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전방카메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7번째 줄: 7번째 줄:
 
스테레오 카메라는 2대의 카메라를 사용해 입체영상을 얻는다. 이것은 카메라 배치 방식과 주시점 제어 방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39606&cid=58127&categoryId=58127 3D 스테레오 카메라]〉, 《네이버 지식백과》</ref> 모노 카메라와 다르게 두 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입체영상 정보를 얻게 되고, 그 결과 도로의 높낮이, 물체의 크기, 주변 상황 등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그래서 모노 카메라에서는 구현할 수 없던 바디 컨트롤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바디 컨트롤 기능은 노면 상태, 바람의 방향 등을 고려하여 차체의 전고나 수평을 조절하여 탑승객은 마치 도로가 평평한 것처럼 느끼게 만들어주는 기능이다.<ref name="종류"></ref> 스테레오 카메라는 삼걱법을 기반으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로서 영상과 거리 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모노 카메라보다 하드웨어 가격 및 알고리즘 복잡도가 높다는 단점을 갖지만, 하드웨어 가격의 하락, 프로세서 성능의 향상, 효율적인 알고리즘의 개발로 인해 장점이 부각되고 있다.<ref>채영석 기자,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35&wr_id=105&page=28 자동차용 스테레오 비전 개발동향]〉, 《글로벌오토뉴스》, 2014-11-04</ref>
 
스테레오 카메라는 2대의 카메라를 사용해 입체영상을 얻는다. 이것은 카메라 배치 방식과 주시점 제어 방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39606&cid=58127&categoryId=58127 3D 스테레오 카메라]〉, 《네이버 지식백과》</ref> 모노 카메라와 다르게 두 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입체영상 정보를 얻게 되고, 그 결과 도로의 높낮이, 물체의 크기, 주변 상황 등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그래서 모노 카메라에서는 구현할 수 없던 바디 컨트롤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바디 컨트롤 기능은 노면 상태, 바람의 방향 등을 고려하여 차체의 전고나 수평을 조절하여 탑승객은 마치 도로가 평평한 것처럼 느끼게 만들어주는 기능이다.<ref name="종류"></ref> 스테레오 카메라는 삼걱법을 기반으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로서 영상과 거리 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모노 카메라보다 하드웨어 가격 및 알고리즘 복잡도가 높다는 단점을 갖지만, 하드웨어 가격의 하락, 프로세서 성능의 향상, 효율적인 알고리즘의 개발로 인해 장점이 부각되고 있다.<ref>채영석 기자,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35&wr_id=105&page=28 자동차용 스테레오 비전 개발동향]〉, 《글로벌오토뉴스》, 2014-11-04</ref>
  
==카메라를 사용해 구현한 기능==
+
==전방카메라를 사용해 구현한 기능==
 
* 차로 이탈 억제: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한 차로 이탈을 감지하는 즉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해 자동차를 차선 안으로 넣어주는 기능이다.
 
* 차로 이탈 억제: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한 차로 이탈을 감지하는 즉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해 자동차를 차선 안으로 넣어주는 기능이다.
 
* 하이빔 보조: 다기능 전방 카메라를 사용해 구현되는 기능으로, 카메라에 불빛이 감지되면 하이빔을 일시적으로 로우빔으로 바꾸어 준다.
 
* 하이빔 보조: 다기능 전방 카메라를 사용해 구현되는 기능으로, 카메라에 불빛이 감지되면 하이빔을 일시적으로 로우빔으로 바꾸어 준다.

2021년 11월 26일 (금) 13:25 판

전방카메라는 차선유지 보조장치, 자동 비상제동, 적응형 순향제어 등과 같이 중요한 안전 기능에서 요구되는 첨단 감지 기능을 제공하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핵심 요소이다.

종류

모노 카메라

모노 카메라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된 카메라이며, 윈드쉴드에 부착되어 있다. 이 카메라는 입력되는 이미지 정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도로 상황, 주행 요건 변화 등을 계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래서 이 카메라는 차선, 선행·대행 차량의 정보 및 거리, 표지판 등을 인실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지만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스테레오 카메라보다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악천후 시 인식률이 조금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 모노 카메라의 기능 향상으로 120도의 화각, 초당 15프레임의 영상 분석 및 3D표현이 가능하게 되어 비교적 저렴하고 단순한 모노 카메라를 개발 및 적용하는 추세이다.[1]

스테레오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는 2대의 카메라를 사용해 입체영상을 얻는다. 이것은 카메라 배치 방식과 주시점 제어 방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2] 모노 카메라와 다르게 두 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입체영상 정보를 얻게 되고, 그 결과 도로의 높낮이, 물체의 크기, 주변 상황 등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그래서 모노 카메라에서는 구현할 수 없던 바디 컨트롤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바디 컨트롤 기능은 노면 상태, 바람의 방향 등을 고려하여 차체의 전고나 수평을 조절하여 탑승객은 마치 도로가 평평한 것처럼 느끼게 만들어주는 기능이다.[1] 스테레오 카메라는 삼걱법을 기반으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로서 영상과 거리 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모노 카메라보다 하드웨어 가격 및 알고리즘 복잡도가 높다는 단점을 갖지만, 하드웨어 가격의 하락, 프로세서 성능의 향상, 효율적인 알고리즘의 개발로 인해 장점이 부각되고 있다.[3]

전방카메라를 사용해 구현한 기능

  • 차로 이탈 억제: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한 차로 이탈을 감지하는 즉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해 자동차를 차선 안으로 넣어주는 기능이다.
  • 하이빔 보조: 다기능 전방 카메라를 사용해 구현되는 기능으로, 카메라에 불빛이 감지되면 하이빔을 일시적으로 로우빔으로 바꾸어 준다.
  • 전방 추돌 방지: 전방의 차량과 충돌이 예상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거나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충돌을 회피하는 기능이다.
  •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다기능 전방 카메라와 전방 레이더를 통해 앞 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주행을 하게 해주는 기능이다.
  • 나이트 뷰 어시스트: 야간 주행 시 전방의 상황을 선명한 카메라를 통해 보여주는 기능으로 적외선 분석 기능이 포함된 다기능 전방 카메라를 사용하여 작동한다.[4][1]

현황

각주

  1. 1.0 1.1 1.2 MCARFE, 〈자동차의 '눈' 카메라에 대한 모든 것〉, 《네이버 블로그》, 2018-05-17
  2. 3D 스테레오 카메라〉, 《네이버 지식백과》
  3. 채영석 기자, 〈자동차용 스테레오 비전 개발동향〉, 《글로벌오토뉴스》, 2014-11-04
  4. 금호타이어, 〈운전자의 또 다른 눈, 차량용 카메라 이야기!〉, 《금호타이어 블로그》, 2018-07-04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전방카메라 문서는 자동차 부품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