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천연자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천연자원'''(Natural Resources, 天然資源)은 천연적으로 존재하여 인간 생활이나 생산 활동에 이용할 수 있는 물자나 에너지를 총칭하는...)
 
3번째 줄: 3번째 줄:
 
==특징==
 
==특징==
 
천연자원은 천연에 존재하는 물리적 물자로 채취하여 가공함으로써 생활물자나 공업생산의 원료가 되는 것으로, 토지, 광물, 물, 수상생물, 나무 등을 들 수 있다. 천연자원은 지구상에 불균등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국제정치는 그것을 소유하는 것의 의미나 소유의 방향이 문제가 되었다. 국가의 영향력이나 능력의 분석에 있어서 천연자원을 국력의 한 요소로서 보는 견해도 존재한다. 실제 천연자원의 획득을 둘러싼 전쟁이 국가간의 분쟁의 원인이 된 예도 많다. 또한 개발도상국은 자국 자원을 자유롭게 개발, 관리, 이용할 권리를 주장하고 국제연합에 있어서 천연자원에 대한 항구조건을 소구한 결과 1966년 국제인권규약의 규정과 1974년의 신국제경제질서의 결의에 삽입하는데 성공하였지만, 선진국과의 사이에 외국인 소유의 국산화를 둘러싸고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열대 우림이나 해양자원의 보호 등의 천연자원을 글로벌 커먼즈로 받아들이는 견해도 나타났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29693&cid=42140&categoryId=42140 천연자원]〉, 《네이버 지식백과》</ref>  
 
