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체첸공화국(체첸어: Нохчичоь / Noxçiyçö, 러시아어: Чечня)은 연방국가인 러시아를 이루는 러시아의 공화국이다. 정식 국명은 체첸 공화국(체첸어: Нохчийн Республика / Noxçiyn Respublika, 러시아어: Чеченская Республика,)이지만, 간략히 체첸이라고 부른다. 체첸은 북캅카스 지역에 위치하여 있으며, 인구 다수는 체첸인으로 구성되어 있다.[1]
- 공용어: 체첸어, 러시아어
- 정치체제: 러시아 연방 소속
- 국가원수: 블라디미르 푸틴
- 국가수반: 람잔 카디로프
체첸공화국의 면적은 17,300km²이며 인구는 1,516,387명(2022년)이다. 소련 시절에는 이웃 국가인 인구시 공화국과 연합하여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이루고 있었으나, 1992년 12월 인구시 공화국과 분리되어 성립되었다. 체첸공화국은 국토의 동쪽과 북동쪽은 다게스탄 공화국과 면하고, 서쪽은 인구시 공화국과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 남쪽은 조지아와 접한다. 수도는 그로즈니(Грозный, Grozny)이다.
대부분이 체첸인인데 일부는 러시아인, 인구시인과 기타 북코카서스계 민족도 섞여있다. 주민은 체첸(Chechen)족과 인구시(Ingush)족이 이 60%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러시아인과 기타 캅카스족이다. 언어는 대부분 체첸어를 사용하며, 주민 대부분이 이슬람교도들이다. 체첸에서는 체첸인들의 토착 언어인 체첸어와 러시아어가 모두 사용된다. 체첸어는 캅카스 제어 중 북동 캅카스어족으로 불리는 그룹에 속하는데 인근의 인구시인들이 쓰는 인구시어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2][3]
자연환경[편집]
흑해와 카스피해로 둘러싸인북캅카스 지방에 속하고, 캅카스 산맥의 북쪽 기슭과 평야에 펼쳐져있다. 남부 국경을 따라 보코보이 산맥과 그 북쪽으로 서너 개의 평행으로 산맥이 뻗어 있고, 그 사이에 체첸평야가 펼쳐져 있다. 체첸평야 북쪽에는 순자·테레크의 두 산맥이 있고, 그 북쪽으로 테레크마저지(低地)가 펼쳐진다. 석유·가스를 비롯하여 석회암·이회암(泥灰岩)·석고(石膏) 등이 풍부하다.
체첸은 러시아와의 1차 체첸 전쟁 후 2차 체첸 전쟁도 겪었다. 아직도 국경 지대에서는 소규모 전투가 종종 일어나기 때문에 치안이 위험하다.
러시아 지배 이전[편집]
이슬람교가 전래되기 이전의 체첸인들은 자신의 역사 기록을 남기지는 않았지만, 고고학상의 유적으로 오래전부터 동북캅카스에 살았던 것이 증명되었다. 체첸인과 인구시인의 선조라고 여겨지는 나흐족에 대한 기록은 7세기에 기록되었다고 한다. 몽골 제국과 티무르 제국의 공격을 받았으나 저항하여 티무르의 인정을 받아 검을 하사받기도 했다고 한다.
16세기 말엽부터 동쪽 다게스탄으로부터 이슬람이 유입되어 점차 퍼져나갔다. 한편, 같은 무렵 모스크바 대공국을 중심으로 정치적 통일을 추진하며 국가 형성을 행하던 러시아는 17세기 말까지 전시베리아를 병합하였고, 18세기에는 남하를 개시, 발트해 연안, 흑해 연안, 카자흐 초원, 만주 동북부 등을 점차 병합했다. 또한 캅카스 지배의 거점으로서 북캅카스 중앙부의 테레크 주의 강변의 블라디캅카스(현 북오세티야 공화국)을 건설, 테레크 주 동쪽에 사는 체첸-인구시인의 정복을 추진했다. 이처럼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두에 걸쳐, 러시아 제국에 의해 일어난 캅카스의 지배를 둘러싼 전쟁사를 캅카스 전쟁이라 부른다.
