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릭 블록체인

해시넷
Asadal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7월 23일 (월) 13:12 판 (문제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이란 누구든지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말한다. 공공 블록체인 또는 개방형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권위 있는 조직의 승인이 없이 누구든지 인터넷에 연결된 PC, 노트북, 스마트폰, 서버컴퓨터, 채굴기 등 다양한 컴퓨터 장비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특징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개별 컴퓨터를 노드(node)라고 부르는데, 각 노드들은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하여 저장하고, 해시 연산을 통해 새로운 블록의 생성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각 노드들은 언제든지 자신의 컴퓨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하지 않고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자유롭게 탈퇴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또는 탈퇴하는 것은 권위 있는 조직의 승인이 필요 없이, 전적으로 해당 노드 참여자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보상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우 참여자들의 컴퓨터 사용에 따른 전기료 등 운영 비용을 감당할 수 있도록, 암호화폐를 발행하여 보상한다. 퍼블릭 블록체인 참여자들은 새로운 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발행되는 암호화폐를 지급 받음으로써, 컴퓨터 감가상각비, 전기료, 공간사용료, 인건비 등 각종 비용을 보상 받을 수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 운영에 참가한 사람들은 지급받은 암호화폐를 실생활에서 사용하거나 혹은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판매함으로써 참여 비용을 회수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퍼블릭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는 서로 분리할 수 없는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다. 만약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암호화폐를 지급하지 않는다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받을 수 있는 경제적 보상이 없기 때문에 소수의 헌신적인 기여자들을 제외하고는 참여자가 없게 되어, 최악의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붕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암호화폐를 발행하는 것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비트코인캐시, 이오스, 모네로 등 대부분의 암호화폐는 퍼블릭 블록체인 방식으로 운영된다.

문제점

중국 최초의 암호화폐네오(NEO)를 창시한 다 홍페이(Da Hongfei)는 퍼블릭 블록체인이 당면한 문제점을 8대 과제로 정리했다.[1]

  • 확장성 제한(limited scalability) : 퍼블릭 블록체인은 사용자가 많지 않았던 초기와 달리,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확장성 문제가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의 경우 블록 1개의 크기가 1MB로 정해져 있는데, 10분간 이루어지는 거래를 최대 2,000건 정도만 기록할 수 있다. 만약 10분 사이에 2,000건 이상의 거래가 발생할 경우, 해당 거래내역이 1MB 안에 기록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앞으로 퍼블릭 블록체인 사용자들이 더 많아질 경우, 블록 사이즈 제한에 따른 확장성 문제로 인해, 거래 지연 현상은 더욱 심화될 우려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세그윗(SegWit)도 진행했고, 블록 사이즈를 8MB 이상으로 늘린 비트코인캐시를 만들기도 했으나, 일시적 해결책일 뿐이며, 확장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 제한된 프라이버시(limited privacy) :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들은 어느 정도의 익명성을 보장 받지만, 프라이버시가 완벽하게 보호되는 것은 아니다. 프라이버시는 비밀과 다르다. 비밀은 어느 누구도 알지 못하게 하는 것이지만, 프라이버시는 자신에 대해 선택적으로 세상에 드러낼 수 있는 권리이다. 블록체인 참여자들은 자신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르게 하거나, 아니면 모든 사람들이 동시에 모든 정보를 알게 하거나 둘 중에 하나의 선택만 할 수 있다. 자신의 개인정보에 대해 거래 당사자만 알고 제3자는 모르게 한다든지 하는 기능은 구현되어 있지 않다. 현재의 블록체인 시스템에서는 정보의 공개 범위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다.
  • 계약 검증 취약(lack of formal contract verification) :
  • 저장 제약(storage constrains) :
  • 지속적이지 않은 합의 메커니즘(unsustainable consensus mechanism) :
  • 거버넌스 및 표준 취약(lack of government and standard) :
  • 부적절한 툴(inadequable tooling) :
  • 퀀텀 컴퓨팅 위협(quantum computing threat) :

각주

  1. 방은주 기자, 〈네오 CEO "블록체인은 인터넷 이상 기술"〉, 《지디넷코리아》, 2018-07-21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