천연자원은 천연에 존재하는 물리적 물자로 채취하여 가공함으로써 생활물자나 공업생산의 원료가 되는 것으로, 토지, 광물, 물, 수상생물, 나무 등을 들 수 있다. 천연자원은 지구상에 불균등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국제정치는 그것을 소유하는 것의 의미나 소유의 방향이 문제가 되었다. 국가의 영향력이나 능력의 분석에 있어서 천연자원을 국력의 한 요소로서 보는 견해도 존재한다. 실제 천연자원의 획득을 둘러싼 전쟁이 국가간의 분쟁의 원인이 된 예도 많다. 또한 개발도상국은 자국 자원을 자유롭게 개발, 관리, 이용할 권리를 주장하고 국제연합에 있어서 천연자원에 대한 항구조건을 소구한 결과 1966년 국제인권규약의 규정과 1974년의 신국제경제질서의 결의에 삽입하는데 성공하였지만, 선진국과의 사이에 외국인 소유의 국산화를 둘러싸고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열대 우림이나 해양자원의 보호 등의 천연자원을 글로벌 커먼즈로 받아들이는 견해도 나타났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29693&cid=42140&categoryId=42140 천연자원]〉, 《네이버 지식백과》</ref>  
 +
 +
==종류==
 +
===광물 자원===
 +
주요 광물 자원은 금속, 비금속, 사광상, 화석 연료, 핵연료, 건축용 석재 및 골재 자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선캄브리아대 광상으로는 충남 서산에 분포하는 전형적인 선캄브리아 시대 호상철 광상과 고남산-소연평도-볼음도에 나타나는 함티탄-철광상이 있다. 한편, 봉화-울진-상동 등지의 중석-주석-금광상과 하동-산청 등지의 티탄철석 광상도 영남육괴의 선캄브리아대 광상에 해당한다. 충주-중원 지역의 철광상은 옥천누층군의 계명산 층을 중심으로 부존되어 있으며, 희토류 원소가 다량 수반되고 있다. 우라늄 광상은 옥천누층군의 흑색탄질 점판암-편암을 중심으로 부존되어 있으며, 충주-괴산-보은-대전-금산 등지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화석 연료 자원인 무연탄은 고생대 말기 평안누층군과 중생대 중기 대동누층군에 함유되어 나타난다. 고생대 무연탄 산출지는 삼척, 강릉, 정선, 평창, 영월, 단양, 문경, 보은, 보성 등지이며, 중생대 무연탄 산출지는 보령, 부여, 김포, 연천 등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광물 자원인 금, 은 광상은 대부분 중생대 화강암체 내와 주변 선캄브리아대 변성암류 중에 발달한 약선대를 따라 열수용액이 유입되어 형성된 금, 은 광맥형 광상으로 쥐라기에서 백악기에 걸쳐 형성되었으며 대표적으로 무극, 부평, 임천, 월유, 전주일, 통영, 거창 광산이다. 국내 중요한 광물 자원인 중석-몰리브덴 광상 또한 쥐라기에서 백악기에 걸쳐 형성되었으며, 주로 중생대 화강암류와 인접하여 산출된다. 국내 동, 연, 아연 광상도백악기 화성 활동과 연관된 열수 작용으로 형성되었으며, 동광화 작용에 비하여 연, 아연 광화 작용이 우세한 특징을 보인다. 백악기 철광상은 주로 경상 분지 내에 분포한다. 활석 광상은 주로 규질 열수용액에 의한 교대 작용의 산물이며, 홍성-유구지역의 초염기성암 기원의 평안, 청당 광산과 백운암 기원의 동양, 풍전, 충주제일 광산이 있다. 고령토-납석 광상은 주로 경남 밀양-양산-창원-통영 일대와 전남 진도-완도-해남-영암 일대에 분포하며, 응회암, 규장암, 안산암이 열수변질 작용을 받은 2차 산물로 보인다. 한반도 남부의 신생대 광상으로 삼척의 원동, 창녕의 동점, 월성의 금령광산이 있다. 광상 유형은 스카른 광상과 반암형 광상으로 다양한 금속종이 산출된다. 불석, 벤토나이트 및 산성백토 광상은 제3기 지층의 분포지인 포항, 감포 및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응회암 층준을 따라 산출된다. 한반도의 북부 지역에서는 남부 지역에 비해 다양한 광물종과 함께 풍부한 매장량이 보고되어 있다. 주요 광물 자원으로 마그네사이트, 석회석, 무연탄, 인상흑연, 철, 금, 아연 등이다. 시생대 호상철광상으로는 함경북도 무산 광산과 회룡의 오룡 광산이 있고, 원생대 광상으로는 마천령육괴에 분포하는 함경남도 단천의 검덕 아연 광산, 룡양 및 대흥 마그네사이트 광산, 양강도의 혜산 청년 및 갑산 동광산 등이 있다. 평안남도에는 고생대 퇴적암에 함유된 무연탄이 많이 나타나며 직동탄광이 대표적인 석탄 광상이다. 함경북도와 함경남도에도 다수의 석탄광이 개발되고 있다. 중생대 화성 활동과 관련된 광상은 주로 스카른 광상과 광맥형 광상으로 산출되며, 금을 비롯한 다양한 광물종이 수반된다. 대표적인 금광상으로는 평안북도 운산, 대 유동, 선천 광산, 황해북도의 홀동, 수안, 락연 광산이 있다. 우라늄 광상은 평안남도 순천과 황해북도 평산에서 주로 개발되었으며, 함경북도 무산과 평안북도 평원에서 우라늄 부존 양상이 보고되었다. 중석 광상은 매장량이 풍부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부존 지역은 황해북도의 만년 광산, 평안남도 대흥, 함경남도 장진, 강원도 법동, 고성 지역이다.
 +
 +
* '''사광상 광물자원''' : 사금, 모나자이트, 저어콘, 티탄철석, 자철석, 석류석 등이고, 화석 및 핵연료 자원으로 무연탄과 갈탄 및 우라늄 광물이 산출된다.
 +
* '''석골재 광물자원''' : 화강암, 대리암, 셰일, 사암 및 골재가 있다.<ref>대한민국 국가지도집 공식 홈페이지 - http://nationalatlas.ngii.go.kr/pages/page_113.php</ref>
 +
 +
* '''금속 광물자원''' : 금속 광물은 금속 원소가 주성분이거나 금속이 함유되어 있는 광물이며 대응되는 개념은 비금속광물이다. 금속 광물 자원은 금, 은, 동, 납, 아연, 철, 망간, 중석, 휘수연석, 주석, 창연, 휘안석 및 희토류 등이 있으며 망간, 철, 동, 아연 등 중금속원소를 주성분으로 하고, 금속, 아금속, 금강광택을 가진 광물을 금속광물이라고 한다. 대부분 불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계통분류상으로는 원소광물, 황화광물, 산화광물 등에 속한다. 금속광물을 생성 원인으로 분류하면 초생광물과 이차 강물로 나눌 수 있다. 마그마 활동으로 인해 생성되거나 고온 또는 저온 유체에서 생긴 침전물 교대작용에 의한 생성물 등은 초생광물에 속하며 초생광물이 풍화 및 열수변질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것은 이차 광물에 속한다. 금속광물은 조광, 선광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품위를 높이는 정광, 제련 등의 과정이 추가로 요구된다.<ref>사이언스올, 〈[https://www.scienceall.com/%EA%B8%88%EC%86%8D-%EA%B4%91%EB%AC%BCmetallic-mineral-%EF%A4%8A%E5%B1%AC%E9%91%9B%E7%89%A9/ 금속 광물(metallic mineral, 金屬鑛物)]〉, 《사이언스올》, 2015-12-01</ref>
 +
 +
* '''비금속 광물자원''' : 금속광물이 아닌 광물로서 [[석탄]], 석회석, 백운석, 규석, 규사, 장석, 사문석, 고령토, 흑연, 활석, 납석, 규조토, 석면, 형석, 운모, 견운모 및 홍주석 등이 있다.  비금속광업은 비금속광물을 탐광 및 채광하고 선광해서 순도를 향상시켜 제품을 공급하는 산업이다. 금속광물은 광석을 가공하기 위해 제련공정을 필요로 하지만 기타 비금속광물은 거의 제련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ref>한국광물자원공사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kores.or.kr/hmine/mc/mc04/bbs/bbsView.do?bbs_seq_n=143&bbs_cd_n=68&currentPage=1&search_key_n=&search_val_v=&cate_n=&dept_v=</ref> 일반적으로, 비금속 광물자원을 [[원료]]로 하는 공업에서는 원료 소비량이 많으므로 원료 자원의 확보, 그 채굴 방법 및 선별법 등이 큰 문제가 된다. 특히 규석, 도석, 활석, 석고 및 장석 등은 점차 품질의 저하와 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저품위밖에 없으므로, 원료의 정제에 최신의 선광 기술을 적용시켜 품질의 향상과 품질의 균일화, 그리고 원료 공급의 안정화를 기하고 있다. 비금속 광물자원은 비교적 소량의 불순물을 제거할 때가 많고 선별 방법으로 단순히 분립, 분급만으로 목적을 달성할 때가 많다. 더불어 단위 무게당 가격이 비교적 싸기 때문에 선별비가 저렴하며 동일한 광석이라도 이용면에 따라 제품의 품질 요건도 크게 달라진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850154&cid=65922&categoryId=65922 비금속 광물]〉, 《네이버 지식백과》</ref>   
 +
 +
===수자원===
 +
===산림자원===
 +
===동물자원===
 +
===토지자원===
 +
===관광자원===
  
