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물레방아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물레방아를 이용한 수소력발전

물레방아는 물의 힘으로 바퀴를 돌리는 기구인 수차(水車)의 일종이다.

물레방아는 냇가에 물길을 만들어 물이 떨어지는 힘을 이용하여 곡식을 찧는 방아이다.

물레방아는 큰나무바퀴와 굴대에 공이를 장치하여, 쏟아지는 물이 나무바퀴를 돌리면 굴대에 꿴 넓적한 나무가 방아채의 한 끝을 눌러 번쩍 들어올렸다가 떨어뜨리면 그 끝의 공이가 확 속의 곡식을 찧도록 되어 있다. 방아채와 공이의 동작이 자동으로 되기 때문에 사람이 없어도 찧을 수 있으며, 공이가 양쪽으로 두 개가 물려 있어 엇갈려 찧어지는 것과 한 개만 있는 것 등이 있다.

물방아는 일명 통방아라고도 하는데, 긴 통나무로 된 방앗대 한쪽을 파내어 물받이를 만들고, 반대쪽에는 공이를 달아 가운데를 받친 원시적인 물방아이다. 물받이에 물이 차면 그 무게 때문에 아래로 내려가 반대쪽의 공이가 들리고 물받이가 기울어져 물이 쏟아지면 공이가 아래로 떨어져서 확 속의 곡식을 찧는다.

상세[편집]

물레방아에는 물이 떨어지는 힘을 이용하는 것과 흘러가는 힘을 이용하는 것의 두 가지가 있다. 앞의 것을 충청북도 음성에서는 '동채방아', 뒤의 것을 '밀채물레방아'라고 하며, 같은 것을 경상북도 청도에서는 '밀방아'로 부른다.

동채방아의 바퀴는 방앗간 밖에 설치하나 밀채물레방아의 바퀴는 집안에 두는 것이 보통이다. 동채물레방아는 물의 낙차가 크면 클수록 힘을 더 얻는다.

일반적으로는 개울 옆에 도랑을 파서 물을 대지만, 이를 위한 보(洑:논에 물을 대기 위해 둑을 쌓고 흐르는 냇물을 가두어 두는 곳)를 따로 마련하는 곳도 있다. 보의 물은 농사철에는 농사에 쓰고 가을과 겨울에는 물레방아에 대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이 방아에는 대부분 방아틀을 한 대 걸지만, 물이 많은 데서는 좌우 양쪽에 두 대를 설치한다. 이 방아를 ‘양방아’(강원도 도계) 또는 ‘쌍방아’(전라남도 구례, 충청북도 음성)라고도 한다.

방아 굴대에 설치된 눌림대가 서로 다른 방향을 취하고 있어서 방아공이가 번갈아 가며 오르내린다. 재래식은 방아가 모두 나무이므로 궁글목 양끝처럼 닳기 쉬운 데는 끌로 파고 질이 단단한 박달나무 조각을 박아 둔다.

또, 마찰열을 낮추기 위해 수로 끝에 대나무로 만든 홈대를 달아 물이 이리로 떨어지도록 한다. 방아는 대체로 소나무로 만드나 공이와 같은 것은 단단한 박달나무를 쓰며 공이 끝에 쇠를 박기도 한다.

돌확은 땅에 묻는다. 바퀴의 물받이를 어떤 곳에서는 반으로 갈라서 물이 더 많이 실리도록 한다. 요즈음에는 동력만을 나무바퀴로 얻고 나머지 부분은 철제로 설비하며, 곳에 따라서는 바퀴 자체도 철제를 쓰기도 한다.

밀채물레바퀴의 구조는 앞의 것과 같으나, 다만 물레의 살과 살을 연결하여 너비 30㎝, 두께 5㎝ 정도의 널판을 가로 대 놓았다. 흐르는 물은 이 널판을 밀고 나가므로 이에 따라 물레가 돌아가는 것이다. 이 쌍방아로는 벼 한 가마를 찧는 데 한 시간이 걸린다.

