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엠에스도스

해시넷
e06062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7월 24일 (수) 11:24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엠에스도스(MS-DOS)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 Microsoft) 회사가 만든 도스(DOS) 운영체제이다.

개요

MS-DOS는 Microsoft Disk Operating System의 줄임말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것이다. 1981년 8월 처음 PC에 올려져서 제공되었고 1995년 개발이 중단되기 전까지 몇 차례의 판올림이 있었다. 사상 최초로 대중화됬던 운영체제이다. 이후 윈도 95가 출시 된 후로부터는 윈도 제품의 일부로 제공되었고 윈도 미에 기본 내장되있는 8.0버전까지 나왔다. 이후 개발이 중단되었다.

역사

MS-DOS는 팀 패터슨이 작성한 시애틀 컴퓨터 프로덕츠 소유의 86-DOS[1]에서 이름이 바뀐 것이다.

버전

  • 1.0 1981년 - 최초의 IBM PC에 탑재된 첫 버전(PC-DOS).
  • 1.25 1982년 - MS-DOS라는 이름으로 출시된 IBM PC 호환기종용 첫 버전.
  • 2.0 1983년 - 하위 디렉토리, 핸들 기반 파일 운용, 명령어 입출력 리다이렉션, 파이프 등을 지원. 마이크로소프트는 경로명 구분 문자를 대부분의 도스나 CP/M 프로그램에서 명령 스위치로 사용하고 있는 슬래시(/) 대신 역슬래시(\)로 사용하기로 함. 하드 디스크와 360KB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지원.
  • 2.01 1983년
  • 2.11 1983년 - 영어 이외의 언어와 날짜 형식 지원.
  • 2.25 1985년 - 한글과 일본어 한자 지원 확대. 동아시아 나라에만 출시됨.
  • 3.0 1984년 - PC AT를 지원함. 1.2MB 플로피 디스크 및 최대 32 메가바이트의 하드 디스크 파티션 지원(한 개의 기본 파티션과 한 개의 논리 드라이브 지원).
  • 3.1 1984년 - 마이크로소프트 네트워킹 지원.
  • 3.2 1986년 - 3.5 인치 720KB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지원.
  • 3.3 1987년 - 여러 개의 논리 드라이브 지원.
  • 3.31 1987년
  • 4.0 1988년 - 도스 제공.
  • 5.0 1991년 - 메모리 관리, 전체 화면 편집기, QBasic 프로그래밍 언어, 온라인 도움말, 작업 전환 기능이 추가된 도스 셸 등 제공.
  • 6.00 1993년 - 더블스페이스, 영문 사용자 메시지 지원(한글판), 조합형 한글 코드 페이지(1361) 지원(한글판).
  • 6.20 1993년
  • 6.21 1994년 - 스택 일렉트로닉스와의 소송으로 인해 더블스페이스 기능이 제외됨.
  • 6.22 1994년 - 단일 제품으로는 마지막 버전. 더블스페이스 대신 동일한 기능의 드라이브스페이스 제공.
  • 7.0 1995년 - 윈도 95에 내장됨. MSDOS.SYS의 기능이 IO.SYS에 통합되어, MSDOS.SYS에는 참고용 텍스트만이 들어있다. LBA(논리 블록 어드레싱) 지원. DOSLFN 등의 별도 드라이버를 이용하면 긴 파일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 7.1 1998년 - 윈도 95 OSR2와 그 이후 버전 및 윈도 98, 윈도 98 SE에 내장됨. FAT32 파일 시스템 지원.
  • 8.0 2000년 - 윈도 미에 내장됨. 또한 윈도 XP, 윈도 비스타, 윈도 7에서 플로피 디스크포맷할 때 'MS-DOS 시동 디스크 만들기'를 선택하면 이 버전의 최소한의 파일을 포함한 MS-DOS가 디스크에 설치된다. 이 버전의 MS-DOS는 7.1버전에 비해 향상된 점도 있으나 몇 가지 중요한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아래와 같다.

