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맥주소

해시넷
jh8983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8월 10일 (월) 17:18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맥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는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이다. 맥주소는 이더넷와이파이를 포함한 대부분의 IEEE 802 네트워크 기술에 네트워크 주소로 사용된다. 논리적으로 MAC 주소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이라는 OSI 모델의 하위 계층에서 사용된다.

개요

맥 주소는 이더넷과 와이파이를 포함한 대부분의 IEEE 802 네트워크 기술에 네트워크 주소로 사용된다. 논리적으로 맥 주소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이라는 OSI 모델의 하위 계층에서 사용된다. 맥 주소는 대체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의 제조업체가 할당하며 하드웨어에 저장되는데, 이는 마치 카드의 읽기 전용 메모리나 일부 다른 펌웨어 구조와 같다. 제조업체에 의해 할당되면 맥 주소는 일반적으로 제조업체의 등록된 식별 번호로 인코딩되며 이를 BIA(burned-in address)로 부를 수 있다. 또, 이더넷 하드웨어 주소(EHA, Ethernet hardware address), 하드웨어 주소, 물리 주소(메모리 물리 주소와 다름)로 부르기도 한다. 이는 호스트 장치가 NIC에 명령을 할당하여 임의의 주소를 사용하는 프로그래밍된 주소와는 다른 것이다.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는 여러 개의 NIC를 가질 수 있으며, 각 NIC는 고유한 맥 주소를 가진다. 멀티레이어 스위치, 라우터와 같은 복잡한 네트워크 장비는 하나 이상의 영구적으로 할당된 맥 주소가 필요할 수 있다. 맥 주소는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에 관리되는 세 개의 이름공간들 중 하나의 규칙들을 따라 만든다. MAC-48, EUI-48, EUI-64. IEEE는 EUI-48과 EUI-64라는 이름에 대한 상표를 보유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EUI는 확장 고유 식별자(Extended Unique Identifier)의 준말이다.[1]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맥주소 문서는 하드웨어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