 
{{각주}}
 
{{각주}}
8번째 줄: 25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29693&cid=42140&categoryId=42140 천연자원]〉,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29693&cid=42140&categoryId=42140 천연자원]〉, 《네이버 지식백과》
 +
*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공식 홈페이지 - http://nationalatlas.ngii.go.kr/pages/page_113.php
 +
* 사이언스올, 〈[https://www.scienceall.com/%EA%B8%88%EC%86%8D-%EA%B4%91%EB%AC%BCmetallic-mineral-%EF%A4%8A%E5%B1%AC%E9%91%9B%E7%89%A9/ 금속 광물(metallic mineral, 金屬鑛物)]〉, 《사이언스올》, 2015-12-01
 +
* 한국광물자원공사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kores.or.kr/hmine/mc/mc04/bbs/bbsView.do?bbs_seq_n=143&bbs_cd_n=68&currentPage=1&search_key_n=&search_val_v=&cate_n=&dept_v=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850154&cid=65922&categoryId=65922 비금속 광물]〉, 《네이버 지식백과》
  
 
==같이 보기==
 
==같이 보기==

2021년 5월 28일 (금) 11:34 판

천연자원(Natural Resources, 天然資源)은 천연적으로 존재하여 인간 생활이나 생산 활동에 이용할 수 있는 물자나 에너지를 총칭하는 말이다.