제정 러시아[편집]
러시아는 1801년 이란의 카자르 왕조를 무너뜨리고 동조지아를 병합, 남캅카스까지 세력을 뻗었다. 이리하여 1828년까지 오스만 제국령의 아자리야(조지아 서남부 지역) 지역을 제외한 캅카스의 거의 전역이 러시아의 지배하에 들어왔지만, 그중에서 체첸인을 필두로 한 다게스탄과 체첸 지역은 러시아의 지배에 격렬히 저항했다. 이들은 이맘 샤밀의 지휘 하에 1859년까지 격렬하게 항쟁하지만 결국 굴복. 단 산악지대에서 몇년 간 저항이 더 이어졌으며 이후에도 러시아가 혼란스러워지면 바로 봉기를 일으켰다.
체첸인은 18세기 전반까지 이슬람 수니파가 지배적인 종교가 되어, 수피(이슬람 신비주의)의 성직자들이 사회의 지도적 위치에 서게 되었다. 체첸이나 다게스탄 제민족들은 이러한 수피 교단의 조직력과 결속에 의지하여 러시아에 대한 저항을 계속해왔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 내전에서 승리한 볼셰비키가 소비에트 러시아를 건설하였다. 1918년 소비에트 러시아는 독일 제국한테 제1차 세계 대전 항복을 하면서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따라 1918년 3월 캅카스 일대는 동맹국인 오스만 제국의 관할로 넘어간다. 이 때 체첸 역시 오스만 제국한테 넘어갔다. 1918년 11월 제1차 세계 대전이 동맹국 전반의 패전으로 마무리되면서, 체첸 일대는 권력 공백 상태를 맞게 됐다. 오스만 제국이 캅카스 일대의 지배를 포기했기 때문이다. 공백 상태를 맞은 체첸은 적백내전에서 백군에 가담했다. 그러나 1921년 적백내전에서 적군이 승리함에 따라 체첸은 결국 소비에트 러시아 소속으로 바뀌었다.
소련 설립 이후 블라디미르 레닌의 민족자치 방침에 따라 1924년 체첸 자치주, 인구시 자치주를 설립, 1934년에는 병합하여 체첸-인구시 자치주로, 1936년에는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승격하였다.
그 후 정권을 쥔 이오시프 스탈린은 민족공화국에 의한 연방제를 전제로 한 레닌주의 대신, 민족자치공화국을 중앙정부의 집권적 통제 하에 두는 스탈린주의를 취했기 때문에, 민족자치의 실태는 거의 보이지 않게 되었다. 몇 차례 체첸인들이 무장봉기를 일으켰지만 이때마다 스탈린은 일단 달래서 적당히 봉기를 수습한 이후 적당히 시간이 지나면 봉기 지휘부를 제거하는 수법으로 체첸 지역을 통제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에는 소련에 침투한 나치 독일군의 일부가 북서캅카스에 도달하였는데, 스탈린 정권은 체첸인을 포함한 반러시아적 민족이 독일군과 연합하여 저항하는 것을 두려워하였다. 그리고 실제로도 독소전이 발발할 무렵 일부 체첸인들이 무장 게릴라 활동에 돌입하기도 했다. 독일군 침투 후 1944년 2월, 스탈린은 체첸-인구시인의 대독일 협력을 의심하여, 체첸-인구시인 50만 명을 중앙아시아나 시베리아로 추방한 후 자치공화국을 해체했다.
1953년 니키타 흐루쇼프가 정권을 취득, 1956년 스탈린 비판을 개시하였다. 스탈린이 행한 체첸-인구시인 민족 추방도 비판 대상이 되어 1957년 두 민족은 체첸으로의 복귀와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재건을 인정받았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러시아 연방과의 대대적인 분쟁인 체첸 전쟁이 발발하였다. 1991년에는 분리독립주의 성향의 조하르 두다예프(Джохар Дудаев)을 중심으로 미승인국인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이 수립되기도 하였다. 제2차 체첸 전쟁의 종전(2000년) 이후인 2003년에 아흐마트 카디로프(Ахмат Кадыров)가 러시아 연방에 귀속한 현 체첸 공화국의 초대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오늘날의 체첸 공화국으로 이어지고 있다. 다만 종전 이후에도 체첸계 분리주의 세력은 잔존하였다. 이들은 이슬람 극단주의 성향의 카우카즈 이슬람 토후국을 표방하기도 하였으나, 지도자들과 대원들 대부분이 러시아군의 토벌로 사살당하고 남은 세력이 해외로 도주하여 2015년 말에 ISIL에 가담하면서 사실상 소멸되었다.
