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든랩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5번째 줄: 25번째 줄:
 
2007년 5월, 린든랩(Linden Lab)은 매사추세츠 주 월섬(Massachusetts Waltham)에 본사를 둔 작은 게임 개발 회사인 윈드워드 마크 인터랙티브(Windward Mark Interactive)를 인수했다. 윈드워드 마크(Windward Mark)는 대기와 클라우드 시뮬레이션에 특화돼 오픈 소스로 코드를 출시했다. 린든랩은 [[세컨드라이프]](Second Life)의 대기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윈드 라이트(Windlight)’라는 이름의 코드를 사용했다. 2009년 1월 20일 린든랩은 [[세컨드라이프]]의 가상 상품을 위한 두 개의 웹 기반 시장인 엑스스트리트에스엘(XstreetSL 혹은 SL Exchange)과 온 레즈(OnRez)비언을 인수했다. 이후 온레즈를 폐쇄하고 엑스스트리트에스엘을 [[세컨드 라이프]]의 웹사이트(secondlife.com)와 합병하면서 환전 서비스와 웹 포럼을 종료했다. 2008년 9월 10일, 에스엘 익스체인지(SL Exchange)의 소유자는 린든랩이 ‘에스엘(SL)’이라는 문자에 상표를 적용한다는 위협을 받아 웹사이트 이름을 변경했다. 엑스스트리트에스엘은 2010년 후반에 새로운 [[세컨드 라이프]] 마켓플레이스(Second Life Marketplace)로 대체되었다. 2010년 1월 30일 린든랩은 [[아바타]] 프로필 서비스인 아바타 유니티드(Avatars United)와 그 창시자인 에너미 언노운 에이비(Enemy Unknown AB)를 인수했다. 2010년 6월 9일 린든랩은 인력 30% 감축을 포함한 구조 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세컨드 라이프]] [[가상 세계]]를 위한 브라우저 기반 [[3D]] 뷰어 개발에 대해 새로운 초점을 맞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엠 린든(M Linden)’으로 알려진 최고경영자(CEO) 마크 킹던(Mark Kingdon)이 사임하고 창립 최고 경영자인 필립 로즈데일(Philip Rosedale)로 교체되었다. 2013년 7월 린든랩은 디지털 유통 서비스 데즈라(Desura)를 인수했다가 2014년 11월 5일 린든랩이 데즈라를 배드주주 게임즈(Bad Juju Games)에 매각했다고 발표했다. 2020년 3월 24일 린든랩의 산사(Sansar)가 우키 프로젝트 코퍼레이션(Wookey Project Corp)에 인수되었다. 2020년 7월 9일 린든랩은 랜디 워터필드(Randy Waterfield)와 브래드 오버워거(Brad Oberwager)가 이끄는 투자 그룹에 인수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인수 완료는 미국 금융당국의 인허가 송금업자 지위 및 기타 관례적인 폐업 조건과 관련된 규제 승인을 받아야 한다. 랜디 워터필드와 브래드 오버워거는 린든 리서치 주식회사의 이사회에 합류했다.
 
2007년 5월, 린든랩(Linden Lab)은 매사추세츠 주 월섬(Massachusetts Waltham)에 본사를 둔 작은 게임 개발 회사인 윈드워드 마크 인터랙티브(Windward Mark Interactive)를 인수했다. 윈드워드 마크(Windward Mark)는 대기와 클라우드 시뮬레이션에 특화돼 오픈 소스로 코드를 출시했다. 린든랩은 [[세컨드라이프]](Second Life)의 대기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윈드 라이트(Windlight)’라는 이름의 코드를 사용했다. 2009년 1월 20일 린든랩은 [[세컨드라이프]]의 가상 상품을 위한 두 개의 웹 기반 시장인 엑스스트리트에스엘(XstreetSL 혹은 SL Exchange)과 온 레즈(OnRez)비언을 인수했다. 이후 온레즈를 폐쇄하고 엑스스트리트에스엘을 [[세컨드 라이프]]의 웹사이트(secondlife.com)와 합병하면서 환전 서비스와 웹 포럼을 종료했다. 2008년 9월 10일, 에스엘 익스체인지(SL Exchange)의 소유자는 린든랩이 ‘에스엘(SL)’이라는 문자에 상표를 적용한다는 위협을 받아 웹사이트 이름을 변경했다. 엑스스트리트에스엘은 2010년 후반에 새로운 [[세컨드 라이프]] 마켓플레이스(Second Life Marketplace)로 대체되었다. 2010년 1월 30일 린든랩은 [[아바타]] 프로필 서비스인 아바타 유니티드(Avatars United)와 그 창시자인 에너미 언노운 에이비(Enemy Unknown AB)를 인수했다. 2010년 6월 9일 린든랩은 인력 30% 감축을 포함한 구조 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세컨드 라이프]] [[가상 세계]]를 위한 브라우저 기반 [[3D]] 뷰어 개발에 대해 새로운 초점을 맞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엠 린든(M Linden)’으로 알려진 최고경영자(CEO) 마크 킹던(Mark Kingdon)이 사임하고 창립 최고 경영자인 필립 로즈데일(Philip Rosedale)로 교체되었다. 2013년 7월 린든랩은 디지털 유통 서비스 데즈라(Desura)를 인수했다가 2014년 11월 5일 린든랩이 데즈라를 배드주주 게임즈(Bad Juju Games)에 매각했다고 발표했다. 2020년 3월 24일 린든랩의 산사(Sansar)가 우키 프로젝트 코퍼레이션(Wookey Project Corp)에 인수되었다. 2020년 7월 9일 린든랩은 랜디 워터필드(Randy Waterfield)와 브래드 오버워거(Brad Oberwager)가 이끄는 투자 그룹에 인수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인수 완료는 미국 금융당국의 인허가 송금업자 지위 및 기타 관례적인 폐업 조건과 관련된 규제 승인을 받아야 한다. 랜디 워터필드와 브래드 오버워거는 린든 리서치 주식회사의 이사회에 합류했다.
 
===펀딩 이력===
 
===펀딩 이력===
2004년 2006년 두 차례에 걸쳐 린든랩은 게임 [[세컨드 라이프]]를 내세워 펀딩을 받았다. 총 1,900만 달러가 모였고 펀딩을 주도한 투자자는 글로벌스판 캐피탈 파트너즈(Globespan Capital Partners)이다. 반대로 린든랩은 회사 하이 피델리티(HIGH FIDELITY)에 2014년 250만 달러를 투자했다. 하이 피델리티는 린든랩의 창시자인 필립 로즈데일이 린든랩을 나와 2013년에 설립한 비상장 회사로 오픈 소스 및 공간 오디오 API 솔루션, 슬랙을 위한 공간적 스탠드업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하이 피델리티의 공식 홈페이지는 [https://www.highfidelity.com/ 이곳]을 통해 볼 수 있다.
+
2004년 2006년 두 차례에 걸쳐 린든랩은 게임 [[세컨드 라이프]]를 내세워 펀딩을 받았다. 총 1,900만 달러가 모였고 펀딩을 주도한 투자자는 글로벌스판 캐피탈 파트너즈(Globespan Capital Partners)이다.
  
 
==제품==
 
==제품==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