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에어컨

해시넷
martinyj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7월 5일 (월) 11:10 판 (새 문서: '''에어컨'''<!--에어컨-->(Airconditioner)은 실내온도, 습도, 기류 등의 분포를 조절하고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해주는 장치이다. 공조기라고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에어컨(Airconditioner)은 실내온도, 습도, 기류 등의 분포를 조절하고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해주는 장치이다. 공조기라고도 한다.

개요

원리

에어컨의 기본적인 원리는 한마디로 기화열에 의한 냉각이다.

액체가 기체로 기화할 때는 열을 흡수하고 기체가 액체로 응축할 때는 열을 방출한다. 기화할 때 흡수하는 열이 기화열이다. 에어컨은 압축기로 압력을 크게 변화시켜 기체 상태였던 냉각제를 액체로 응축한 후 압력을 낮춰서 증발기 안에서 액체 상태의 냉각제가 다시 증기로 기화할 때 열을 빼앗아 주위의 온도를 낮춘다. 에어컨과 냉장고에 의한 냉각은 많은 기화열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간단한 냉각 사이클을 통해 이루어진다. 열은 원래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이동하지만 에어컨의 냉각 사이클을 통해서 반대 방향인 낮은 온도의 실내에서 높은 온도의 실외로 옮겨간다. 실내기에서는 찬 바람이 나오고 실외기에서는 더운 바람이 나온다. 냉장고도 마찬가지로 열이 낮은 온도의 기기 안에서 높은 온도의 기기 밖으로 옮겨간다.

구체적인 냉각 과정은 냉각제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거치며 이루어진다.

1. 압축기 - 실외기 속에 있다. 기체 상태의 냉각제는 먼저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가 된다. 대부분의 냉각 시스템은 압축기를 작동하기 위해 전기 모터를 사용한다.

2. 응축기 - 실외기 속에 있다. 압축기를 나온 고온, 고압의 기체는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와 만나 식으면서 액체가 된다. 이 때 열을 방출하므로 실외기에서는 더운 공기가 토출된다.

3. 팽창밸브 - 실내기나 실외기 어느 한 곳에 있다. 좁은 곳을 통과할 때 유체의 속도가 커지고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을 이용해 모세관을 통과시켜 고압 상태인 액체의 압력을 낮춘다. 압력을 낮추어야 액체가 증발기에서 잘 증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증발기 - 실내기에 있다. 팽창밸브를 나온 액체 상태의 냉각제는 온도와 압력이 낮다. 이러한 액체는 주위의 더운 공기에서 열을 흡수해 기체 상태로 증발한다. 주위의 공기는 차가워 지고 팬이 돌면서 이 공기를 실내로 내보낸다. 완전히 증발된 기체는 다시 압축기로 들어가 냉각 시스템의 순환이 계속된다.

종류

에어컨 스플릿 시스템
창문형 에어컨
바닥상치형 에어컨
지열에어컨

□ 중앙식 공조기(Central Air Conditioner)

중앙식 공조기는 중앙 기계실에서 냉각된 공기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팬과 덕트로 각 방과 순환하는 시스템이다. 스플릿 방식과 패키지 방식으로 나뉜다.

  • 스플릿 시스템은 실외기와 실내기를 덕트 또는 파이프로 연결한 구조이며 실외기에 콘덴서(Condenser)와 콤프레샤(Compressor)를 장착하고 실내기에 증발기(Evaporator)를 장착하였다. 다수의 중앙식 공조기는 실내기에 컨트롤러(Air Handler)와 가열 히트(Furnace)도 장착하고 있다.
  • 패키지 시스템은 증발기, 콘덴서 및 콤프레샤가 하나의 케이스에 들어가 있는 구조 형식을 가리키며 통상적으로 지붕이나 기초면의 콩크리트 바닥에 설치한다. 급기배기관도는 집벽을 뚫고 실외의 패키지 시스템 에어컨에 연결된다. 패키지 에어컨에는 통상적으로 가열 히트 또는 천연가스 가열가 들어간다.[1]

