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나모 웹에디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5번째 줄: 5번째 줄:
  
 
== 개요 ==
 
== 개요 ==
 +
나모 웹에디터는 나모인터랙티브가 만드는 위지윅형 웹에디터로 초창기에는 대한민국에서 드림위버의 국산 경쟁 제품으로 선전하였으나, 2006년 7월 세중여행과 합병한 이후 지속적인 후속 제품을 내놓지 못함으로써 점차 한국 시장의 지위를 상실하고 있다.
 +
 +
== 특징 ==
 
나모 웹에디터는 보통 웹 전문 편집, 웹사이트 제작 및 HTML 실습을 할 때 사용되었으며, 기본적인 양식과 태그, 프레임을 갖추고 있어서 유용하게 쓰이는 편이었다. 라이센스는 개인/기업 모두 유료로 서비스되고 있었으나, 2008년 '나모 웹에디터 8' 버전을 마지막으로 개발이 중단되었다. 이후 9년 만에 2017년 7월 1일에 선보일 예정으로 나모 웹에디터 10을 개발 중이라고 2016년 10월 24일 밝혔다. 그리고 2017년 8월 29일 '나모 웹에디터 원'이 출시되었다. 나모 웹에디터는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비교적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호응을 얻고 있었다. 1990년대 말 국내에 인터넷의 바람이 불고 젊은이들에게서 홈페이지 만드는 것이 유행할 무렵, 영어로만 작동하고 상대적으로 다루기 까다로웠던 드림위버나 그 당시 국내 유저들에겐 아직 생소했던 오피스 프로그램 '워드'를 빼닮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프론트페이지는 HTML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웠고 난해했었다. 그 틈새시장을 비집고 들어온 것이 나모 웹에디터로, 마치 [[아래아 한글]]에서 문서나 표를 작성하듯이 사용할 수 있어서 익숙해지기 쉬웠고, 위지윅도 드림위버에 비해 전문적이진 않지만 상당히 직관적이라 학교나 학원에서도 많은 유저들이 나모 웹에디터로 개인 홈페이지와 같은 웹페이지를 만들어서 올리곤 했었다. 하지만, 곧 블로그 등 HTML 코드를 바로 다루지 않아도 쉽게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오게 되어 일반인들에게 HTML 코딩의 중요성이 떨어지고, 그 당시 열악한 웹표준 현황과 계속 추가되는 신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해 줄어드는 니치 시장과 빈약한 전문가 기능 사이에서 우왕좌왕하다가 도태되어버렸다. 그 당시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6.0 호환 문제로 같은 웹페이지라도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든지, 테이블(table) 태그만 써서 표를 만드는 식으로 [[CSS]]로 일부 수정이 가능했지만 그나마도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CSS를 제대로 지원 하지 않았으므로 작동 안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지금은 완전히 사장된 방법이 되어버렸고, 모바일 등 최신 환경을 지원하지 못했으며, HTML5도 제대로 지원 못했다. 그리고 [[자바스크립트]]도 일부 지원하였으나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스크립트의 자유도를 감당해내지 못하고 지원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 같은 문제는 나모 웹에디터 엔진의 한계였는지 마지막 버전까지 해소하지 못하고, 결국 HTML5를 제대로 지원하는 크로스 에디터를 처음부터 새로 만들면서 명맥이 끊기게 된 원인이 되었다.
 
나모 웹에디터는 보통 웹 전문 편집, 웹사이트 제작 및 HTML 실습을 할 때 사용되었으며, 기본적인 양식과 태그, 프레임을 갖추고 있어서 유용하게 쓰이는 편이었다. 라이센스는 개인/기업 모두 유료로 서비스되고 있었으나, 2008년 '나모 웹에디터 8' 버전을 마지막으로 개발이 중단되었다. 이후 9년 만에 2017년 7월 1일에 선보일 예정으로 나모 웹에디터 10을 개발 중이라고 2016년 10월 24일 밝혔다. 그리고 2017년 8월 29일 '나모 웹에디터 원'이 출시되었다. 나모 웹에디터는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비교적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호응을 얻고 있었다. 1990년대 말 국내에 인터넷의 바람이 불고 젊은이들에게서 홈페이지 만드는 것이 유행할 무렵, 영어로만 작동하고 상대적으로 다루기 까다로웠던 드림위버나 그 당시 국내 유저들에겐 아직 생소했던 오피스 프로그램 '워드'를 빼닮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프론트페이지는 HTML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웠고 난해했었다. 그 틈새시장을 비집고 들어온 것이 나모 웹에디터로, 마치 [[아래아 한글]]에서 문서나 표를 작성하듯이 사용할 수 있어서 익숙해지기 쉬웠고, 위지윅도 드림위버에 비해 전문적이진 않지만 상당히 직관적이라 학교나 학원에서도 많은 유저들이 나모 웹에디터로 개인 홈페이지와 같은 웹페이지를 만들어서 올리곤 했었다. 하지만, 곧 블로그 등 HTML 코드를 바로 다루지 않아도 쉽게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오게 되어 일반인들에게 HTML 코딩의 중요성이 떨어지고, 그 당시 열악한 웹표준 현황과 계속 추가되는 신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해 줄어드는 니치 시장과 빈약한 전문가 기능 사이에서 우왕좌왕하다가 도태되어버렸다. 그 당시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6.0 호환 문제로 같은 웹페이지라도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든지, 테이블(table) 태그만 써서 표를 만드는 식으로 [[CSS]]로 일부 수정이 가능했지만 그나마도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CSS를 제대로 지원 하지 않았으므로 작동 안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지금은 완전히 사장된 방법이 되어버렸고, 모바일 등 최신 환경을 지원하지 못했으며, HTML5도 제대로 지원 못했다. 그리고 [[자바스크립트]]도 일부 지원하였으나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스크립트의 자유도를 감당해내지 못하고 지원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 같은 문제는 나모 웹에디터 엔진의 한계였는지 마지막 버전까지 해소하지 못하고, 결국 HTML5를 제대로 지원하는 크로스 에디터를 처음부터 새로 만들면서 명맥이 끊기게 된 원인이 되었다.
 
