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화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족보별 광열단피 분류)
(족보별 광열단피 분류)
86번째 줄: 86번째 줄:
 
|-
 
|-
 
|align=center|5
 
|align=center|5
|align=center|창포(붓꽃)
+
|align=center|창포/붓꽃
 
|align=center|창포 2장
 
|align=center|창포 2장
 
|align=center|
 
|align=center|
94번째 줄: 94번째 줄:
 
|-
 
|-
 
|align=center|6
 
|align=center|6
|align=center|모란(목단)
+
|align=center|모란/목단
 
|align=center|모란 2장
 
|align=center|모란 2장
 
|align=center|
 
|align=center|

2021년 7월 15일 (목) 13:14 판

현대의 한국식 화투 사진

화투(花鬪)는 꽃 싸움이라는 의미로 꽃 그림이 새겨진 카드놀이용 카드다. 일본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본에서의 명칭은 하나후다(花札), 화찰이다.[1]

개요

화투는 꽃이 그려진 12종류 48개의 카드로 이루어져 있다.[2] 경우에 따라 특수한 기능을 하는 조커 카드를 사용해 게임 옵션을 추가하기도 한다. 흔히 고스톱이라고도 불리는데, 정확히 말하면 화투는 패, 카드 세트의 명칭이고 고스톱은 그 카드로 하는 게임 중의 하나다. 한국에서는 국민 카드 게임으로 불릴만큼 대중적인 놀이로 인식하고 있다.[1]

유래

과거의 일본식 화투 디자인

화투의 원형인 일본의 전통 카드 게임인 하나후다(花札)는 하나카루타(花かるた)라고도 불린다.[2] 16세기 후반, 일본이 포르투갈과 본격적으로 무역을 시작한 시기에 포르투갈 선교사가 가져온 라틴식 플레잉 카드에서 유래되었다.[1] 이것이 가루타(かるた)의 일종인 텐쇼-가루타(天正カルタ)로 불린다. 가루타는 카드를 의미하는 포르투갈어 카르타(Carta)에서 유래했다. 이후 여기에 한자를 도입하여 가류다(歌留多),가류다(加留多), 곳파이(骨牌, 골패) 등으로도 불렸다. 화투는 도박성 때문에 1791년에 금지령이 떨어졌다. 이를 규제를 피하기 위해 다른 디자인의 카드를 만들어 대체하는 새로운 가루타를 사용한 것이 하나후다의 원형이다.[2] 카드의 지표는 꽃과 식물로 바뀌고, 카드 집합은 광열단피로 바뀌었다. 완전히 똑같이 대응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화투만의 독창성이 생겼다. 오노노도후라는 일본 헤이안 시대의 서예가가 영감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처음 유래가 되었던 라틴식 플레잉 카드와 달리 그림이 복잡하고 구체적인 사물이 그려져 있는 것은 동양화 감상이라는 변명으로 규제를 피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하나후다도 역시 수차례 금지령을 받았다. 나중에는 화투를 사용해 카드놀이를 해도 되는 대신, 화투 공장에 세금 폭탄을 얹는 등 완화되기도 하다가, 결국엔 규제가 폐지되었다.[1] 하나후다는 전통적인 일본식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뽕나무 또는 닥나무 껍질을 벗기고 점토와 섞어 만든 화지를 여러 겹으로 겹쳐 판을 만든 후 그 위에 일본 전통의 인쇄법으로 인쇄했다. 현재의 화투가 프라스틱 재질에 현대적 기법으로 인쇄하는 반면, 하나후다는 대부분 아직까지 이러한 전통적인 기법으로 제작한다. 일본의 게임 회사 닌텐도도 창립 초기엔 하나후다 제작 회사에서 시작했다. 이후 하나후다 사업 규모는 감소했지만 현재도 하나후다 관련 카드들을 생산 중이다.