특징

천연자원은 천연에 존재하는 물리적 물자로 채취하여 가공함으로써 생활물자나 공업생산의 원료가 되는 것으로, 토지, 광물, 물, 수상생물, 나무 등을 들 수 있다. 천연자원은 지구상에 불균등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국제정치는 그것을 소유하는 것의 의미나 소유의 방향이 문제가 되었다. 국가의 영향력이나 능력의 분석에 있어서 천연자원을 국력의 한 요소로서 보는 견해도 존재한다. 실제 천연자원의 획득을 둘러싼 전쟁이 국가간의 분쟁의 원인이 된 예도 많다. 또한 개발도상국은 자국 자원을 자유롭게 개발, 관리, 이용할 권리를 주장하고 국제연합에 있어서 천연자원에 대한 항구조건을 소구한 결과 1966년 국제인권규약의 규정과 1974년의 신국제경제질서의 결의에 삽입하는데 성공하였지만, 선진국과의 사이에 외국인 소유의 국산화를 둘러싸고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열대 우림이나 해양자원의 보호 등의 천연자원을 글로벌 커먼즈로 받아들이는 견해도 나타났다.[1]

종류

광물 자원

주요 광물 자원은 금속, 비금속, 사광상, 화석 연료, 핵연료, 건축용 석재 및 골재 자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선캄브리아대 광상으로는 충남 서산에 분포하는 전형적인 선캄브리아 시대 호상철 광상과 고남산-소연평도-볼음도에 나타나는 함티탄-철광상이 있다. 한편, 봉화-울진-상동 등지의 중석-주석-금광상과 하동-산청 등지의 티탄철석 광상도 영남육괴의 선캄브리아대 광상에 해당한다. 충주-중원 지역의 철광상은 옥천누층군의 계명산 층을 중심으로 부존되어 있으며, 희토류 원소가 다량 수반되고 있다. 우라늄 광상은 옥천누층군의 흑색탄질 점판암-편암을 중심으로 부존되어 있으며, 충주-괴산-보은-대전-금산 등지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화석 연료 자원인 무연탄은 고생대 말기 평안누층군과 중생대 중기 대동누층군에 함유되어 나타난다. 고생대 무연탄 산출지는 삼척, 강릉, 정선, 평창, 영월, 단양, 문경, 보은, 보성 등지이며, 중생대 무연탄 산출지는 보령, 부여, 김포, 연천 등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광물 자원인 금, 은 광상은 대부분 중생대 화강암체 내와 주변 선캄브리아대 변성암류 중에 발달한 약선대를 따라 열수용액이 유입되어 형성된 금, 은 광맥형 광상으로 쥐라기에서 백악기에 걸쳐 형성되었으며 대표적으로 무극, 부평, 임천, 월유, 전주일, 통영, 거창 광산이다. 국내 중요한 광물 자원인 중석-몰리브덴 광상 또한 쥐라기에서 백악기에 걸쳐 형성되었으며, 주로 중생대 화강암류와 인접하여 산출된다. 국내 동, 연, 아연 광상도백악기 화성 활동과 연관된 열수 작용으로 형성되었으며, 동광화 작용에 비하여 연, 아연 광화 작용이 우세한 특징을 보인다. 백악기 철광상은 주로 경상 분지 내에 분포한다. 활석 광상은 주로 규질 열수용액에 의한 교대 작용의 산물이며, 홍성-유구지역의 초염기성암 기원의 평안, 청당 광산과 백운암 기원의 동양, 풍전, 충주제일 광산이 있다. 고령토-납석 광상은 주로 경남 밀양-양산-창원-통영 일대와 전남 진도-완도-해남-영암 일대에 분포하며, 응회암, 규장암, 안산암이 열수변질 작용을 받은 2차 산물로 보인다. 한반도 남부의 신생대 광상으로 삼척의 원동, 창녕의 동점, 월성의 금령광산이 있다. 광상 유형은 스카른 광상과 반암형 광상으로 다양한 금속종이 산출된다. 불석, 벤토나이트 및 산성백토 광상은 제3기 지층의 분포지인 포항, 감포 및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응회암 층준을 따라 산출된다. 한반도의 북부 지역에서는 남부 지역에 비해 다양한 광물종과 함께 풍부한 매장량이 보고되어 있다. 주요 광물 자원으로 마그네사이트, 석회석, 무연탄, 인상흑연, 철, 금, 아연 등이다. 시생대 호상철광상으로는 함경북도 무산 광산과 회룡의 오룡 광산이 있고, 원생대 광상으로는 마천령육괴에 분포하는 함경남도 단천의 검덕 아연 광산, 룡양 및 대흥 마그네사이트 광산, 양강도의 혜산 청년 및 갑산 동광산 등이 있다. 평안남도에는 고생대 퇴적암에 함유된 무연탄이 많이 나타나며 직동탄광이 대표적인 석탄 광상이다. 함경북도와 함경남도에도 다수의 석탄광이 개발되고 있다. 중생대 화성 활동과 관련된 광상은 주로 스카른 광상과 광맥형 광상으로 산출되며, 금을 비롯한 다양한 광물종이 수반된다. 대표적인 금광상으로는 평안북도 운산, 대 유동, 선천 광산, 황해북도의 홀동, 수안, 락연 광산이 있다. 우라늄 광상은 평안남도 순천과 황해북도 평산에서 주로 개발되었으며, 함경북도 무산과 평안북도 평원에서 우라늄 부존 양상이 보고되었다. 중석 광상은 매장량이 풍부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부존 지역은 황해북도의 만년 광산, 평안남도 대흥, 함경남도 장진, 강원도 법동, 고성 지역이다.