주요 산업은 석유·가스 채취인데 산지(産地)는 그로즈니·말고베크·카파불라크 주변에 모여 있다. 정유업(精油業)은 그로즈니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며 카스피해(海)의 마하치칼라, 흑해의 투압세, 도네츠 분지까지 송유관이 뻗어 있어 이것이 체첸사태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식품공업은 포도주와 과일통조림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농업은 주로 테레크강(江)·순자강·알한추르트강 유역에서 이루어지며, 주민의 약 57%가 도시에서 살고 있다.
철도는 아스트라한과 바쿠, 투압세와 로스토프 등지로 이어지며 자동차 도로의 총연장은 1,200㎞이다. 그러나 제1·2차 체첸사태를 겪으면서 수도 그로즈니의 건물은 90% 이상이 파괴되는 등 도시의 상당부분이 황폐해졌다.
대부분의 체첸인들은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동다게스탄에서 전해진 수니파 이슬람을 믿는다. 대부분 테레크 카자크군의 후예인 체첸 내부의 러시아인들은 러시아 정교회를 믿는다. 수도 그로즈니에는 현재 러시아 정교회 교회 하나가 남았다.
과거 체첸 분리주의자들 중 와하브파에 물든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영향으로 한동안은 이슬람 극단주의가 성행한 적이 있었으나, 람잔 카디로프가 체첸의 전통 이슬람인 수피즘으로 회귀한다는 모토를 내세워서 이를 척결하는 데 앞장섰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슬람 근본주의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고, 체첸 자치정부부터가 이슬람주의가 심하며 법률을 체첸식 샤리아 율법을 적용하여 러시아와 해외에서 비판을 받는다. 특히 2015년에 샤를리 엡도에서 무함마드 풍자에 항의하는 시위가 일어났다.
게다가 성차별도 심하다. 아무리 체첸 고유의 수피즘이 중동 같은 동네의 정통적인 이슬람 근본주의보다는 온건하고 세속적이라고는 하지만, 샤리아라는 이름이 어디 안 가듯이 여성들의 복장 규정 및 단속은 물론이고 복장이 불량하거나 히잡 미착용자는 온갖 불이익을 가하는것도 모자라 이를 정부에서 비호한다. 또한 IS 반군을 막겠다고 내놓은 대책이 막장인데 이혼한 부부를 강제로 재결합시키는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비난을 받았다. 그나마 체첸은 여성들의 숨이 아예 턱 막힐 정도인 중동보다는 낫다.
러시아의 다른 지역 및 이슬람권처럼 체첸에서도 성소수자의 입지가 나쁘다. 2017년에는 카디로프의 주도하에 게이 수용소라는 곳을 설치하고 강제 구금했다는 기사가 올라와 서방권 및 러시아 성소수자들이 항의했다. 2017년 4월에는 게이 100여 명이 체포되고 최소 3명이 살해되었다. 2019년 초부터 체첸 공화국이 성소수자 탄압을 재개하면서 2명이 고문으로 숨지고 40여 명이 구금되었다.
그리고 2018년 1월 9일에 체첸에서 현지 인권운동가가 마약소지 혐의로 체포되자 서방측은 석방을 촉구했다.
체첸인 이슬람주의자들이 시리아, 아프간 등 전쟁터에 반정부 전투원으로 참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은 보통 고급 전력 취급을 받는다. 실제로 장비에도 신경 쓰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보통 반군보다 무장 수준이 뛰어나다.
- 플래시 게임 세계전쟁에선 완전한 독립국으로 나온다.
- 비공식적으로 120년 넘게 산 코쿠 이스탐불로바 할머니가 체첸 출신이다.
- 체첸 마피아들의 범죄가 러시아와 유럽에서 악명 높다.
