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비트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개요==
 
==개요==
비트맵(bitmap)을 알려면 일단 [[비트]](bit)를 알아야 한다. 비트(bit)는 'binary digit'의 약자로 0과 1이 사용되는 자리가 비트(bit)이며 이것을 픽셀(pixel) 하나로 지정한 것이다. 그러면 '''비트맵(bitmap)'''은 이 픽셀(pixel)이 모이고 모여서 큰 화면의 이미지를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된다. 모니터의 픽셀(pixel)들의 값이 변형됨에 따라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가 달라지는데 이것이 '''비트맵(bitmap)'''이다.
+
비트맵(bitmap)을 0과 1이 사용되는 자리가 비트(bit)이며 이것을 [[픽셀]](pixel)로 변환시켜 화면에 표현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비트맵(bitmap)은 이 픽셀(pixel)이 모이고 모여서 큰 화면의 이미지를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된다. 모니터의 픽셀(pixel)들의 값이 변형됨에 따라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가 달라지기 때문에 해상도의 영향을 받는다.
  
 
==특징==
 
==특징==
'''비트맵(bitmap)'''은 픽셀(pixel)에 배열 방식과 픽셀(pixel)의 숫자와 비율이 모여서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 픽셀(pixel)의 위치와 색에 따라 이미지를 변형 할 수 있고 이 픽셀의 수가 화질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1920x1280의 해상도를 가졌을 경우 가로 1920개, 세로 1080개의 픽셀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ref>박스마스터,  〈"[http://blog.boxmaster.co.kr/221312977668 벡터(Vector)와 비트맵(Bitmap)의 차이는 뭘까?]"〉, 《네이버 블로그》, 2018.07.05.</ref>
+
'''비트맵(bitmap)'''은 픽셀(pixel)에 배열 방식과 픽셀(pixel)의 숫자와 비율이 모여서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 픽셀(pixel)의 위치와 색에 따라 이미지를 변형할 수 있고 이 픽셀의 수가 화질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1920x1280의 해상도를 가졌을 경우 가로 1920개, 세로 1080개의 픽셀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ref>박스마스터,  〈"[http://blog.boxmaster.co.kr/221312977668 벡터(Vector)와 비트맵(Bitmap)의 차이는 뭘까?]"〉, 《네이버 블로그》, 2018.07.05.</ref>
. 이렇기 때문에 '''비트맵(bitmap)'''으로 저장된 이미지를 자세히 확대를 하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픽셀이 나타나는데 이 상태에서 잘못 저장 되거나 해상도가 낮을시에 저품질의 이미지가 보이는데 그것을 흔히 사람들이 말하는 '화면이 깨지다'라고 표현한다. 이것이 비트맵의 단점이자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를 왜 비트맵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냐?'하면 이렇게 픽셀(pixel) 단위로 확대를 하여 더 정교하고 세밀한 작업이 가능하다. 픽셀(pixel)로 색'''(24비트로 16,777,216색을 나타낼 수 있다.<ref>〈"[https://en.wikipedia.org/wiki/Pixel 위키피디아]"〉, 《WikipediA》.</ref>)'''을 다양하게 주어서 다양한 색상을 가진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이러한 이유로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진 보정, 합성 작업 등에 많이 쓰여서 포토샵(photo shop)에서 기본 단위로 쓰이게 된다.
+
. 이렇기 때문에 '''비트맵(bitmap)'''으로 저장된 이미지를 자세히 확대하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픽셀이 나타나는데 이 상태에서 잘못 저장되거나 해상도가 낮을 시에 저품질의 이미지가 보이는데 그것을 흔히 사람들이 말하는 '화면이 깨진다'라고 표현한다. 이것이 비트맵의 단점이자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를 왜 비트맵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냐?' 하면 이렇게 픽셀(pixel) 단위로 확대를 하여 더 정교하고 세밀한 작업이 가능하다. 픽셀(pixel)로 색'''(24비트로 16,777,216색을 나타낼 수 있다.<ref>〈"[https://en.wikipedia.org/wiki/Pixel 위키피디아]"〉, 《WikipediA》.</ref>)'''을 다양하게 주어서 다양한 색상을 가진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진 보정, 합성 작업 등에 많이 쓰여서 포토샵(photo shop)에서 기본 단위로 쓰이게 된다.
  
 
==종류(확장자)==
 
==종류(확장자)==
 
비트맵을 베이스로 하여 저장하는 이미지 형태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BMP, GIF, JPEG, PNG가 있다.
 
비트맵을 베이스로 하여 저장하는 이미지 형태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BMP, GIF, JPEG, PNG가 있다.
===BMP===
+
* BMP - BMP(Microsoft Windows Device Independent Bitmap)는 비트맵 그림을 저장할 때 쓰이는 수많은 포맷 형태 중 하나이다. 24비트까지의 색을 표현할 수 있지만 파일 압축 자체를 하지 않아 파일의 크기가 크다.
BMP(Microsoft Windows Device Independent Bitmap)는 비트맵 그림을 저장할 때 쓰이는 수 많은 포맷 형태 중 하나이다. 24비트까지의 색을 표현할 수 있지만 파일 압축 자체를 하지 않아 파일의 크기가 크다.
+
* GIF - GTF(GRAPHICS INTERCHANGE FORMAT)은 JPEG보다 더 압축된 형태의 이미지로 네트워크에서 빠르게 전송하려는 목적으로 개발이 되었다. 원본 파일보다 40%<ref>북모아, 〈"[https://blog.naver.com/bookmoacom/221431192988 이미지 파일 확장자, 무엇이 다를까요?]"〉, 《네이버 블로그》, 2018.12.31.</ref>
* 확장자 이름 : .BMP
 