  • 사광상 광물자원 : 사금, 모나자이트, 저어콘, 티탄철석, 자철석, 석류석 등이고, 화석 및 핵연료 자원으로 무연탄과 갈탄 및 우라늄 광물이 산출된다.
  • 석골재 광물자원 : 화강암, 대리암, 셰일, 사암 및 골재가 있다.[2]
  • 금속 광물자원 : 금속 광물은 금속 원소가 주성분이거나 금속이 함유되어 있는 광물이며 대응되는 개념은 비금속광물이다. 금속 광물 자원은 금, 은, 동, 납, 아연, 철, 망간, 중석, 휘수연석, 주석, 창연, 휘안석 및 희토류 등이 있으며 망간, 철, 동, 아연 등 중금속원소를 주성분으로 하고, 금속, 아금속, 금강광택을 가진 광물을 금속광물이라고 한다. 대부분 불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계통분류상으로는 원소광물, 황화광물, 산화광물 등에 속한다. 금속광물을 생성 원인으로 분류하면 초생광물과 이차 강물로 나눌 수 있다. 마그마 활동으로 인해 생성되거나 고온 또는 저온 유체에서 생긴 침전물 교대작용에 의한 생성물 등은 초생광물에 속하며 초생광물이 풍화 및 열수변질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것은 이차 광물에 속한다. 금속광물은 조광, 선광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품위를 높이는 정광, 제련 등의 과정이 추가로 요구된다.[3]
  • 비금속 광물자원 : 금속광물이 아닌 광물로서 석탄, 석회석, 백운석, 규석, 규사, 장석, 사문석, 고령토, 흑연, 활석, 납석, 규조토, 석면, 형석, 운모, 견운모 및 홍주석 등이 있다. 비금속광업은 비금속광물을 탐광 및 채광하고 선광해서 순도를 향상시켜 제품을 공급하는 산업이다. 금속광물은 광석을 가공하기 위해 제련공정을 필요로 하지만 기타 비금속광물은 거의 제련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4] 일반적으로, 비금속 광물자원을 원료로 하는 공업에서는 원료 소비량이 많으므로 원료 자원의 확보, 그 채굴 방법 및 선별법 등이 큰 문제가 된다. 특히 규석, 도석, 활석, 석고 및 장석 등은 점차 품질의 저하와 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저품위밖에 없으므로, 원료의 정제에 최신의 선광 기술을 적용시켜 품질의 향상과 품질의 균일화, 그리고 원료 공급의 안정화를 기하고 있다. 비금속 광물자원은 비교적 소량의 불순물을 제거할 때가 많고 선별 방법으로 단순히 분립, 분급만으로 목적을 달성할 때가 많다. 더불어 단위 무게당 가격이 비교적 싸기 때문에 선별비가 저렴하며 동일한 광석이라도 이용면에 따라 제품의 품질 요건도 크게 달라진다.[5]

수자원

산림자원

동물자원

토지자원

관광자원

각주

  1. 천연자원〉, 《네이버 지식백과》
  2.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공식 홈페이지 - http://nationalatlas.ngii.go.kr/pages/page_113.php
  3. 사이언스올, 〈금속 광물(metallic mineral, 金屬鑛物)〉, 《사이언스올》, 2015-12-01
  4. 한국광물자원공사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kores.or.kr/hmine/mc/mc04/bbs/bbsView.do?bbs_seq_n=143&bbs_cd_n=68&currentPage=1&search_key_n=&search_val_v=&cate_n=&dept_v=
  5. 비금속 광물〉,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천연자원 문서는 에너지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