7.1버전에 비해 향상된 점

  • IO.SYS 파일이 압축되어 줄어든 크기로 인해 부팅이 빨라졌다.
  • IO.SYS 파일에 XMS 지원이 내장되어 HIMEM.SYS 파일이 필요하지 않다.
  • IO.SYS 파일에 디스크 캐시 기능이 내장되어 디스크 입출력 성능이 향상되었다.[2]

7.1버전에 비해 제한된 점

  • 하드디스크에서 시동할 경우 리얼 모드로 부팅할 수 없다.
  • 시동 디스크로 시동할 경우 EMM386.EXE를 불러올 수 없기 때문에 EMS 및 UMB를 사용할 수 없다.
  • SYS.COM 명령어를 통해 이동식 디스크를 시동 디스크로 만들 수 없다.
  • FORMAT.COM 명령어에 /S 옵션이 제거되어 시동 디스크를 만들 수 없다.

특징

MS-DOS의 특징을 한 문장으로 표시하자면, FAT16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운영체제라는 것 이다. FAT16이라는 단어 속에는 파일명은 8.3의 원칙을 따라야 하고 1개의 파티션 크기가 최대 2GB까지만 설정 가능하다라는 의미가 포함된 것 이다.[3]

MS-DOS 6.22까지의 모든 MS-DOS는 FAT16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고 윈도 95 OSR2부터 지원하는 FAT32와 윈도 NT/2000/XP의 파일 시스템인 NTFS, 그리고 OS/2의 파일 시스템인 HPFS는 인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전 하드디스크에 FAT32 또는 NTFS를 사용하는 윈도 9x/Me/NT/2000/XP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운영체제를 완전히 삭제할 필요가 있는 경우, A드라이브에 MS-DOS 6.x의 부팅 디스크를 삽입하고 A드라이브로 부팅하더라도 하드디스크에 있는 운영체제를 삭제할 수 없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MS-DOS가 모르는 파일 시스템이 하드디스크에 있어 C드라이브 조차 보이질 않는다. 이런경우 파티션 삭제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삭제하여야 한다. 그리고, 1대의 PC에 윈도 9x와 MS-DOS와 멀티부팅을 시도한다면 반드시 C드라이브는 FAT16이어야 한다. MS-DOS와 윈도 9x/Me/NT/2000/XP의 시스템 파일들은 셋업시 D드라이브에 D:\DOS 또는 D:\Windows와 같은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설치할 수 있으나 부팅에 필요한 시스템 파일은 항상 C드라이브에 저장되므로 멀티부팅을 시도하는 경우, C드라이브는 모두 인식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인 FAT16이어야 한다.[3]

윈도 95부터는 최대 255자까지의 파일명, 디렉토리명이 가능하지만 MS-DOS 6.22까지의 파일명과 디렉토리명은 반드시 8.3의 규칙을 지켜야한다. 물론, 확장명이 없는 파일도 존재가 가능하다. 즉, MS-DOS 6.22까지의 파일명(디렉토리명 포함)은 반드시 최대 파일명 8자와 확장명 3자의 원칙을 지켜서 생성되어야 한다.[3]

  • 1개 파티션의 최대 크기는 2GB이다.

MS-DOS 6.22까지 포함되어 있는 FDISK.EXE는 FAT16의 파티션 생성할 수 있는데 1개 파티션의 크기는 최대 2GB이다.[3]

  • MS-DOS는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다.

MS-DOS는 파일명이나 디렉토리명, 드라이브명에서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다.[3]

  • 모든 실행파일은 실행파일이 있는 디렉토리에서 실행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MS-DOS 내부명령외의 모든 명령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실행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토리에서 실행하여야 한다.[3]

  • 저용량 PC를 기준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속도가 다른 운영 체제와 비교해본다면 빠르다.[4]


각주

  1. Doug Conner, 〈Father of DOS Still Having Fun at Microsoft〉, 《Micronews》, 2010-02-09
  2. Microsoft, 〈Improving "Cold Boot" Time for System Manufactures〉, 《Microsoft》, 2001-12-04
  3. 3.0 3.1 3.2 3.3 3.4 3.5 Sirjhswin, 〈도스의 특징〉, 《Memories of DOS》, 2009-05-07
  4. hkimscil, 〈MS-DOS (Disk Operating System)〉, 《컴리서치넷위키》, 2016-07-01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엠에스도스 문서는 소프트웨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