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붉은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등장배경)
4번째 줄: 4번째 줄:
  
 
== 등장배경 ==
 
== 등장배경 ==
제조 목적은 북한의 소프트웨어들이 흔히 그렇듯 내부 보안(=단속) 강화+체제+선전용 정도의 목적으로, 외부에 존재가 본격적으로 알려진 것은 2010년 경 러시아의 한 대학생(미하일(Mikhail)이란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이 평양에 방문했다가 김일성 대학 근처에서 우연히 이것을 발견하여 5달러에 구매해 온 다음 사용기를 자신의 블로그에 올려 두었고(러시아어) 이것을 몇몇 인터넷 언론사들이 주목하여 보도를 하면서(영어) 바깥에 알려지게 되었다
+
제조 목적은 북한의 소프트웨어들이 흔히 그렇듯 내부 보안(=단속) 강화+체제+선전용 정도의 목적으로, 외부에 존재가 본격적으로 알려진 것은 2010년 경 러시아의 한 대학생(미하일(Mikhail)이란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이 평양에 방문했다가 김일성 대학 근처에서 우연히 이것을 발견하여 5달러에 구매해 온 다음 사용기를 자신의 블로그에 올려 두었고(러시아어) 이것을 몇몇 인터넷 언론사들이 주목하여 보도를 하면서(영어) 바깥에 알려지게 되었다<ref name="붉은별">나무위키 - https://namu.wiki/w/%EB%B6%89%EC%9D%80%EB%B3%84</ref>
  
 
== 역사 ==
 
== 역사 ==
 +
2001년 북한의 컴퓨터 정보/개발 담당 기관인 '조선콤퓨터쎈터(KCC)'
 +
에서 개발 작업에 착수하여 2006년경 그 소식이 북한 당국에 의해 공표되었으며, 이후 추정상 2008년에 완성되어 1년간의 시범 테스트 기간을 거쳐 2009년 발표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여러 보안 강화 등의 성능 업을 거쳐 2012년 기준으로는 버전 2.0으로 올라간 상태. 2014년 2월 5일 버전 3.0이 발표되었다.(국내 언론의 붉은별 3.0 서버용 리뷰) 참고로 서버용의 데스크탑 환경은 일반형의 환경인 KDE가 아닌 GNOME이다.<ref name="붉은별"></ref>
 +
  
 
== 특징 ==
 
== 특징 ==
21번째 줄: 24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 붉은별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B%B6%89%EC%9D%80%EB%B3%84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9년 7월 23일 (화) 11:27 판

붉은별(Red Star)은 북한의 조선콤퓨터중심(KCC)이 개발한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OS)이다. 페도라(Fedora) 리눅스를 참조하여 2001년부터 개발을 시작하여 2008년 붉은별 1.0 버전을 출시했다. 이후 출시된 붉은별 2.0은 리눅스 기반이지만 바탕화면은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와 유사하다. 2014년 출시된 붉은별 3.0은 미국 애플(Apple)의 오에스텐(OS X) 운영체제와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가지고 있다. 웹브라우저파이어폭스(FireFox)를 참조하여 개발한 내나라를 사용한다. 북한의 개인 컴퓨터 운영체제는 대부분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Windows)를 사용하며, 붉은별 운영체제(OS)는 기밀보안이 필요한 일부 국가기관이나 서버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개요

등장배경

제조 목적은 북한의 소프트웨어들이 흔히 그렇듯 내부 보안(=단속) 강화+체제+선전용 정도의 목적으로, 외부에 존재가 본격적으로 알려진 것은 2010년 경 러시아의 한 대학생(미하일(Mikhail)이란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이 평양에 방문했다가 김일성 대학 근처에서 우연히 이것을 발견하여 5달러에 구매해 온 다음 사용기를 자신의 블로그에 올려 두었고(러시아어) 이것을 몇몇 인터넷 언론사들이 주목하여 보도를 하면서(영어) 바깥에 알려지게 되었다[1]

역사

2001년 북한의 컴퓨터 정보/개발 담당 기관인 '조선콤퓨터쎈터(KCC)' 에서 개발 작업에 착수하여 2006년경 그 소식이 북한 당국에 의해 공표되었으며, 이후 추정상 2008년에 완성되어 1년간의 시범 테스트 기간을 거쳐 2009년 발표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여러 보안 강화 등의 성능 업을 거쳐 2012년 기준으로는 버전 2.0으로 올라간 상태. 2014년 2월 5일 버전 3.0이 발표되었다.(국내 언론의 붉은별 3.0 서버용 리뷰) 참고로 서버용의 데스크탑 환경은 일반형의 환경인 KDE가 아닌 GNOME이다.[1]


특징

활용

종류

문제점과 대안

평가와 전망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붉은별 문서는 소프트웨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