그림, 음악, 동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취급하며 처리한다. CPU는 컴퓨터 말고 다른 가전제품에 사용되며, 스마트폰, 게임기기, 에어컨, 밥솥, 냉장고에도 사용된다.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중앙처리장치 문서는 컴퓨터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