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지엔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3번째 줄: 3번째 줄:
  
  
'''지엔유'''(GNU)는 GNU's Not Unix의 약자로서, [[유닉스]] 운영체제의 [[상용화]]에 반대하면서 만든 무료 공개 [[오픈소스]] [[운영체제]](OS) 또는 그러한 정보 공유 프로젝트를 말한다.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여야 하며, 프로그램의 사용, 복사, 수정, 배포에 제한이 없어야 한다는 신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1985년 [[리차드 스톨만]](Richard Stallman)이 주도하여 [[자유소프트웨어재단]](FSF)을 만들고, [[GNU GPL]]과 [[GNU LGPL]] 및 [[GNU FDL]](=[[GFDL]]) 등의 [[저작권]]을 만들었다. 한국에서는 GNU를 '''그누'''라고도 읽는다.
+
'''지엔유'''(GNU)는 GNU's Not Unix의 약자로 무료 공개 [[오픈소스]] [[운영체제]](OS) 또는 그러한 정보 공유 프로젝트를 말한다.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여야 하며, 프로그램의 사용, 복사, 수정, 배포에 제한이 없어야 한다는 신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1985년 [[리차드 스톨만]](Richard Stallman)이 주도하여 [[자유소프트웨어재단]](FSF)을 만들고, [[GNU GPL]]과 [[GNU LGPL]] 및 [[GNU FDL]](=[[GFDL]]) 등의 [[저작권]]을 만들었다. 한국에서는 GNU를 '''그누'''라고도 읽는다.GNU 프로젝트는운영 체제 커널, [[GNU HURD]]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에서 본래 초점을 두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GNU가 아닌 [[커널]](가장 유명한 것으로 리눅스)은 GNU 소프트웨어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허드(Hurd)]] 커널은 아직 운영용으로 준비되지는 않았는데, 이는 어떻게 GNU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설명한다. GNU [[소프트웨어]]와 [[리눅스 커널]]의 결합은 리눅스(또는[[ GNU/리눅스]])로 알려져 있다.
 +
GNU 프로젝트의 설립자 리처드 스톨먼프로젝트의 창립자 [[리처드 스톨먼]]은 GNU를 "사회에 대한 기술적 수단'으로 보았다. 이와 관련해 Lawrence Lessig는 스톨먼의 책 《자유 소프트웨어, 자유 사회》 제2판에서 스톨먼은 소프트웨어의 사회적 관념과 어떻게 자유 소프트웨어가 공동체와 사회 정의를 조성할 수 있는지에 대해 썼다고 언급하였다.<ref name="위키백과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GNU_%ED%94%84%EB%A1%9C%EC%A0%9D%ED%8A%B8 GNU 프로젝트]〉,《위키백과》</ref>
 +
 
 +
 
 +
==개요==
 +
1983년 9월 27일 유즈넷 net.unix-wizard 그룹을 통해 일반에 알려졌다. 스톨만은 첫 선언문에 이은 "GNU 선언문"을 비롯한 여러 글들을 통해서, "초기 전산 공동체에 지배적이었던, 협동 정신을 되돌리자"라고 주장했다. GNU 프로젝트는 누구나 자유롭게 "실행, 복사, 수정, 배포"할 수 있고, 누구도 그런 권리를 제한하면 안 된다는 사용 허가권(License) 아래 소프트웨어를 배포한다. 카피레프트로 불리는 이런 생각은 GPL(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에 나타나 있다.
 +
 
 +
==등장배경==
 +
GNU 프로젝트(GNU project)는 1983년 9월 27일 유즈넷 net.unix-wizard 그룹을 통해 일반에 알려졌다. 스톨만은 첫 선언문에 이은 "GNU 선언문"을 비롯한 여러 글들을 통해서, "초기 전산 공동체에 지배적이었던, 협동 정신을 되돌리자"라고 주장했다. GNU 프로젝트는 누구나 자유롭게 "실행, 복사, 수정, 배포"할 수 있고, 누구도 그런 권리를 제한하면 안 된다는 사용 허가권(License) 아래 소프트웨어를 배포한다. 카피레프트로 불리는 이런 생각은 GPL(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에 나타나 있다.
  
 
{{각주}}
 
{{각주}}

2019년 7월 23일 (화) 16:41 판

지엔유(GNU) 로고
지엔유리눅스(GNU/LINUX) 로고와 글자


지엔유(GNU)는 GNU's Not Unix의 약자로 무료 공개 오픈소스 운영체제(OS) 또는 그러한 정보 공유 프로젝트를 말한다.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여야 하며, 프로그램의 사용, 복사, 수정, 배포에 제한이 없어야 한다는 신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1985년 리차드 스톨만(Richard Stallman)이 주도하여 자유소프트웨어재단(FSF)을 만들고, GNU GPLGNU LGPLGNU FDL(=GFDL) 등의 저작권을 만들었다. 한국에서는 GNU를 그누라고도 읽는다.GNU 프로젝트는운영 체제 커널, GNU HURD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에서 본래 초점을 두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GNU가 아닌 커널(가장 유명한 것으로 리눅스)은 GNU 소프트웨어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허드(Hurd) 커널은 아직 운영용으로 준비되지는 않았는데, 이는 어떻게 GNU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설명한다. GNU 소프트웨어리눅스 커널의 결합은 리눅스(또는GNU/리눅스)로 알려져 있다. GNU 프로젝트의 설립자 리처드 스톨먼프로젝트의 창립자 리처드 스톨먼은 GNU를 "사회에 대한 기술적 수단'으로 보았다. 이와 관련해 Lawrence Lessig는 스톨먼의 책 《자유 소프트웨어, 자유 사회》 제2판에서 스톨먼은 소프트웨어의 사회적 관념과 어떻게 자유 소프트웨어가 공동체와 사회 정의를 조성할 수 있는지에 대해 썼다고 언급하였다.[1]


개요

1983년 9월 27일 유즈넷 net.unix-wizard 그룹을 통해 일반에 알려졌다. 스톨만은 첫 선언문에 이은 "GNU 선언문"을 비롯한 여러 글들을 통해서, "초기 전산 공동체에 지배적이었던, 협동 정신을 되돌리자"라고 주장했다. GNU 프로젝트는 누구나 자유롭게 "실행, 복사, 수정, 배포"할 수 있고, 누구도 그런 권리를 제한하면 안 된다는 사용 허가권(License) 아래 소프트웨어를 배포한다. 카피레프트로 불리는 이런 생각은 GPL(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에 나타나 있다.

등장배경

GNU 프로젝트(GNU project)는 1983년 9월 27일 유즈넷 net.unix-wizard 그룹을 통해 일반에 알려졌다. 스톨만은 첫 선언문에 이은 "GNU 선언문"을 비롯한 여러 글들을 통해서, "초기 전산 공동체에 지배적이었던, 협동 정신을 되돌리자"라고 주장했다. GNU 프로젝트는 누구나 자유롭게 "실행, 복사, 수정, 배포"할 수 있고, 누구도 그런 권리를 제한하면 안 된다는 사용 허가권(License) 아래 소프트웨어를 배포한다. 카피레프트로 불리는 이런 생각은 GPL(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에 나타나 있다.

각주

  1. 위키백과,〈GNU 프로젝트〉,《위키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지엔유 문서는 소프트웨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