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후방주차 충돌방지 보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개요)
3번째 줄: 3번째 줄:
  
 
== 개요 ==
 
== 개요 ==
후방주차 충돌방지는 주차 및 저속 주행 중 후방 보행자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고하고 차량의 제동을 제어하는 주차 안전 시스템이다. 후방주차 충돌방지는 [[후방카메라]] 또는 후방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 주변 장애물과의 상대위치 또는 상대속도를 인식하고, 주변 장애물과의 충돌이 예상될 경우, 운전자에게 시각, 청각 경고를 하고,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제동을 도와준다. 패키지 구성, 네이밍, 일부 사양을 지역별로 달라질 수 있다.<ref> 대전출장세차 대성카워시, 〈[https://blog.naver.com/dscarwash/221893035463 후방 주차 충돌방지 보조]〉, 《네이버 블로그》, 2020-04-16 </ref> 주차 보조 센서에 이물질이 묻으면 오작동을 생길 수 있으니, 항상 센서 주변은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또한, 센서는 장애물 위치, 형상, 재질에 따라 감지하지 못할 수 있으니, 항상 유의해서 운전해야 한다.<ref> 영현대, 〈[https://young.hyundai.com/magazine/motors/detail.do?seq=18054 후방 주의! 자동차 주차 보조 옵션의 진화]〉, 《현대자동차》, 2020-04-24 </ref>
+
후방주차 충돌방지는 주차 및 저속 주행 중 후방 보행자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고하고 차량의 제동을 제어하는 주차 안전 시스템이다. 후방주차 충돌방지는 [[후방카메라]] 또는 후방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 주변 장애물과의 상대 위치 또는 상대속도를 인식하고, 주변 장애물과의 충돌이 예상될 경우, 운전자에게 시각, 청각 경고를 하고,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제동을 도와준다. 패키지 구성, 네이밍, 일부 사양을 지역별로 달라질 수 있다.<ref> 대전출장세차 대성카워시, 〈[https://blog.naver.com/dscarwash/221893035463 후방 주차 충돌방지 보조]〉, 《네이버 블로그》, 2020-04-16 </ref> 주차 보조 센서에 이물질이 묻으면 오작동을 생길 수 있으니, 항상 센서 주변은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또한, 센서는 장애물 위치, 형상, 재질에 따라 감지하지 못할 수 있으니, 항상 유의해서 운전해야 한다.<ref> 영현대, 〈[https://young.hyundai.com/magazine/motors/detail.do?seq=18054 후방 주의! 자동차 주차 보조 옵션의 진화]〉, 《현대자동차》, 2020-04-24 </ref>
  
 
== 시스템 설정 ==
 
== 시스템 설정 ==

2021년 11월 5일 (금) 10:27 판

후방주차 충돌방지(PCA)

후방주차 충돌방지(Parking Collision-Avoidance Assist, PCA)는 차량이 후진 중일 때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제동으로 후방 물체와 충돌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장치를 말한다.

개요

후방주차 충돌방지는 주차 및 저속 주행 중 후방 보행자 또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고하고 차량의 제동을 제어하는 주차 안전 시스템이다. 후방주차 충돌방지는 후방카메라 또는 후방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 주변 장애물과의 상대 위치 또는 상대속도를 인식하고, 주변 장애물과의 충돌이 예상될 경우, 운전자에게 시각, 청각 경고를 하고,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제동을 도와준다. 패키지 구성, 네이밍, 일부 사양을 지역별로 달라질 수 있다.[1] 주차 보조 센서에 이물질이 묻으면 오작동을 생길 수 있으니, 항상 센서 주변은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또한, 센서는 장애물 위치, 형상, 재질에 따라 감지하지 못할 수 있으니, 항상 유의해서 운전해야 한다.[2]

시스템 설정

주차 안전

시동 『ON』상태에서 설정 메뉴의 『운전자 보조 → 주차 안전』에서 세부 설정을 통해 각 기능의 사양 여부를 선택하실 수 있다.