{{각주}}
 
{{각주}}

2021년 2월 16일 (화) 13:41 판

파일:나모웹에디터 로고.png
나모 웹에디터(Namo Web Editor)
파일:나모웹에디터 글자.png
나모 웹에디터(Namo Web Editor)

나모 웹에디터 나모인터랙티브에서 만든 위지윅 기반의 웹에디터 HTML 편집기이다.

개요

나모 웹에디터는 나모인터랙티브가 만드는 위지윅형 웹에디터로 초창기에는 대한민국에서 드림위버의 국산 경쟁 제품으로 선전하였으나, 2006년 7월 세중여행과 합병한 이후 지속적인 후속 제품을 내놓지 못함으로써 점차 한국 시장의 지위를 상실하고 있다.

특징

나모 웹에디터는 보통 웹 전문 편집, 웹사이트 제작 및 HTML 실습을 할 때 사용되었으며, 기본적인 양식과 태그, 프레임을 갖추고 있어서 유용하게 쓰이는 편이었다. 라이센스는 개인/기업 모두 유료로 서비스되고 있었으나, 2008년 '나모 웹에디터 8' 버전을 마지막으로 개발이 중단되었다. 이후 9년 만에 2017년 7월 1일에 선보일 예정으로 나모 웹에디터 10을 개발 중이라고 2016년 10월 24일 밝혔다. 그리고 2017년 8월 29일 '나모 웹에디터 원'이 출시되었다. 나모 웹에디터는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비교적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호응을 얻고 있었다. 1990년대 말 국내에 인터넷의 바람이 불고 젊은이들에게서 홈페이지 만드는 것이 유행할 무렵, 영어로만 작동하고 상대적으로 다루기 까다로웠던 드림위버나 그 당시 국내 유저들에겐 아직 생소했던 오피스 프로그램 '워드'를 빼닮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프론트페이지는 HTML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웠고 난해했었다. 그 틈새시장을 비집고 들어온 것이 나모 웹에디터로, 마치 아래아 한글에서 문서나 표를 작성하듯이 사용할 수 있어서 익숙해지기 쉬웠고, 위지윅도 드림위버에 비해 전문적이진 않지만 상당히 직관적이라 학교나 학원에서도 많은 유저들이 나모 웹에디터로 개인 홈페이지와 같은 웹페이지를 만들어서 올리곤 했었다. 하지만, 곧 블로그 등 HTML 코드를 바로 다루지 않아도 쉽게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오게 되어 일반인들에게 HTML 코딩의 중요성이 떨어지고, 그 당시 열악한 웹표준 현황과 계속 추가되는 신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해 줄어드는 니치 시장과 빈약한 전문가 기능 사이에서 우왕좌왕하다가 도태되어버렸다. 그 당시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6.0 호환 문제로 같은 웹페이지라도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든지, 테이블(table) 태그만 써서 표를 만드는 식으로 CSS로 일부 수정이 가능했지만 그나마도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CSS를 제대로 지원 하지 않았으므로 작동 안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지금은 완전히 사장된 방법이 되어버렸고, 모바일 등 최신 환경을 지원하지 못했으며, HTML5도 제대로 지원 못했다. 그리고 자바스크립트도 일부 지원하였으나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스크립트의 자유도를 감당해내지 못하고 지원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 같은 문제는 나모 웹에디터 엔진의 한계였는지 마지막 버전까지 해소하지 못하고, 결국 HTML5를 제대로 지원하는 크로스 에디터를 처음부터 새로 만들면서 명맥이 끊기게 된 원인이 되었다.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나모 웹에디터 문서는 소프트웨어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