- 캅카스 지역이 다 그렇지만 벤데타 문화가 강하며 이를 행하는 사람을 협객처럼 보는 문화가 있다. 일례로 체첸 전쟁 당시 18세 체첸인 여성을 강간 살해한 러시아군의 유리 부다노프 대령이 징역 10년형을 받고 복역하다가 5년만에 사면을 받고 풀려났는데 체첸에선 이를 민족적 분노로 여기고 사면도 반대하고 맹비난했다. 결국 유리 부다노프는 2011년 모스크바에서 체첸인 유섭 테미르하노프에게 암살됐다. 유섭 테미르하노프는 살인혐의로 15년형을 받고 복역하다가 옥사했다. 체첸에선 친러/반러 체첸인을 막론하고 그를 민족영웅으로 추앙하고 성대한 장례식이 이루어졌다. 친러파인 람잔 카디로프 역시 그를 칭송하고 억울하게 옥사했다고 두둔했다.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캅카스 같이 보기[편집]
- 남캅카스 국가
|
- 북캅카스 지역
|
- 캅카스 도시
|
- 캅카스 지리
|
- 캅카스 문화
|
- 캅카스 주변 지역
|
 이 체첸공화국 문서는 세계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행정구역, 세계행정구역 □■⊕, 지도서비스, 관광지, 한국관광지, 세계관광지,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건설, 토지
|
|
세계행정구역
|
공화국 • 군 • 기 • 데파르트망 • 도 • 도도부현 • 레지옹 • 맹 • 버로우(버러) • 변경주 • 부 • 부성급시 • 성 • 소목 • 시 • 시구정촌(시정촌) • 시정촌 • 시할구 • 아롱디스망 • 연방관구 • 연방주 • 오아자 • 자치구 • 자치기 • 자치주 • 자치현 • 정 • 정령지정도시(지정시) • 정목 • 조초 • 주 • 준주 • 중핵시 • 지구 • 지급시 • 지청 • 직할시 • 진흥국 • 촌 • 카운티 • 캉통 • 코뮌 • 특례시 • 특별행정구 • 현 • 현급구역 • 현급시
|
|
미국
|
네바다주 • 네브래스카주 • 노스다코타주 • 노스캐롤라이나주 • 뉴멕시코주 • 뉴욕주 • 뉴저지주 • 뉴햄프셔주 • 델라웨어주 • 로드아일랜드주 • 루이지애나주 • 매사추세츠주 • 메릴랜드주 • 메인주 • 몬태나주 • 미네소타주 • 미시간주 • 미시시피주 • 미주리주 • 버몬트주 • 버지니아주 • 사우스다코타주 • 사우스캐롤라이나주 • 아이다호주 • 아이오와주 • 아칸소주 • 애리조나주 • 앨라배마주 • 오리건주 • 오클라호마주 • 오하이오주 • 와이오밍주 • 워싱턴주 • 웨스트버지니아주 • 위스콘신주 • 유타주 • 인디애나주 • 일리노이주 • 조지아주 • 캔자스주 • 캘리포니아주 • 켄터키주 • 코네티컷주 • 콜로라도주 • 테네시주 • 텍사스주 • 펜실베이니아주 • 플로리다주
|
|
중국
|
간쑤성 • 광둥성 • 광시좡족자치구 • 구이저우성 • 네이멍구자치구 • 닝샤후이족자치구 • 랴오닝성 • 마카오 • 베이징시 • 산둥성 • 산시성 (산서성) • 산시성 (섬서성) • 상하이시 • 신장위구르자치구 • 쓰촨성 • 안후이성 • 윈난성 • 장시성 • 장쑤성 • 저장성 • 지린성 • 충칭시 • 칭하이성 • 톈진시 • 티베트자치구 • 푸젠성 • 하이난성 • 허난성 • 허베이성 • 헤이룽장성 • 홍콩 • 후난성 • 후베이성
|
|
일본
|
간사이지방(긴키지방) • 간토지방 • 규슈지방 • 도쿄도 • 도호쿠지방 • 시코쿠지방 • 주고쿠지방 • 주부지방 • 홋카이도지방
|
|
러시아
|
극동연방관구(마가단주 • 부랴트공화국 • 사하공화국 • 사할린주 • 아무르주 • 유대인자치주 • 자바이칼 변경주 • 축치자치구 • 캄차카 변경주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연해주) • 하바롭스크 변경주) • 남부연방관구 • 볼가연방관구 • 북서연방관구 • 북캅카스연방관구(다게스탄공화국 •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 • 스타브로폴 변경주 • 인구시공화국 • 체첸공화국 •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 시베리아연방관구 • 우랄연방관구 • 중앙연방관구
|
|
인도
|
구자랏주 • 나갈랜드주 • 라자스탄주 • 마니푸르주 • 마디아프라데시주 • 마하라슈트라주 • 메갈라야주 • 미조람주 • 비하르주 • 서벵골주 • 시킴주 • 아루나찰프라데시주 • 아삼주 • 안드라프라데시주 • 오리사주 • 우타르프라데시주 • 유타란찰주 • 즈하르한드주 • 차티스가르주 • 카르나타카주 • 케랄라주 • 타밀나두주 • 텔랑가나주 • 트리푸라주 • 펀잡주(펀자브주) • 하리아나주 • 하마찰프라데시주
|
|
영국
|
그레이터런던 • 노스웨스트 잉글랜드 • 노스이스트 잉글랜드 • 북아일랜드 • 사우스웨스트 잉글랜드 • 사우스이스트 잉글랜드 • 스코틀랜드 • 요크셔험버 • 웨스트 미들랜즈 • 웨일스 • 이스트 미들랜즈 • 이스트 오브 잉글랜드 • 잉글랜드
|
|
프랑스
|
그랑테스트 • 노르망디 • 누벨아키텐 • 부르고뉴프랑슈콩테 • 브르타뉴 • 상트르발드루아르 • 오드프랑스 • 오베르뉴론알프 • 옥시타니 • 일드프랑스 • 페이드라루아르 •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