물레방아는 흔히 마을에서 계를 모아 공동으로 세우며, 계원이 아닌 사람의 방아를 찧을 때는 삯을 받아 모았다가 수리할 때 쓰거나 잔치를 벌이기도 한다. 방아를 걸고 나서는 외다리방아에서처럼 고사를 올린다.

이 때 고사를 지내는 날까지 방앗간 입구의 좌우 양쪽에 붉은 흙 세 무더기를 쌓아 둔다. 이 흙의 붉은 기운이 잡귀를 막아 준다고 믿기 때문이다. 또, 방앗간 주위에는 새끼줄을 둘러서 잡인의 출입을 통제한다.

고사 때 올리는 축원의 내용은 외다리방아의 그것과 비슷하다. 고사를 지낸 뒤 주인집의 방아를 제일 먼저 찧는데, 이 때 곡물의 일부를 ‘방아몫’이라 하여 작은 항아리에 넣고 다락이나 시렁에 얹어 둔다. 그리고 해가 바뀌어 햇곡식이 나오면 먼저 곡식을 꺼내고 새 곡식으로 갈아 넣는다.

가을에 안택(安宅)굿을 할 때도 방아몫단지 앞에 떡 한 켜와 정화수를 차려 둔다. 또, 어떤 집에서는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떡고사를 지낸다. 이렇게 해야 방앗간의 도깨비가 만족해서 방아 동티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방앗간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금기를 지켜왔다.

① 방앗간의 비는 생리중인 여자가 깔고 앉으면 나쁘다. ② 임신부가 방아공이를 깔고 앉으면 나쁘다. ③ 방아로 만들어 쓴 나무는 화목(火木)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④ 액막이를 위해서 훔쳐 간 방아를 주인이 나서서 찾으면 해롭다. ⑤ 방아의 머리 쪽에 집안의 방문이나 조상의 무덤이 오도록 해서는 안 된다. ⑥ 방아고사는 반드시 해진 뒤에 지낸다.

한편, 물레방앗간은 매우 넓어서 방아를 찧는 것 외에 인가에서 거절당한 손님이 하룻밤 머물기도 하였고, 경우에 따라서는 마을의 반허락 아래 걸인들이 당분간 유숙하는 일도 있었다.

물레방아 수력발전[편집]

물레방아는 흐르는 물의 낙차를 이용해 에너지를 얻는 원시적인 도구다. 물레방아에 터빈을 연결하면 수력발전을 할 수 있다. 그런데 물레방아를 흐르는 물에 띄워 전기를 얻는 '逆 물레방아' 방식의 발전기가 나왔다.

영국의 HEB(Hydro Electric Barrel)사가 개발한 수력발전 제너레이터는 계곡이나 시냇물에 물레방아를 띄워 발전하는 방식이다. 시냇물에 두개의 말뚝을 박고 '물레방아 발전기'를 메단 다음 물에 띄운다. 물이 흐르면서 이 물레방아가 돌게 되고 안에 있는 제너레이터가 전기를 생산한다. 또 물에 띄워놓은 물레방아는 파도에 의해 아래 위로도 출렁이게 된다. 이 상하운동의 에너지도 전기로 전환된다. 물레방아를 메단 양 축에 발전기를 달아 아래 위로 흔들리는 에너지로 발전을 한다. HEB사의 '逆 물레방아' 발전기는 흐르는 물의 수평이동 에너지와 파도의 수직이동 에너지를 모두 전기로 전환하는 이중 발전 방식이다. 그만큼 효율성이 높다.

이 '逆 물레방아' 방식의 발전기는 매우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이다. 수력 발전이지만 환경을 훼손하는 댐을 건설한 필요가 없으며 발전을 위해 물길을 돌릴 필요도 없다. 자연상태에서 흐르는 물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발전이 가능하다. 수심과 수량의 제약도 받지 않는다. 물이 흐르는 한 하루 24시간 쉼없이 발전을 한다. 발전기 제작도 쉽고, 비용도 많이 들지 않는다. 유속이빠른 하천이나 계곡에 수십, 수백개의 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발전량은 유속과 수량, 발전기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발전기 1대당 약 1.5~3.5kw의 전력을 생산한다.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물레방아 문서는 기계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