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NCM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NCMA'''는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NCMA)을 사용한 4원계 '''리튬 하이니켈 배터리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개발을 주도하고...)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NCMA'''는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NCMA)을 사용한 4원계 '''[[리튬 하이니켈 배터리]]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당초 예상보다 1년 앞 당겨 2021년 2분기에 출시한다. 새로 개발한 배터리 셀은 니켈과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산 리튬 양극 배터리로 코발트 비율을 5% 이하로 억제하고 니켈의 비율을 90%로 높였으며 알루미늄을 추가해 안성정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 NCMA배터리셀은 [[테슬라]]와 [[GM]]에게 공급한다. 테슬라용으로는 [[엘엔에프]](L&F)로부터 GM용으로는 [[포스코화학]]으로부터 양극재를 조달한다. 이를 바탕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다른 업체에게도 '''[[NCM]]'''에서 NCMA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NCMA는 [[LG화학]]과 GM의 합작사 얼티움 셀즈(Ultium Cells)도 올 해 생산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ref>채영석 기자,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10&wr_id=4117 LG에너지솔루션, NCMA 양극 배터리셀 양산 앞당긴다]〉, 《글로벌오토뉴스》, 2021-01-11</ref>  
+
'''NCMA'''는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NCMA)을 사용한 4원계 '''[[리튬 하이니켈 배터리]]'''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당초 예상보다 1년 앞 당겨 2021년 2분기에 출시한다. 새로 개발한 배터리 셀은 니켈과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산 리튬 양극 배터리로 코발트 비율을 5% 이하로 억제하고 니켈의 비율을 90%로 높였으며 알루미늄을 추가해 안성정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 NCMA배터리셀은 [[테슬라]]와 [[GM]]에게 공급한다. 테슬라용으로는 [[엘엔에프]](L&F)로부터 GM용으로는 [[포스코화학]]으로부터 양극재를 조달한다. 이를 바탕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다른 업체에게도 '''[[NCM]]'''에서 NCMA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NCMA는 [[LG화학]]과 GM의 합작사 얼티움 셀즈(Ultium Cells)도 올 해 생산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ref>채영석 기자,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10&wr_id=4117 LG에너지솔루션, NCMA 양극 배터리셀 양산 앞당긴다]〉, 《글로벌오토뉴스》, 2021-01-11</ref>  
  
  

2021년 5월 14일 (금) 10:24 판

NCMA는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NCMA)을 사용한 4원계 리튬 하이니켈 배터리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당초 예상보다 1년 앞 당겨 2021년 2분기에 출시한다. 새로 개발한 배터리 셀은 니켈과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산 리튬 양극 배터리로 코발트 비율을 5% 이하로 억제하고 니켈의 비율을 90%로 높였으며 알루미늄을 추가해 안성정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 NCMA배터리셀은 테슬라GM에게 공급한다. 테슬라용으로는 엘엔에프(L&F)로부터 GM용으로는 포스코화학으로부터 양극재를 조달한다. 이를 바탕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다른 업체에게도 NCM에서 NCMA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NCMA는 LG화학과 GM의 합작사 얼티움 셀즈(Ultium Cells)도 올 해 생산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1]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NCMA 문서는 배터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1. 채영석 기자, 〈LG에너지솔루션, NCMA 양극 배터리셀 양산 앞당긴다〉, 《글로벌오토뉴스》, 2021-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