한국에 하나후다가 전해진 것은 19세기 경 조선 시대 후기로 추측된다. 교역 중 조선에 왕래하던 쓰시마섬(対馬) 상인들에 의해 전해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화투는 한국에 들어온 이후 빠르게 전파되었다.[2] 1902년 황성신문에 실린 잡화 광고 란에 화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보면, 일제 강점기 이전에 화투가 이미 보급된 것을 알 수 있다.[1] 초기의 화투는 하나후다와 유사한 형태로 종인인쇄하여 전해졌다. 그러다 1950년대 화투패의 그림이 왜색이 짙다는 것이 문제시되면서 화투의 신제품 및 현지화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판화를 4색판으로 단순화하고 기존의 종이 재질에서 두께가 얇은 플라스틱 재질로 교체하게 되었다.[2]

패 구성

총 48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개 쌍피와 3피 같이 특별한 기능을 하는 카드도 추가로 집어넣어 50장으로 판매한다.[3]

족보

화투의 그림 속에는 자연이 들어가 있다. 화투 패는 각각 1년을 12개월로 나눈 특정 달을 상징한다. 이것을 화투 패의 족보라고 부른다. 이렇게 같은 달을 가리키는 화투 패가 각각 4장 씩 구성되어 1년 12개월을 이루는 12쌍, 총 48장이 되는 것이다.[4]

월을 상징하는 화투 패들

먼저, 1월을 상징하는 카드는 송학이라고 부른다. 앞에서 화투는 광열단피로 나누어져 있다고 설명했는데, 1월의 패는 광, 홍단, 피 2개로 이루어져 있다. 패 각각의 자세한 기능은 후술하겠다. 일본에서는 1월에 카도마츠(門松)라고 집 앞에 소나무를 장식하는 문화가 있는데 그 때문에 이런 모양이 생겼다고 한다. 소나무와 학이 그려져 있고 새해를 뜻하는 붉은 해도 있다. 2월을 상징하는 패 뭉치는 매조라고 부른다. 매화와 꾀꼬리가 그려져 있다. 2월에는 매화가 피지 않지만, 매화꽃에 꾀꼬리가 앉은 일본 전설에 따라 매화를 넣었다고 한다. 3월을 상징하는 패들은 벚꽃 또는 일본말인 사쿠라(さくら) 라고 부른다. 분홍색 꽃들이 모두 벚꽃이다. 광에 있는 문양은 일본 전통 휘장인 만마쿠(まんまく)라고 한다.[5] 4월의 패는 흑싸리라고 부른다. 등나무와 두견새가 그려져 있다. 4월은 일본에서 등나무 꽃 축제가 열리는 계절이다. 등나무는 위에서 내려오는 모양으로 자라는데 보통 반대로 밑에서 위로 자란다고 알고 있어 상하를 거꾸로 두고 보기도 한다. 등나무는 일본 전통시의 시어로 쓰이는 여름의 상징이며, 두견새 역시 일본에서 시제로 자주 등장할 일본인들에게 사랑을 받는 새다.[6] 5월의 패는 난초라고 부른다. 창포 꽃이 그려져 있다. 매년 음력 5월 5일은 한국, 중국, 일본 모두 단오절이다. 단오절 창포물에 머리 감는 풍습을 생각하여 이런 문양을 넣은 것으로 짐작된다. 6월의 패는 모란이라고 부른다. 6월에 주로 피는 모란은 한국, 일본에서 피는 꽃이다. 모란은 향기가 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것이 향기가 없어도 나비가 찾아노는 모란처럼, 손님도 많이 찾아오고 하는 일이 다 잘되라는 의미가 담겨있다고 한다.[5] 7월의 패는 홍싸리라고 부른다. 싸리나무와 멧돼지가 그려져 있다. 싸리나무는 일본에서 가을의 선두주자로 인식된다고 한다. 함께 그려진 멧돼지는 자손을 번창시키는 일본인의 간절한 소망이 담겨진 상서로운 동물로 해석된다.[6] 8월의 패는 공산이라고 부른다. 달과 들판, 새가 그려져 있다. 곡식을 거두고 휑한 논이나 밭에서 달을 보면서 소원을 비는 그런 의미라고 한다. 시기적으로 고려할 때 남쪽으로 떠나는 기러기도 그려져 있다. 9월의 패는 국준 또는 국진이라고 부른다. 국화꽃이 그려져 있다. 일본에선 9월에 국화 축제가 열리곤 한다. 9월의 국화가 만개하는 풍경과 거기에 휘장까지 더해서 나온 거라고 한다.[5] 10월의 패는 단풍, 줄여서 풍이라고 부른다. 가을에 단풍이 많이 피는 시기를 나타냈다고 알려져 있다. 일본에서 10월은 전통적으로 단풍놀이의 계절인 동시에 본격적인 사슴 사냥철이다. 단풍 사이의 사슴을 넣은 것은 그러한 10월의 싸늘한 분위기를 풍기는 것으로 보인다. 11월의 패는 오동 또는 똥이라고 부른다. 봉황과 오동나무가 그려져 있다. 그런데 원래 오동은 일본에서 12월을 나타내는 패였다. 이는 일본에서 오동을 뜻하는 기리(桐)가 에도 시대의 카드였던 카르타에서 맨 끝인 12를 의미했다는 사시에서 비롯된다. 오동잎은 일왕보다도 더 막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었던 막부의 장군을 상징하는 문양이다. 그리고 봉황새는 막부 최고 권력자인 장군의 품격과 지위를 상징하는 매개체다. 12월의 패는 비라고 부른다. 한 선비와 두꺼비, 강, 새가 그려져 있다. 여기서 선비로 보이는 한 사람은 화투의 모티브를 제시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는 일본 3대 서예가 중 한 사람인 오노도후다. 개구리가 파초에 오르기 위해 수없이 뛰는 모습을 보고 노력의 중요성을 깨달았다는 오노도후의 설화가 있다.[6] 새는 1,2월 이전에 봄을 미리 알리는 제비의 모습을 나타내고 맨 오른쪽에 있는 쌍피는 저승길을 상징한다고 한다.