|
독일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이에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
이탈리아
|
라치오 • 롬바르디아 • 리구리아 • 마르케 • 몰리세 • 바실리카타 • 발레다오스타 • 베네토 • 사르데냐 • 시칠리아 • 아브루초 • 에밀리아로마냐 • 움브리아 • 칼라브리아 • 캄파니아 • 토스카나 • 트렌티노알토아디제 • 풀리아 •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 피에몬테
|
|
스페인
|
갈리시아주 • 나바라주 • 라리오하주 • 마드리드주 • 무르시아주 • 바스크주 • 발레아레스제도주 • 발렌시아주 • 아라곤주 • 아스투리아스주 • 안달루시아주 • 엑스트레마두라주 • 카스티야라만차주 • 카스티야이레온주 • 카탈루냐주 • 칸타브리아주
|
|
캐나다
|
노바스코샤주 • 노스웨스트 준주 • 누나부트 준주 • 뉴브런즈윅주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 매니토바주 • 브리티시컬럼비아주 • 서스캐처원주 • 앨버타주 • 온타리오주 • 유콘 준주 • 퀘벡주 •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주
|
|
호주
|
노던준주 • 뉴사우스 웨일스주 • 빅토리아주 •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주 •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 •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주 • 퀸즐랜드주 • 태즈메이니아주
|
|
브라질
|
브라질 남동부지방 • 브라질 남부지방 • 브라질 북동부지방 • 브라질 북부지방 • 브라질 중서부지방
|
|
멕시코
|
게레로주 • 과나후아토주 • 나야리트주 • 누에보레온주 • 두랑고주 • 메히코주 • 모렐로스주 • 미초아깐주 • 바하칼리포르니아주 • 바하칼리포르니아수르주 • 베라크루스주 • 사카테카스주 • 산루이스포토시주 • 소노라주 • 시날로아주 • 아과스칼리엔테스주 • 오악사카주 • 유카탄주 • 이달고주 • 치아파스주 • 치와와주 • 캄페체주 • 케레타로주 • 코아우일라주 • 콜리마주 • 킨타나로오주 • 타마울리파스주 • 타바스코주 • 틀락스칼라주 • 푸에블라주 • 할리스코주
|
|
이란
|
걸프이란 • 남아제르바이잔(이란령 아제르바이잔) • 발루치스탄 (이란) • 서이란 • 중앙이란 • 카스피해이란 • 호라산
|
|
튀르키예
|
남아나톨리아 • 동아나톨리아 • 마르마르지역 • 에게지역 • 중앙아나톨리아 • 지중해지역 • 흑해지역
|
|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쇼핑, 인물, 행사, 일반
|
|
지역 : 지역, 지형, 기후,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의 강, 세계의 바다, 세계의 섬, 국가 □■⊕, 도시, 세계의 도시, 신도시, 한국행정구역, 세계행정구역, 지도서비스, 관광지, 한국관광지, 세계관광지, 부동산, 부동산 거래, 부동산 정책, 아파트, 건물, 건설, 토지
|
|
국가
|
가족 • 가족국가 • 강국 • 강대국 • 강소국 • 개발도상국 • 경제대국 • 경찰국가 • 고대국가 • 공국 • 공산주의국가 • 공화국 • 관광국가 • 괴뢰국 • 국가 • 국가연합 • 국경 • 국경선 • 국민 • 국민국가 • 국토 • 군주국 • 극소국가 • 근대국가 • 나라 • 내륙국 • 노예국가 • 다민족국가 • 단일민족국가 • 대국 • 도시국가 • 독립국 • 독재국가 • 마이크로네이션 • 미승인국 • 민족 • 민족국가 • 민주공화국 • 민주주의국가 • 보호국 • 봉건국가 • 부족 • 부족국가 • 분단국가 • 사회주의국가 • 선진국 • 섬나라 • 소국 • 속령 • 술탄국 • 시민 • 시민사회 • 식민지 • 신생국 • 신흥공업국 • 신흥국 • 씨족 • 야경국가 • 약소국 • 연방국가 • 영공 • 영세중립국 • 영토 • 영해 • 왕국 • 왕조 • 위성국 • 유엔 회원국 • 입헌군주국 • 자원부국 • 자원빈국 • 자유연합 • 자치공화국 • 자치국 • 자치령 • 전쟁국가 • 전통국가 • 제국 • 제국주의 • 제후 • 제후국 • 종속국(속국) • 종주국 • 주권 • 주권국 • 중립국 • 중세국가 • 중진국 • 최빈국 • 태평양 도서국(태도국) • 토후국 • 통일국가 • 통일왕국 • 패권국가 • 현대국가 • 황제국 • 후진국
|
|
국가연합
|
D10 • G2 • G5 • G7 • G8 • G11 • G12 • G20 • GUTS • 국내 • 국제 • 국제연맹 • 글로벌 • 나토(NATO) • 남미국가연합 • 네덜란드왕국 • 노르딕 • 뉴질랜드 자유연합 • 덴마크왕국 • 독립국가연합 • 발트해 3국 • 베네룩스 • 북유럽 이사회 • 브릭스(BRICS) • 세계 • 아랍연맹 • 아세안(ASEAN) • 아프리카연합 • 영연방 • 월드 • 유럽연합(EU) • 유엔(UN, 국제연합) • 지구