□ 무덕트 미니 스플릿(Ductless Mini-Split)

미니 스플릿 시스템은 건물중의 방 하나 또는 몇 개의 방에 분체 방식으로 덕트 없이 냉난방을 해주는 장치이다. 멀티 스플릿 시스템은 하나의 아웃도어 유니트를 공동으로 사용하면서 독립적으로 냉난방을 해주는 장치이며 8개 방에 실내 유니트를 둘 수 있다. 아웃도어 유니트에는 콘덴서와 콤프레샤가 들어 있고 인도어 유니트에는 증발기가 들어있다. 아웃도어 유니트와 인도어 유니트는 3 인치 직경의 벽구멍으로 도관을 통해 연결되며 그 안에는 전력/통신 케이블, 급기관, 배기관이 들어 있다.

첫 번째 미니 스플릿 시스템은 일본의 미쯔비시와 도시바가 1954년부터 1968년 사이에 판매를 하였으며 개발의 취지는 그 당시 소규모 주택 개발에 따라 발생하는 소요를 만족시키자는데 있었다. 멀티 스플릿 시스템은 1973년에 일본 다이킨공업에서 개발되었으며 VRF(variable refrigerant flow systems)도 역시 이 회사에서 1982년에 개발되었다.

□ 창문형 에어컨(Window Air Conditioner)

창문형 에어컨은 실외기와 실내기가 한 케이스에 들어 있는 에어컨을 가리킨다. 통상적으로 외벽에 구멍을 뚫고 설치한다. 내구성이 좋고 원가가 낮으며 유지관리가 편한 장점이 있는 외 냉각 능력에 한계가 있고 소음의 영향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 이동식 에어컨(Portable Air Conditioner)

이동식 에어컨은 실외기와 실내기를 한 케이스에 넣고 밑에 휠을 단 에어컨을 가리킨다. 더운 공기는 실외로 나가는 배기호스로 배출된다. 실외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환경(고시원, 원룸)에서 열풍을 배출할 수 있는 조건만 구비되면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냉방효율이 떨어지고 소음의 영향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기타는 창문형 에어컨과 유사하다.

□ 바닥상치형 에어컨(Floor Mounted AC)

바닥상치형 에어컨은 층고가 높고 창문이 많은 도서관이나 사무실을 대상으로 벽의 하단에 설치하여 바닥에 놓게 개발된 에어컨이다.

□ 하이브리드/ 듀얼 퓨얼 에어컨(Hybrid / Dual Fuel Air Conditioner)

하이브리드/ 듀얼 퓨어 에어컨은 히트 펌프와 가스가열로를 결합한 에어컨으로 여름 계절과 겨울 계절에 사용한다. 첫 번째 동력원은 전기이며 가스는 두 번째 동력원이다.

추운 겨울에 히트펌프가 실내 난방을 추진할 때 열 교환에 참여하는 주변 공기의 온도가 낮은 연유로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해야 하고 심지어는 소비자의 소요대로 열 공급을 제대로 하기 어려운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듀얼 퓨얼 타입이 개발되었으며 일반 기후 조건에서 전력으로 구동하고 추운 날씨에 부딪히면 가스가열로를 작동시킨다. 단순 히트펌프 대비 연비 절감과 난방 효과가 뚜렸하다.

□ 스마트 에어컨(Smart Air Conditioner)

스마트 에어컨은 모바일 기기로 앱을 통해 에어컨의 제어를 추진할 수 있는 에어컨이다. 모바일 기기에는 휴대폰, 태블릿 및 기타 모바일 장치를 포함한다. 일부 스마트 에어컨은 홈어시스턴트(home assistants)와 연결되어 음성 제어도 가능하다. 편리하고 지능형 주택 연결이 가능하며 장기적으로 볼 때 원가가 낮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고 중앙공조식이 안 되며 설치가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다.

