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체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4번째 줄: 24번째 줄:
  
 
== 넴 코인 해킹 사건 ==
 
== 넴 코인 해킹 사건 ==
2018년 1월 코인체크는 총 580억 엔(약 5700억 원) 상당의 [[해킹]] 공격을 받았다. 이 사건 2011년도에 발생한 이전 해킹 사건 최대피해액인 일본 [[마운트 곡스]]의 4억 5천만 달러(470억엔, 약 4,577억원)를 넘어섰다. [[가상화폐]]의 기축통화인 [[비트코인]]을 해킹당한 마운트 곡스와는 달리 코인체크는 [[넴]](NEM)이라는 [[알트코인]]을 해킹 당했다.<ref>〈[https://namu.wiki/w/Coincheck 코인체크]〉, 《나무위키》</ref>코인체크는 접근이 쉬운 가상화폐 거래서비스를 제공했을지라도 안전한 거래소를 만드는 데는 실패한 셈이다. 해킹의 원인은 코인체크가 가상화폐를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한 채로 보관한 것에 있다.<ref>박진원 기자,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596448&plink=ORI&cooper=NAVER&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역대 최대 '가상화폐 해킹사고' 코인체크 대표 와다는 누구?]〉, 《SBS news》, 2018-01-29</ref>코인을 보관하는 방식은 크게 [[콜드월렛]]과 [[핫월렛]]으로 나뉜다. 콜드월렛은 인터넷과 완전 차단된 오프라인 지갑에 가상화폐를 보관하는 방식이며 핫월렛은 [[인터넷]]과 연결된 온라인 지갑을 말한다. 코인체크와 같은 초대형 해킹피해를 당한 거래소는 외부공격에 취약한 핫월렛에 고객이 맡긴 가상화폐를 보관했다가 해킹당한 경우라고 보면 된다.<ref>정우필 기자, 〈[http://www.news2day.co.kr/104607 (가상화폐 특집: 끝나지 않은 마운트곡스 해킹 악몽)④ 성공만 하면 수천억 챙길 수 있다는 나쁜 전례 남겨]〉, 《뉴스투데이》, 2018-05-28</ref>즉 가상화폐를 보관할 경우에 외부에서 데이터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아야한다는 경고를 무시한 결과다. 이외에도 국제단체에서 권고하는 보안 기술도 도입하지 않은 것이 알려져 문제가 됐다. 해커는 코인체크가 보관 중이던 NEM의 거의 전량을 탈취했다. 코인체크는 사건 발생이 8시간이 지나서야 해킹을 당한 것을 인지했고 공표까지도 반나절이 더 걸렸다. 이는 전 세계 최악의 해킹사건으로 꼽혔다. 사건 발생 후 코인체크는 [[암호화폐]]에 [[태그]]를 붙여 보관 계좌를 모두 파악해 [[해커]]가 현금화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해커는 수십 개의 계좌에 훔친 암호화폐를 쪼개 이체하면서 감시를 피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39267&cid=43667&categoryId=43667 코인체크 해킹 사건]〉,《네이버 지식백과》, 2018-03-06</ref>
+
2018년 1월 코인체크는 총 580억 엔(약 5700억 원) 상당의 [[해킹]] 공격을 받았다. 이 사건 2011년도에 발생한 이전 해킹 사건 최대피해액인 일본 [[마운트 곡스]]의 4억 5천만 달러(470억엔, 약 4,577억원)를 넘어섰다. [[가상화폐]]의 기축통화인 [[비트코인]]을 해킹당한 마운트 곡스와는 달리 코인체크는 [[넴]](NEM)이라는 [[알트코인]]을 해킹 당했다.<ref>〈[https://namu.wiki/w/Coincheck 코인체크]〉, 《나무위키》</ref>코인체크는 접근이 쉬운 가상화폐 거래서비스를 제공했을지라도 안전한 거래소를 만드는 데는 실패한 셈이다. 해킹의 원인은 코인체크가 가상화폐를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한 채로 보관한 것에 있다.<ref>박진원 기자,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596448&plink=ORI&cooper=NAVER&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역대 최대 '가상화폐 해킹사고' 코인체크 대표 와다는 누구?]〉, 《SBS news》, 2018-01-29</ref>코인을 보관하는 방식은 크게 [[콜드월렛]]과 [[핫월렛]]으로 나뉜다. 콜드월렛은 인턴과 완전 차단된 오프라인 지갑에 가상화폐를 보관하는 방식이며 핫월렛은 [[인터넷]]과 연결된 온라인 지갑을 말한다. 코인체크와 같은 초대형 해킹피해를 당한 거래소는 외부공격에 취약한 핫월렛에 고객이 맡긴 가상화폐를 보관했다가 해킹당한 경우라고 보면 된다.<ref>정우필 기자, 〈[http://www.news2day.co.kr/104607 (가상화폐 특집: 끝나지 않은 마운트곡스 해킹 악몽)④ 성공만 하면 수천억 챙길 수 있다는 나쁜 전례 남겨]〉, 《뉴스투데이》, 2018-05-28</ref>즉 가상화폐를 보관할 경우에 외부에서 데이터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아야한다는 경고를 무시한 결과다. 이외에도 국제단체에서 권고하는 보안 기술도 도입하지 않은 것이 알려져 문제가 됐다. 해커는 코인체크가 보관 중이던 NEM의 거의 전량을 탈취했다. 코인체크는 사건 발생이 8시간이 지나서야 해킹을 당한 것을 인지했고 공표까지도 반나절이 더 걸렸다. 이는 전 세계 최악의 해킹사건으로 꼽혔다. 사건 발생 후 코인체크는 [[암호화폐]]에 [[태그]]를 붙여 보관 계좌를 모두 파악해 [[해커]]가 현금화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해커는 수십 개의 계좌에 훔친 암호화폐를 쪼개 이체하면서 감시를 피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39267&cid=43667&categoryId=43667 코인체크 해킹 사건]〉,《네이버 지식백과》, 2018-03-06</ref>
  
 
==피해 보상==
 
==피해 보상==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