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프라이빗"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프라이빗'''(private)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에서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제어자이다. 접근 제어...)
 
1번째 줄: 1번째 줄:
 
'''프라이빗'''(private)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에서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제어자]]이다. [[접근 제어자]]의 종류 중 하나이다.
 
'''프라이빗'''(private)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에서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제어자]]이다. [[접근 제어자]]의 종류 중 하나이다.
  
==개요==
+
==필요성==
 +
프라이빗(private)을 자바 프로그래머들이 멤버변수나 메소드 앞에 붙여서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추후에 변수나 메소드의 내용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프라이빗을 붙이면 접근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클래스를 참조하는 경우도 없다. 즉 변수나 메소드의 내용을 변경해도 다른 클래스들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는 의미이다. <ref name="Slow Thinking"> 〈[https://gipyeonglee.tistory.com/26 수정자(modifier)]〉, 《개인사이트》, 2015-03-09 </ref>
  
 
==특징==
 
==특징==
 +
프라이빗(private)은 가장 폐쇄적인 접근 제어자로, private으로 선언된 멤버변수, 메소드는 해당 클래스 내부의 메소드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ref name="Slow Thinking"></ref>  프라이빗을 사용하여 선언된 클래스 멤버는 외부엔 공개되지않으며, 외부에서는 직접 접근이 불가능하다. 즉, Java에서는 프라이빗 멤버에 직접 접근할 수 없으며, 해당 객체의 [[퍼블릭]](public) 메소드를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프라이빗 멤버는 퍼블릭 인터페이스를 직접 구성하지 않고, 클래스 내부의 세부적인 동작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ref name="TCPSCHOOL.com"> 〈[http://tcpschool.com/java/java_modifier_accessModifier 접근 제어자]〉, 《TCPSCHOOL.com》</ref>
 +
 +
[[파일:Private_접근_영역.PNG|600픽셀|섬네일|가운데|프라이빗(private) 접근 영역 구조]]
  
 
==참고자료==
 
==참고자료==
 +
* TCPSCHOOL.com, 〈[http://tcpschool.com/java/java_modifier_accessModifier 접근 제어자]〉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제어자]]
 
* [[제어자]]
 +
* [[접근제어자]]
 
* [[퍼블릭]]
 
* [[퍼블릭]]
 
* [[프로텍티드]]
 
* [[프로텍티드]]
  
 
{{프로그래밍|검토 필요}}
 
{{프로그래밍|검토 필요}}

2020년 8월 18일 (화) 16:16 판

프라이빗(private)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에서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제어자이다. 접근 제어자의 종류 중 하나이다.

필요성

프라이빗(private)을 자바 프로그래머들이 멤버변수나 메소드 앞에 붙여서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추후에 변수나 메소드의 내용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프라이빗을 붙이면 접근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클래스를 참조하는 경우도 없다. 즉 변수나 메소드의 내용을 변경해도 다른 클래스들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는 의미이다. [1]

특징

프라이빗(private)은 가장 폐쇄적인 접근 제어자로, private으로 선언된 멤버변수, 메소드는 해당 클래스 내부의 메소드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1] 프라이빗을 사용하여 선언된 클래스 멤버는 외부엔 공개되지않으며, 외부에서는 직접 접근이 불가능하다. 즉, Java에서는 프라이빗 멤버에 직접 접근할 수 없으며, 해당 객체의 퍼블릭(public) 메소드를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프라이빗 멤버는 퍼블릭 인터페이스를 직접 구성하지 않고, 클래스 내부의 세부적인 동작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2]

프라이빗(private) 접근 영역 구조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프라이빗 문서는 프로그래밍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1. 1.0 1.1 수정자(modifier)〉, 《개인사이트》, 2015-03-09
  2. 접근 제어자〉, 《TCPSCHO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