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프리웨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리웨어(freeware)란 저작자가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받기 위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포한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공개판이라고 한다. 넓은 의미에서 상용 소프트웨어의 일종이다. 프리웨어는 조건이나 기간, 기능 등에 제한 없이 개인 사용자는 누구나 무료로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다. 라이선스 요금 없이 무료로 배포되는 소프트웨어로 최종 사용자가 대금을 지불할 필요는 없지만 영리를 목적으로 배포할 수 없다.

역사[편집]

1982년 앤드류 플뤼겔만(Andrew Fluegelman)은 PC 토크(PC Talk)라는 PC 통신 프로그램을 만들고 무료로 배포했다. 그는 이 제품에 프리웨어라는 이름을 붙이고 상표권 등록을 했다. 이후 이 제품에 만족하는 사람들에게 20 달러의 기부금을 내도록 요청함으로써, PC 토크 프로그램은 셰어웨어로 전환되었다.[1]

초기 프리웨어 개념
  • 1980년대 초, 상용 소프트웨어가 대부분 고가일 때 개인 개발자나 소규모 팀이 홍보 목적으로 무료로 배포
  • 대표적 예: PKZIP, Eudora Lite
인터넷 보급 이후
  •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 인터넷 보급과 함께 수많은 프리웨어가 등장
  • Winamp, IrfanView, Foxit Reader 등은 광범위한 사용자 기반 확보에 성공
모바일 시대의 프리웨어
  • 스마트폰 앱 생태계에서도 대부분의 앱이 '프리웨어' 모델로 시작
  • 이후 광고 기반 또는 앱 내 구매로 수익화

특징[편집]

저작권[편집]

프리웨어 제품은 최종 사용자가 대금을 지불할 필요는 없지만 개발자가 저작권을 가지고 있으므로 영리를 목적으로 허가 없이 복사, 수정, 재배포할 수 없다. 개발자가 저작권을 보유할 수도 있고 포기할 수도 있는데 대개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리웨어를 이용하는 데는 제한이 없지만 배포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야 한다. 저작권이 있으므로 파일과 파일에 관련된 내용을 바꿔서도 안 되며 오리지널 프리웨어에서 파생된 모든 응용 프로그램 역시 프리웨어로 지정된다. 프리웨어 저작자는 사용자가 일정한 시험 사용 기간 후에 싼 값의 요금을 지불하고 계속 사용하게 하거나 더 많은 기술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공유웨어로 변경할 수도 있고, 프리웨어의 개정판을 지불품으로 변경하여 유료로 판매할 수도 있다.

프리웨어의 목적과 동기[편집]

개발자 입장에서의 동기
동기 유형 설명
브랜딩 및 홍보 상용 제품의 Lite 버전을 무료로 제공해 유료 제품으로 유도
기술 실험 또는 포트폴리오 구축 개인 개발자가 기술 실험을 위해 배포
시장 점유율 확보 플랫폼 의존도를 높이기 위해 프리웨어 형태로 확산
광고 기반 수익화 설치 시 광고 포함 또는 앱 내 광고 수익 모델
데이터 수집 사용자 행동 분석 목적의 백엔드 수집 도구 포함

프리웨어의 장점과 한계[편집]

장점
  • 사용자에게 금전적 부담 없음
  • 빠른 확산 가능성 → 네트워크 효과 발생
  • 단기적 유저 피드백 확보 용이
  • 실험적 기능 테스트에 적합
한계
  • 유지보수 동기 부족 → 방치 가능성
  • 사용자 지원 부재
  • 보안 업데이트 지연 또는 없음
  • 기업 환경에서는 법적 리스크 존재
  • 광고 또는 스파이웨어 포함 가능성

라이선스와 법적 이슈[편집]

프리웨어는 무료이지만, 대부분 저작권 보호를 받는다. 오픈소스와 달리 복사, 수정, 재배포가 금지될 수 있다.

일반적 제한 사항 예시
  • 기업/상업적 사용 금지
  • 수정 및 리버스 엔지니어링 금지
  • 특정 OS 또는 플랫폼에서만 사용 가능
  • 재배포 금지

어떤 프리웨어는 사용자에게 EULA(최종 사용자 사용권 계약)에 동의하도록 요구하며, 이는 법적 계약이다.

프리웨어와 관련된 경제 모델[편집]

모델 설명
프리미엄 모델 (Freemium) 기본 기능은 무료, 고급 기능은 유료
광고 수익 소프트웨어에 광고 삽입
후원/기부 기반 Patreon, Ko-fi 등 사용자가 자발적 기부
데이터 기반 사용자 데이터 수집 후 분석 또는 판매
번들웨어 타 프로그램과 함께 설치되어 수익 발생

프리웨어 vs 셰어웨어 vs 데모웨어 vs 오픈소스[편집]

구분 프리웨어 셰어웨어 데모웨어 오픈소스
가격 무료 일부 기능 무료 제한된 시간 사용 대부분 무료
소스코드 비공개 비공개 비공개 공개
목적 장기 무료 사용 체험 후 구매 유도 기능 제한 버전 홍보 자유로운 개발
수익화 방식 광고, 유료 업그레이드 등록 유도 본 제품 판매 기부, 지원, 컨설팅 등

프리웨어의 보안 및 유지보수 문제[편집]

  • rkf많은 프리웨어가 오래된 버전으로 방치되어 있음
  • 보안 취약점이 수정되지 않아 악성코드 유포에 악용
  • Windows에서 프리웨어 설치 시 종종 툴바, 악성 소프트웨어 함께 설치됨
  •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만 다운로드 권장

프리웨어의 유명 사례[편집]

이름 설명
VLC Media Player 오픈소스이자 프리웨어, 범용 미디어 재생기
7-Zip 무료 압축 프로그램 (GNU LGPL 기반)
CCleaner (초기) 시스템 청소 유틸리티, 초기엔 순수 프리웨어
AlZip / 알집 대한민국 대표 프리웨어 중 하나, 알툴즈 시리즈
Daum 팟플레이어 고화질 영상 재생기로 유명, 광고 기반 프리웨어

프리웨어는 인터넷 자료실에서 다운받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MP3 음악파일을 듣는 데 많이 이용하는 윈앰프(Winamp)나 곰플레이어, 알씨, 알집 등이 대표적인 프리웨어이다.

각주[편집]

  1. 서동민, 〈정식 제품 맛보기용 소프트웨어 - 쉐어웨어(Shareware)〉, 《IT동아》, 2011-07-18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프리웨어 문서는 소프트웨어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