 
 
===GIF===
 
GTF(GRAPHICS INTERCHANGE FORMAT)은 JPEG보다 더 압축된 형태의 이미지로 네트워크에서 빠르게 전송하려는 목적으로 개발이 되었다. 원본 파일에 비하여 40%<ref>북모아, 〈"[https://blog.naver.com/bookmoacom/221431192988 이미지 파일 확장자, 무엇이 다를까요?]"〉, 《네이버 블로그》, 2018.12.31.</ref>
 
 
 
 
까지 용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까지 용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 확장자 이름 : .GIF
+
* JPEG - JPEG(Joint Photograph Experts Group)은 그림 파일 형식 중의 하나이며 원래의 이미지를 압축해서 생성한다. 그렇기에 조금의 손상이 있지만 내 눈에는 보이지 않다.
 
+
* PNG - PNG(Portable Network Graphics)는 위에 언급했던 JPEG와 비슷하지만, JPEG보다 손실이 덜하며 GIF의 한계를 극복한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배경'도 가능하다.
===JPEG===
 
JPEG(Joint Photograph Experts Group)은 그림 파일 형식 중의 하나이며 원래의 이미지르 압축해서 생성한다. 그렇기에 조금의 손상이 있지만 내 눈에는 보이지 않다.
 
* 확장자 이름 : .jpg, .jpeg
 
 
 
===PNG===
 
PNG(Portable Network Graphics)는 위에 언급했던 JPEG와 비슷하지만 JPEG보다 손실이 덜하며 GIF의 한계를 극복한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배경'도 가능하다.
 
* 확장자 이름 : .png
 
  
 
{{각주}}
 
{{각주}}
41번째 줄: 29번째 줄:
 
* [[래스터]]
 
* [[래스터]]
  
[[분류:디자인]]
+
{{디자인|토막글}}

2019년 6월 29일 (토) 12:23 기준 최신판

비트맵(bitmap)은 컴퓨터 화면에서 그래픽 표현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개요[편집]

비트맵(bitmap)을 0과 1이 사용되는 자리가 비트(bit)이며 이것을 픽셀(pixel)로 변환시켜 화면에 표현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비트맵(bitmap)은 이 픽셀(pixel)이 모이고 모여서 큰 화면의 이미지를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된다. 모니터의 픽셀(pixel)들의 값이 변형됨에 따라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가 달라지기 때문에 해상도의 영향을 받는다.

특징[편집]

비트맵(bitmap)은 픽셀(pixel)에 배열 방식과 픽셀(pixel)의 숫자와 비율이 모여서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 픽셀(pixel)의 위치와 색에 따라 이미지를 변형할 수 있고 이 픽셀의 수가 화질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1920x1280의 해상도를 가졌을 경우 가로 1920개, 세로 1080개의 픽셀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1] . 이렇기 때문에 비트맵(bitmap)으로 저장된 이미지를 자세히 확대하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픽셀이 나타나는데 이 상태에서 잘못 저장되거나 해상도가 낮을 시에 저품질의 이미지가 보이는데 그것을 흔히 사람들이 말하는 '화면이 깨진다'라고 표현한다. 이것이 비트맵의 단점이자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를 왜 비트맵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냐?' 하면 이렇게 픽셀(pixel) 단위로 확대를 하여 더 정교하고 세밀한 작업이 가능하다. 픽셀(pixel)로 색(24비트로 16,777,216색을 나타낼 수 있다.[2])을 다양하게 주어서 다양한 색상을 가진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진 보정, 합성 작업 등에 많이 쓰여서 포토샵(photo shop)에서 기본 단위로 쓰이게 된다.

종류(확장자)[편집]

비트맵을 베이스로 하여 저장하는 이미지 형태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BMP, GIF, JPEG, PNG가 있다.

  • BMP - BMP(Microsoft Windows Device Independent Bitmap)는 비트맵 그림을 저장할 때 쓰이는 수많은 포맷 형태 중 하나이다. 24비트까지의 색을 표현할 수 있지만 파일 압축 자체를 하지 않아 파일의 크기가 크다.
  • GIF - GTF(GRAPHICS INTERCHANGE FORMAT)은 JPEG보다 더 압축된 형태의 이미지로 네트워크에서 빠르게 전송하려는 목적으로 개발이 되었다. 원본 파일보다 40%[3]

까지 용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 JPEG - JPEG(Joint Photograph Experts Group)은 그림 파일 형식 중의 하나이며 원래의 이미지를 압축해서 생성한다. 그렇기에 조금의 손상이 있지만 내 눈에는 보이지 않다.
  • PNG - PNG(Portable Network Graphics)는 위에 언급했던 JPEG와 비슷하지만, JPEG보다 손실이 덜하며 GIF의 한계를 극복한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배경'도 가능하다.

각주[편집]

  1. 박스마스터, 〈"벡터(Vector)와 비트맵(Bitmap)의 차이는 뭘까?"〉, 《네이버 블로그》, 2018.07.05.
  2. 〈"위키피디아"〉, 《WikipediA》.
  3. 북모아, 〈"이미지 파일 확장자, 무엇이 다를까요?"〉, 《네이버 블로그》, 2018.12.31.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의견.png 이 비트맵 문서는 디자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