|
|
유럽의 국가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러시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저지정부 • 지브롤터(영국령)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페로제도(덴마크령)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아프리카의 국가
|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레위니옹(프랑스령)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마요트(프랑스령) • 말라위 • 말리 • 모로코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서사하라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수단 • 시에라리온 • 알제리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 • 잠비아 • 적도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 • 폴리사리오
|
|
아시아의 국가
|
네팔 • 대만(타이완) • 대한민국 • 동티모르 • 라오스 • 러시아 • 레바논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버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북한 •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지아 • 중국 • 차고스제도(영국령)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튀르키예(터키) • 파키스탄 • 필리핀
|
|
오세아니아의 국가
|
괌(미국령) • 나우루 • 누벨칼레도니(프랑스령) • 뉴질랜드 • 니우에(뉴질랜드령) • 마셜제도 • 미국령 군소제도 • 미국령 사모아 • 미크로네시아연방 • 바누아투 • 북마리아나제도(미국령) • 사모아 • 솔로몬제도 • 오가사와라제도(일본령) • 왈리스푸투나(프랑스령) • 이스터섬(칠레령) • 코코스제도(호주령) • 쿡제도(뉴질랜드령) • 키리바시 • 토켈라우(뉴질랜드령)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피지 • 핏케언제도(영국) • 하와이(미국령) • 호주
|
|
북아메리카의 국가
|
과들루프(프랑스령) • 과테말라 • 그레나다 • 그린란드(덴마크령) • 니카라과 • 도미니카공화국 • 도미니카연방 • 마르티니크(프랑스령) • 멕시코 • 몬트세랫(영국령) • 미국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버뮤다(영국령) • 벨리즈 • 보네르(네덜란드령) • 사바(네덜란드령) • 생마르탱 • 생바르텔레미(프랑스령)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세인트키츠-네비스 • 신트마르턴 • 신트 외스타티위스(네덜란드령) • 아이티 • 알래스카(미국령) • 앤티가바부다 • 앵귈라(영국령) • 엘살바도르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온두라스 • 자메이카 • 캐나다 • 케이맨제도(영국령) • 코스타리카 • 쿠바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영국령)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푸에르토리코(미국령)
|
|
남아메리카의 국가
|
가이아나 • 기아나(프랑스령)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 수리남 • 아루바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퀴라소 • 파라과이 • 페루 • 포클랜드제도(영국령)
|
|
기타 국가
|
나흐츠반 • 남베트남 • 남예멘 • 남오세티야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제국 • 도네츠크 • 동독 • 동튀르키스탄 • 루간스크 • 리버랜드 • 부건빌 • 북베트남 • 북예멘 • 북키프로스 • 서독 • 서토고랜드 • 소련 • 소말릴란드 • 아르차흐 • 암바조니아 • 압하지야 • 유고슬라비아 • 이슬람국가(IS) • 잔지바르 • 체첸 • 체코슬로바키아 • 카슈미르 • 쿠르디스탄왕국 • 튀르키스탄(투르키스탄) • 트란스니스트리아 • 팔레스타인 • 푼틀란드
|
|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쇼핑,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