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론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번째 줄: 8번째 줄:
 
2014년 3월 중국 [[베이징]]에서 설립된 트론(TRON)은 [[콘텐츠]] 기반의 [[엔터테인먼트]] 산업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트론은 2017년 4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시작된 글로벌 방송 플랫폼이었다. 하지만 2018년 6월 1일부터 트론은 기존의 이더리움 체인에서 분리되어, 오딧세이 2.0이라는 트론의 메인넷으로 이전하였다. 기존의 [[ERC-20]] 토큰의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였는데, 이 때 동일한 개수의 새로운 트론 블록체인 코인인 TRX(화폐단위)와 교환되었다. 이로써 트론은 트론 프토로톨과 트론 가상머신(TVM; Tron Virtual Machine)을 사용해 [[디앱]]을 운영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재탄생했다.
 
2014년 3월 중국 [[베이징]]에서 설립된 트론(TRON)은 [[콘텐츠]] 기반의 [[엔터테인먼트]] 산업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트론은 2017년 4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시작된 글로벌 방송 플랫폼이었다. 하지만 2018년 6월 1일부터 트론은 기존의 이더리움 체인에서 분리되어, 오딧세이 2.0이라는 트론의 메인넷으로 이전하였다. 기존의 [[ERC-20]] 토큰의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였는데, 이 때 동일한 개수의 새로운 트론 블록체인 코인인 TRX(화폐단위)와 교환되었다. 이로써 트론은 트론 프토로톨과 트론 가상머신(TVM; Tron Virtual Machine)을 사용해 [[디앱]]을 운영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재탄생했다.
  
트론의 목표는 [[애플]]의 [[앱스토어]]나 [[구글]]의 [[플레이 스토어]], [[페이스북]], [[유튜브]] 등 개발자나 광고주들이 중개업자 없이 사용자들과 직접 거래함으로 수수료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중앙집중식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트론의 작은 목표에 불과하다. 트론의 더 큰 목표는 인터넷과 블록체인을 통해 하나의 분산된 플랫폼 생태계에서 상호 작용하는 방법을 완전히 새롭게 재형성하는 것이다. 트론은 [[베이징]]과 [[샌프란시스코]]에 이중 본사를 두고 있으며, 300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트론은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세계 13위의 암호화폐로서, 시가총액은 12억 달러, 약 1조 3000억원이다.
+
트론의 목표는 [[애플]]의 [[앱스토어]]나 [[구글]]의 [[플레이 스토어]], [[페이스북]], [[유튜브]] 등 개발자나 광고주들이 중개업자 없이 사용자들과 직접 거래함으로 수수료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중앙집중식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트론의 작은 목표에 불과하다. 트론의 더 큰 목표는 인터넷과 블록체인을 통해 하나의 분산된 플랫폼 생태계에서 상호 작용하는 방법을 완전히 새롭게 재형성하는 것이다. 트론은 [[베이징]]과 [[샌프란시스코]]에 이중 본사를 두고 있으며, 300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트론은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세계 13위의 암호화폐로서, 시가총액은 12억 달러, 약 1조 3000억원이다. 트론 마이닝 사기 사건이 일어나 트론 개발자들과 저스틴 썬에게도 해명을 부탁하였으나 해명이 없어 비판을 받았다.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63번째 줄: 63번째 줄:
  
 
== 트론 기반의 디앱 ==
 
== 트론 기반의 디앱 ==
[[파일:트론 개발자들.jpg|썸네일|650픽셀|'''트론'''(Tron) 개발자들]]
 
  
 
트론은 [[이더리움]]으로부터 독립하여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옮겨오면서, [[디앱]] 개발을 지원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이 되었다. 트론은 2018년 9월 기준으로 18개의 디앱을 운영하고 있다. 이더리움은 초당 트랜잭션 처리 속도(TPS)가 낮아 많은 디앱 병목 현상이 일어나는 반면, 트론의 처리 속도는 2,000TPS이고, 빠른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해 많은 수의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고, 기존 웹사이트 및 운영 서비스를 트론 블록체인으로 이전할 수도 있다. 또한 비싼 [[가스]](Gas) 요금을 부과하는 이더리움에 반해, 트론은 거래 비용을 청구하지 않아 사용자 및 디앱 개발자는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다. 현재 [[페이워]](Peiwo), 게임닷컴(Game.com) 등 여러 디앱이 트론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고, 앞으로 트론 메인넷 론칭에 따라 트론 플랫폼에 기반한 다양한 블록체인 디앱 프로젝트들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트론은 [[이더리움]]으로부터 독립하여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옮겨오면서, [[디앱]] 개발을 지원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이 되었다. 트론은 2018년 9월 기준으로 18개의 디앱을 운영하고 있다. 이더리움은 초당 트랜잭션 처리 속도(TPS)가 낮아 많은 디앱 병목 현상이 일어나는 반면, 트론의 처리 속도는 2,000TPS이고, 빠른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해 많은 수의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고, 기존 웹사이트 및 운영 서비스를 트론 블록체인으로 이전할 수도 있다. 또한 비싼 [[가스]](Gas) 요금을 부과하는 이더리움에 반해, 트론은 거래 비용을 청구하지 않아 사용자 및 디앱 개발자는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다. 현재 [[페이워]](Peiwo), 게임닷컴(Game.com) 등 여러 디앱이 트론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고, 앞으로 트론 메인넷 론칭에 따라 트론 플랫폼에 기반한 다양한 블록체인 디앱 프로젝트들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