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4번째 줄: 44번째 줄:
 
한국에서 모빌리티 혁신 논란은 2014년 10월 미국의 모빌리티 플랫폼 [[우버]](Uber)가 한국 시장에 우버엑스(UberX)를 출시하면서 시작 되었다. 하지만 택시 업계의 거센 반발에 부딪쳐 서비스 1년을 채우지 못하고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다.
 
한국에서 모빌리티 혁신 논란은 2014년 10월 미국의 모빌리티 플랫폼 [[우버]](Uber)가 한국 시장에 우버엑스(UberX)를 출시하면서 시작 되었다. 하지만 택시 업계의 거센 반발에 부딪쳐 서비스 1년을 채우지 못하고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다.
  
2015년 [[콜버스]]는 승차 거부가 심한 심야 시간에 같은 방향으로 귀가하는 사람을 모아서 13인승 밴으로 이동하는 서비를 제시하였다. 처음에는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던 정부도 택시업계가 또다시 들고 일어나며 결국 수포로 돌아갔다.
+
2015년 [[콜버스]]는 승차 거부가 심한 심야 시간에 같은 방향으로 귀가하는 사람을 모아서 13인승 밴으로 이동하는 서비를 제시하였고 처음에는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던 정부도 택시업계가 또다시 들고 일어나며 결국 수포로 돌아갔다.
  
 
뒤이어 등장한 카풀 스타트업, 럭시와 플러스 등은 여객운수법의 예외 조항을 파고든 모빌리티 서비스를 내놓았다. 럭시가 카카오모빌리티에 인수되여 카카오 카풀이 되고, 플러스가 탄력근로제 확대에 맞춰 카풀의 사실상의 이용 시간제한을 없애면서 또 다시 택시업계의 대대적인 집단반발을 일으켰다.  
 
뒤이어 등장한 카풀 스타트업, 럭시와 플러스 등은 여객운수법의 예외 조항을 파고든 모빌리티 서비스를 내놓았다. 럭시가 카카오모빌리티에 인수되여 카카오 카풀이 되고, 플러스가 탄력근로제 확대에 맞춰 카풀의 사실상의 이용 시간제한을 없애면서 또 다시 택시업계의 대대적인 집단반발을 일으켰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