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1세대 이동통신

해시넷
Asadal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8월 3일 (화) 10:09 판 (같이 보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1세대 이동통신이란 음성통화만 가능한 아날로그 통신 시대를 말한다. 1generation의 줄임말로 1G라는 표현으로 쓰인다. 아날로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음성전송에는 주파수 변조(FM)를, 신호전송에는 주파수 편이변조(FSK) 방식을 이용한다.

개요

1세대 이동통신의종류

  1. NMT
  2. TACS
  3. RC2000
  4. C 450
  5. AMPS

NMT

NMT: (에릭슨)사가 개발한 북유럽 표준 1세대 이동 통신 기술이다. 세계 최초로 개발된 자동 휴대 전화 시스템이며 1981년 아날로그 휴대 전하를 대체하기 위하여 최초로 상용화되었다 당시 사용화된 아날로그 휴대 전화 네트워크는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의 전자 공학도 외스텐 매키탈로가 시스템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TACS

TACS: 영국 에서 개발한 아날로그 방식의 셀룰러 전화 방식이며 영국 표준 1세대 이동 통신 기술이다.

RC 2000

RC 2000: 프랑스의 기간 공중 통신 사업자인 프랑스 텔레콤 사가 제공하는 전국적인 셀룰러 방식의 이동 통신 서비스이다.

C 450

C 450: 독일에서 사용한 1세대 이동통신이다.

AMPS

AMPS: 벨 연구소에서 개발된 아날로그 이동 전화 시스템이며 미국(1983) 과 이스라엘(1986) 호주(1987)에서 공식적으로 발표 되었다.미국에서 시작되어 우리나라에서도 사용된 방식이다.

1세대 이동통신을 사용한 국가

NMT를 사용한 국가

NMT를 사용한 국가는 (스웨덴,네덜란드,노르웨이,덴마크,룩셈부르크,벨기에,스위스,스페인,아이슬란드,오스트리아,프랑스,핀란드)가 있다

TACS를 사용한 국가

TACS를 사용한 국가는 (스페인,아일랜드,영국,오스트리아,이탈리아)가 있다.

RC 2000을 사용한 국가

RC 2000을 사용한 국가는 (프랑스)가 있다.

C 450을 사용한 국가

C 450을 사용한 국가는 (독일)이 있다.

AMPS를 사용한 국가

AMPS를 사용한 국가는 (미국,호주,이스라엘,대한민국)이 있다.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1세대 이동통신 문서는 하드웨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