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레디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특징)
25번째 줄: 25번째 줄:
 
* '''대기열''' : 레디스 List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면 간단한 영구 대기열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레디스 List는 자동 작업 및 차단 기능을 제공하므로 신뢰할 수 있는 메시지 브로커 또는 순환 목록이 필요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 '''대기열''' : 레디스 List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면 간단한 영구 대기열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레디스 List는 자동 작업 및 차단 기능을 제공하므로 신뢰할 수 있는 메시지 브로커 또는 순환 목록이 필요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 '''채팅 및 메시징''' : 레디스에서는 패턴 매칭과 더불어 PUB/SUB 표준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레디스를 사용하여 고성능 채팅방, 실시간 코멘트 스트림 및 서버 상호 통신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한 PUB/SUB를 사용하여 게시된 이벤트를 기반으로 작업을 트리거할 수 있습니다.
 
* '''채팅 및 메시징''' : 레디스에서는 패턴 매칭과 더불어 PUB/SUB 표준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레디스를 사용하여 고성능 채팅방, 실시간 코멘트 스트림 및 서버 상호 통신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한 PUB/SUB를 사용하여 게시된 이벤트를 기반으로 작업을 트리거할 수 있습니다.
 +
==장점==
 +
*리스트, 배열과 같은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유용하다. value 값으로 문자열, 리스트, Set, Sorted set, Hash 등 여러 데이터 형식을 지원한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리스트형 데이터 입력과 삭제가 MySQL에 비해서 10배정도 빠르다고 한다.
 +
*여러 프로세스에서 동시에 같은 key에 대한 갱신을 요청할 경우, Atomic 처리로 데이터 부정합 방지 Atomic처리 함수를 제공한다.
 +
*메모리를 활용하면서 영속적인 데이터를 보존한다. 명령어로 명식적으로 삭제, expires를 설정하지 않으면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는다. 스냅샷(기억장치) 기능을 제공하여 메모리의 내용을 *.rdb파일로 저장하여 해당 시점으로 복구할 수 있다.
 +
*레디스 서버(Redis Server)는 1개의 싱글 쓰레드로 수행되며, 따라서 서버 하나에 여러개의 서버를 띄우는 것이 가능하다. Master - Slave 형식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Master-Slave 방식으로 데이터 분실 위험을 없애준다.
 +
*레디스에는 String, Lists, Sets, Sorted sets, Hashs 의 5가지 데이터형을 사용할 수 있다.<ref>  〈[https://codingmania.tistory.com/18 레디스 개념 및 특징 ]〉, 《티스토리》, 2016-06-10</ref>
  
 
== 평가 및 전망 ==
 
== 평가 및 전망 ==
레디스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네이버 LINE 서비스, StackOverflow, 블리자드, 트위터, GitHub,웨이보, Pinterest, 스냅챗, 크랭크리스트, Digg, StackOverflow, 플리커등 대형 서비스 없체들이 현재 사용자들의 대규모 메세지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고 이 처럼 앞으로도 대형 서비스업들에 이용될 것 이다.<ref>redis, 〈[https://redis.io/support 지원]〉,《레디스 공식 사이트》</ref>
+
 
  
 
{{각주}}
 
{{각주}}

2020년 7월 30일 (목) 15:24 판

레디스(Redis) 로고
레디스(Redis) 로고와 글자

레디스(Redis)는 Remote Dictionary Server의 약자로서 '키-값'(key-value) 구조의 비관계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노에스큐엘(NoSQL)의 일종이다. 2009년 살바토르 산필리포(Salvatore Sanfilippo)가 처음 개발했다. 2015년부터 레디스랩스(Redis Labs)가 지원하고 있다.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로 불러와서 처리하는 메모리 기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이다. BSD 라이선스를 따른다.

개요

레디스는 빠른 오픈 소스 인 메모리 키 값 데이터 구조 스토어이다. 레디스는 다양한 인 메모리 데이터 구조 집합을 제공하므로 다양한 사용자 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생성할 수 있다. 주요 레디스 사용 사례로는 캐싱, 세션 관리, pub/sub 및 순위표를 들 수 있다. 레디스는 현재 가장 인기 있는 키 값 스토어로서, BSD 라이선스가 있고, 최적화된 C 코드로 작성되었으며, 다양한 개발 언어를 지원한다. 레디스는 REmote DIctionary Server의 약어이다.

레디스는 속도가 빠르고 사용이 간편하여 최고의 성능이 필요한 웹, 모바일, 게임, 광고 기술 및 IoT 애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AWS는 레디스용 Amazon ElastiCache라는 최적화된 완전관리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통해 레디스를 지원하며, 고객은 원하는 경우 AWS EC2에서 자체 관리형 레디스를 실행할 수도 있다.