□ 지열 에어컨(Geothermal Air Conditioner)

지열 에어컨은 주택 밑 또는 근처의 지중매설관도를 이용하여 냉난방을 실현하는 에어컨이다. 지중매설관도와 히트펌르로 구성된다. 냉방을 추진할 때 히트 펌프는 실내 공기중의 열을 지중매설관도의 유체에 전도하여 지중에 발산시키고 난방을 추진할 때 지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열을 방출한다.

전통적인 중앙공조기와 효율을 비교할 때 히트 펌프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더 더운 외부 공기환경에 배출하기 보다 온도가 낮은 지중에 배출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어서 전력 요금을 20%~50% 줄일 수 있다. 기존의 전통 에어콘중에서 가장 좋은 에너지 성능 계수(EER, Energy Efficiency Ratio)가 9~15일 때 지열 에어콘의 에너지 성능 계수는 15~25 수준에 있다. 원가적인 측면에서 선행투자는 지열 에어컨이 높으나 운영 원가는 지열 에어컨이 낮으며 종합적으로 비교할 때 지열 에어컨의 원가가 낮다. 미국 정부에서는 전통적인 HVAC 소유자들에게 지열 에어컨 시스템으로 교체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편리성 면에서 지열 에어컨은 구성품이 간단하고 추가 시설이 필요없는 관계로 최저한도로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분되고 정기 유지관리가 필요한 HVAC 시스템 대비 유지관리가 간편하며 전통 HVAC 시스템의 수명이 12년~15년 정도인데 대비해 지열 에어컨은 히트펌프의 수명이 20년을 초과하고 지중매설관도의 수명이 50년을 초과한다. 이외 지열 에어컨은 구조적인 이유로 소음이 전통 에어컨도 적다.[2]

주요 제조사

  • 한국 - LG, 삼성, 오택캐리어, 위니아딤채
  • 일본 - 미츠비시 전기, 히타치빌딩시스템, 토시바 캐리어, 다이킨공업, 후쿠시마공업, 다이와냉기공업, 파나소닉, 오리온기계
  • 중국 -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스(Gree Electric Appliances, 珠海格力电器), 미데아그룹(Midea Group, 美的集团), 하이얼그룹(Haier Group, 海尔集团), 하이센스 켈론 일렉트릭(Hisense Kelon Electrical, 海信家电), 닝버옥스그룹(AUX Group, 奥克斯集团), 치고에어컨디셔닝(Guangdong CHIGO Air conditioning, 广东志高空调)
  • 미국 - 아메리칸 스탠다드 에어컨(American Standard Air Conditioners), 캐리어 에어컨디셔너스(Carrier Air Conditioners), 굿맨 센트럴 에어컨디셔너스(Goodman Central Air Conditioners), 트레인 센트럴 AC 유니츠(Trane Central AC Units), 렘 에어컨디션스(Rheem Air Conditioners), 레녹스 HVAC 유니츠(Lennox HVAC Units), 요크 AC 유니츠(York AC Units), 루드 센트럴 에어컨디셔너(Ruud Central Air Conditioner), 월풀 코퍼레이션(Whirlpool Corporation)
  • 유럽 - 보쉬 셜모태크닉 게엠베하(Bosch Thermotechnik GmbH), CIAT 에어컨디셔너스(CIAT Air Conditioners), 댄포스 A/S(Danfoss A/S), 일렉트로룩스 AB(Electrolux AB), 페롤리 리밋티드(Ferroli Limited), 인가솔 랜드 유로피언(Ingersoll-Rand European)
  • 기타 지역 - 블루스타 에어 컨디셔닝(blue star air conditioning) 인도, 볼타스 리밋티드(Voltas Limited) 인도

발전 추세

각주

  1. "Central Air Conditioning", Department of Energy
  2. Dandelion Energy, "Geothermal Cooling - Everything You Need To Know", DANDELION, 2020-02-24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에어컨 문서는 자동차 부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