  • '충돌방지 보조'를 선택하면 시스템이 작동 준비 상태가 된다. 보행자나 물체와 충돌 위험이 높은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제동을 도와준다.
  • '충돌 경고'를 선택하면 보행자나 물체와 충돌 위험이 높은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지만 제동을 도와주지 않으므로 운전자가 직접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해야 한다.
  • '끄기'를 선택하면 시스템은 해제된다.

경고 시점

시동 『ON』상태에서 설정 메뉴의 『운전자 보조 → 경고 시점』을 선택하면 전방 충돌방지 보조 시스템의 경고시점을 변결할 수 있다. 최초 출고시 '보통'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경고 시점 설정을 변경하면 다른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경고 시점도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경고 시점에 대해 충분히 확인한 후에 변경해야 한다.

경고 음량

시동 『ON』상태에서 설정 메뉴의 『운전자 보조 → 경고 음량』을 선택하면 후측방 안전 시스템의 경고 음량을 '크게', '중간', '작게' 및 '끄기'로 변경할 수 있다. 단 '끄기'를 선택하더라도 스티어링 휠 진동은 꺼지지 않고 작동된다. 경고 음량 설정을 변경하면 다른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경고 음량도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경고 음량에 대해 충분히 확인한 후에 변경해야 한다.[3]

시스템 작동

작동 조건

계기판 또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서 '충돌방지 보조' 또는 '충돌 경고'로 설정하고 아래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후방주차 충돌방지는 작동 상태가 된다.

  • 트렁크가 단힌 경우
  • 『R』(후진)단으로 변속하는 경우
  • 차량의 속도가 10km/h 이하인 경우
  • 후방 카메라, 후방 초음파 센서와 같은 시스템 구성요소가 정상 상태인 경우

충돌 경고

  • 차량 후방의 보행자나 물체와 충돌 위험을 감지할 경우 경고음이 울리고 계기판에 경고를 표시한다. 후방 모니터 시스템이 작동 중이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화면에도 경고가 표시된다.
  • '충돌 경고'가 선택된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가 작동하지 않는다.
  • 『P』(주차)단, 『N』(중립)단 또는 『D』(주행)단으로 변속한 경우 경고가 해제된다.

충돌방지 보조

  • 차량 후방의 보행자나 물체와 충돌 위험을 감지할 경우 경고음이 울리고 계기판에 경고를 표시한다. 후방 모니터 시스템이 작동 중이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화면에도 경고가 표시된다.
  • 차량 후방의 보행자 또는 물체와의 충돌이 임박한 경우, 후방주차 충돌방지는 브레이크 제어를 한다. 약 2초 이내에 브레이크 제어가 해제되므로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 『P』(주차)단 또는 『D』(주행)단으로 변속한 경우 또는 운전자가 충분한 힘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경우 브레이크 제어가 해제된다.
  • 『P』(주차)단, 『N』(중립)단 또는 『D』(주행)단으로 변속한 경우 경고가 해제된다.
  • 차체자세 제어(ESC) 장치 상태에 따라 브레이크 제어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차체자세 제어 장치 경고등이 켜진 경우 또는 차체자세 제어 장치가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충돌 경고만 작동한다.[3]

각주

  1. 대전출장세차 대성카워시, 〈후방 주차 충돌방지 보조〉, 《네이버 블로그》, 2020-04-16
  2. 영현대, 〈후방 주의! 자동차 주차 보조 옵션의 진화〉, 《현대자동차》, 2020-04-24
  3. 3.0 3.1 그랑이, 〈아반떼 CN/7 전방/후방 주차 거리 경고(PDW) 및 후방 주차 충돌방지 보조(PCA)〉, 《네이버 블로그》, 2020-12-19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후방주차 충돌방지 보조 문서는 자동차 부품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