역사

레디스 프로젝트는 레디스의 최초 개발자인 antirez라는 별명을 가진 살바토르 산필리포(Salvatore Sanfilippo)가 이탈리아 웹사이트의 확장성을 향상시키고 실시간 웹 로그 분석기를 개발하려고 할 때 시작되었다. 기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일부 유형의 작업 부하를 조정하는 데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 후 Sanfilippo는 Tcl에서 레디스의 개념증명 버전을 프로토타입화하기 시작했다. 나중에 Sanfilippo는 프로토 타입을 C 언어로 번역하고 첫 번째 데이터 유형 인 목록을 구현했다. 내부적으로 성공을 거둔 프로젝트를 몇 주 동안 사용한 후 Sanfilippo는 소스를 공개하고 Hacker News 에서 프로젝트를 발표하기로 결정했다. 프로젝트는 깃허브(GitHub)와 인스타그램(Instagram)을 채택한 최초의 회사 중 하나인 루비(Ruby) 커뮤니티에서 더욱 주목 받기 시작했다.

  • Sanfilippo는 2010년 03월 브이엠웨어(VMware)에 고용되었다.
  • 2013년 05월 레디스는 Pivotal Software (VMware 분사)의 후원을 받았다.
  • 2015년 06월에 레디스 Las가 후원했다.
  • 2018년 10월에 레디스 5.0이 출시되었다. Redis Stream은 단일 키에서 자동 시간 기준 시퀀스를 사용하여 여러 필드와 문자열 값을 저장할 수있는 새로운 데이터 구조이다.

특징

활용

  • 캐싱 : 다른 데이터베이스 "앞"에 배치된 레디스는 성능이 뛰어난 인 메모리 캐시를 생성하여 액세스 지연 시간을 줄이고, 처리량을 늘리며, 관계형 또는 NoSQL 데이터베이스의 부담을 줄여줍니다.
  • 세션 관리 : 레디스는 세션 관리 작업에 매우 적합합니다. 레디스를 세션 키에 대한 적절한 TTL과 함께 빠른 키 값 스토어로 사용하면 간단하게 세션 정보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세션 관리는 주로 게임, 전자 상거래 웹 사이트,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비롯한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합니다.
  • 실시간 순위표 : Redis Sorted Set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면 요소가 목록에 유지되고 점수에 따라 정렬됩니다. 이를 통해 손쉽게 동적 순위표를 생성하여 게임에서 앞서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보여주거나, 좋아요를 가장 많이 받은 메시지를 게시하거나, 선두에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보여주려는 다양한 사례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속도 제한 : 레디스는 이벤트 속도를 측정하고 필요한 경우 제한할 수 있습니다. 클라이언트의 API 키에 연결된 레디스 카운터를 사용하여 특정 기간 동안 액세스 요청의 수를 세고 한도가 초과되는 경우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속도 제한기는 포럼의 게시물 수를 제한하고, 리소스 사용량을 제한하며, 스패머의 영향을 억제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 대기열 : 레디스 List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면 간단한 영구 대기열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레디스 List는 자동 작업 및 차단 기능을 제공하므로 신뢰할 수 있는 메시지 브로커 또는 순환 목록이 필요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 채팅 및 메시징 : 레디스에서는 패턴 매칭과 더불어 PUB/SUB 표준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레디스를 사용하여 고성능 채팅방, 실시간 코멘트 스트림 및 서버 상호 통신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한 PUB/SUB를 사용하여 게시된 이벤트를 기반으로 작업을 트리거할 수 있습니다.

장점

  • 리스트, 배열과 같은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유용하다. value 값으로 문자열, 리스트, Set, Sorted set, Hash 등 여러 데이터 형식을 지원한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리스트형 데이터 입력과 삭제가 MySQL에 비해서 10배정도 빠르다고 한다.
  • 여러 프로세스에서 동시에 같은 key에 대한 갱신을 요청할 경우, Atomic 처리로 데이터 부정합 방지 Atomic처리 함수를 제공한다.
  • 메모리를 활용하면서 영속적인 데이터를 보존한다. 명령어로 명식적으로 삭제, expires를 설정하지 않으면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는다. 스냅샷(기억장치) 기능을 제공하여 메모리의 내용을 *.rdb파일로 저장하여 해당 시점으로 복구할 수 있다.
  • 레디스 서버(Redis Server)는 1개의 싱글 쓰레드로 수행되며, 따라서 서버 하나에 여러개의 서버를 띄우는 것이 가능하다. Master - Slave 형식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Master-Slave 방식으로 데이터 분실 위험을 없애준다.
  • 레디스에는 String, Lists, Sets, Sorted sets, Hashs 의 5가지 데이터형을 사용할 수 있다.[1]

평가 및 전망

각주

  1. 레디스 개념 및 특징 〉, 《티스토리》, 2016-06-10

참고자료

  • redis, 〈지원〉, 《레디스 공식 사이트》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레디스 문서는 데이터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