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지분증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16번째 줄: 16번째 줄:
  
 
=== 장점 ===
 
=== 장점 ===
* [[채굴]]에 들어가는 적은 유지비용
+
* 환경친화적 시스템 : 지분증명방식의 가장 많이 알려진 장점은 작업증명방식과 대조적으로 에너지 소모가 큰 프로세스가 없다는 점이다.
* 네트워크의 분산화로 안전성 확보
+
* 인센티브에 대한 강한 동조 및 지지 : 작업증명방식의 문제점 중 하나가 마이너들과 암호화폐 보유자들의 이해관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또한 다른 문제점은 장기적 관점에서 해시레이트(hashrate)를 리스(lease)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지분증명방식은 이와 다르게 합의 대리인을 직접적으로 암호화폐에 투자하게 만들고 그에 따라 투자자와 합의 대리인의 이해관계가 같아지게 된다.
* 펌프 앤 덤프(Pump and Dump)의 최소화<ref name=“리치맨></ref>
+
* 마이닝의 중앙집중화 및 주문형 반도체 : 지분증명방식 기반 시스템의 또 다른 주요 장점은 작업증명방식의 마이닝이 가진 중앙집중식 특징으로 제거한다. 그로 인해 잠재적으로 더욱 탈중앙화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ref name="비트멕스">GRANT KIM, 〈[https://blog.bitmex.com/please-translate-in-ko_kr-complete-guide-to-proof-of-stake-ethereums-latest-proposal-amp-vitalik-buterin-interview/ 지분증명방식 (Proof of Stake) 완벽 가이드 – 이더리움 최신 개선안과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 인터뷰]〉, 《비트멕스》, 2018-06-20</ref>  
  
 
=== 단점 ===
 
=== 단점 ===
40번째 줄: 40번째 줄:
 
* 리치맨, 〈[https://blog.naver.com/blackboys20/221226823749 암호화화폐 채굴: 작업증명(PoW,Proof of Work) VS 지분증명(POS,Proof of Stake)]〉, 《네이버 블로그》, 2018-03-12
 
* 리치맨, 〈[https://blog.naver.com/blackboys20/221226823749 암호화화폐 채굴: 작업증명(PoW,Proof of Work) VS 지분증명(POS,Proof of Stake)]〉, 《네이버 블로그》, 2018-03-12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91313&cid=50376&categoryId=50376 병목 현상]〉, 《네이버 지식백과》, 2011-01-20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91313&cid=50376&categoryId=50376 병목 현상]〉, 《네이버 지식백과》, 2011-01-20
 +
* GRANT KIM, 〈[https://blog.bitmex.com/please-translate-in-ko_kr-complete-guide-to-proof-of-stake-ethereums-latest-proposal-amp-vitalik-buterin-interview/ 지분증명방식 (Proof of Stake) 완벽 가이드 – 이더리움 최신 개선안과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 인터뷰]〉, 《비트멕스》, 2018-06-20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9년 4월 1일 (월) 11:41 판

지분증명(PoS, Proof of Stake)이란 해당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지분율에 비례하여 의사결정 권한을 주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주주총회에서 주식 지분율에 비례하여 의사결정 권한을 가지는 것과 유사하다. 채굴 과정이 필요 없다. 포스라고도 읽는다. 에이다, 큐텀, 피어코인 등의 암호화폐가 지분증명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더리움도 현재 작업증명 방식을 벗어나 지분증명 방식으로 변경할 예정이다.[1]

개요

지분증명(Proof of Stake)는 작업증명(Proof of Work)과 다르게 작업량이 아닌 지분에 비례하여 블록에 기록할 권한이 더 많이 부여되는 것이다. 해당 암호화폐를 보유한 지분에 따라 채굴에 성공할 확률이 결정된다.[2]

등장 배경

지분증명은 작업증명(PoW)의 문제점으로 거론되는 막대한 에너지 및 리소스 소모를 해결한다. 별도의 채굴기가 필요 없이 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면 기본적인 자격이 충족된다. 지분증명은 완벽한 자본주의가 반영된 증명방식으로써 자신이 가진 코인 지분에 따라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3]

지분증명 방식의 코인

특징

지갑코인을 보유하고 온라인 상태이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비싼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고 작업증명 방식에 비해 전기를 많이 소모하지 않는다. 작업증명 방식에 비해 다른 코인으로 이탈 가능성이 적다. 그 이유는 오랜 기간 코인을 보유해야 하는 조건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검증시간이 빠르는 특징이 있다. [7]

장점

  • 환경친화적 시스템 : 지분증명방식의 가장 많이 알려진 장점은 작업증명방식과 대조적으로 에너지 소모가 큰 프로세스가 없다는 점이다.
  • 인센티브에 대한 강한 동조 및 지지 : 작업증명방식의 문제점 중 하나가 마이너들과 암호화폐 보유자들의 이해관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또한 다른 문제점은 장기적 관점에서 해시레이트(hashrate)를 리스(lease)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지분증명방식은 이와 다르게 합의 대리인을 직접적으로 암호화폐에 투자하게 만들고 그에 따라 투자자와 합의 대리인의 이해관계가 같아지게 된다.
  • 마이닝의 중앙집중화 및 주문형 반도체 : 지분증명방식 기반 시스템의 또 다른 주요 장점은 작업증명방식의 마이닝이 가진 중앙집중식 특징으로 제거한다. 그로 인해 잠재적으로 더욱 탈중앙화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8]

단점

  • 낮은 인지도
  • 투자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음[7]

확장성

지분증명은 작업증명과 마찬가지로 확장성(Scailability)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처리해야하는 데이터의 변동이 있을 때 성능변화가 어느정도인지를 확장성이라고 한다. 두 가지 증명방식은 한 블록 단위로 트랜잭션을 처리하기 때문에 초당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 최대치가 낮다. 그로 인해 병목현상이 나타난다. 병목현상이란 시스템 일부의 사용이 많아지면서 그 부분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고 그것으로 인해 전체 시스템이 마비되는 현상이다.[9] 지분증명 또한 병목현상에 대처할 만큼의 확장성은 보유하고 있지 않다.[3]

각주

  1. 블록인프레스, 〈이더리움 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 ‘캐스퍼’, 검토 절차 시작〉, 《블록인프레스》, 2018-04-23
  2. 토큰포스트, 〈POS(Proof of Stake, 지분 증명 방식)〉, 《토큰포스트》
  3. 3.0 3.1 tyami, 〈암호화폐 증명방식(PoS, PoW, DPoS, PBFT 등 ) 공부해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8-05-10
  4. 에이다〉, 《해시넷 코인위키》
  5. 큐텀〉, 《해시넷 코인위키》
  6. 영보스, 〈암호화폐 증명방식(PoS, PoW, DPoS, PBFT 등 ) 공부해보자〉, 《네이버 블로그》, 2017-05-27
  7. 7.0 7.1 리치맨, 〈암호화화폐 채굴: 작업증명(PoW,Proof of Work) VS 지분증명(POS,Proof of Stake)〉, 《네이버 블로그》, 2018-03-12
  8. GRANT KIM, 〈지분증명방식 (Proof of Stake) 완벽 가이드 – 이더리움 최신 개선안과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 인터뷰〉, 《비트멕스》, 2018-06-20
  9. 병목 현상〉, 《네이버 지식백과》, 2011-01-20

참고자료

]〉, 《토큰포스트》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지분증명 문서는 알고리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