광은 1월, 3월, 8월, 11월, 12월, 이렇게 총 5개가 있다. 이것은 일본 대표적인 명절이 들어있는 달에 광 표시가 되어있다고 알려져 있다. 1월은 설 명절을 나타내는 일본의 오쇼 가츠(お正月), 3월은 벚꽃 축제를 의미하는 하나미(花見), 8월은 오늘날의 추석을 의미하는 오봉(お盆), 11월은 일본의 어린이날인 시치고 산(七五三), 12월엔 새해맞이를 의미하는 오쇼가쓰(お正月)가 있다.[5]

족보별 광열단피 분류

다음은 1월부터 12월까지 패를 달 별로 분류해 해설한 것이다. 광은 특별히 높은 숫자의 패를 가리킨다. 광(光)이라고 써져 있다. 열끗 또는 멍텅구리라고 불리는 패는 동물 또는 식물이 좀 더 정성스럽게 그려진 패를 말한다. 열끗 중에서 새 종류인 두견새, 꾀꼬리, 기러기 세 가지 새 모양 카드를 모으면 고도리라고 해서 추가로 점수를 받을 수 있다. 띠는 말 그대로 띠가 그려진 패를 말한다. 경우에 따라 띠를 가진 패를 홍단과 청단으로 모으면 보너스 점수를 받을 수 있기도 하다. 나머지는 피라고 불린다. 쌍피는 오동 쌍피, 비 쌍피 외에도 국화 열끗을 쌍피로 돌려 점수를 매길 수도 있다.

명칭 쌍피 열끗
1 송학 소나무 2장 홍단 두루미/일광
2 매조 매화 2장 홍단 꾀꼬리
3 벚꽃/사쿠라 벚꽃 2장 홍단 장막/삼광
4 등나무/흑싸리 등나무 2장 초단 두견새
5 창포/붓꽃 창포 2장 초단 창포와 다리
6 모란/목단 모란 2장 청단 모란과 나비
7 싸리(홍싸리, 칠싸리) 싸리 2장 초단 멧돼지
8 억새/공산 억새 2장 기러기 달/팔광
9 국화/국진,국준 국화 2장 휘장(양자택일) 청단 휘장(양자택일)
10 단풍/풍 단풍2장 청단 사슴
11 오동/똥 오동 2장 오동 쌍피 봉황/똥광
12 지옥문 쌍피 제비 비광

게임 종류

화투 기반 온라인 게임

각주

  1. 1.0 1.1 1.2 1.3 1.4 화투〉, 《나무위키》
  2. 2.0 2.1 2.2 2.3 2.4 화투〉, 《위키백과》
  3. 화투/패〉, 《나무위키》
  4. 자유, 〈고스톱, 화투 숫자 월 알기〉, 《네이버블로그》, 2021-01-27
  5. 5.0 5.1 5.2 5.3 끄적끄적, 〈고스톱 맞고 :: 규칙, 하는 법, 족보를 알아보자!〉, 《네이버블로그》, 2019-02-02
  6. 6.0 6.1 6.2 시무지기,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imujigy&logNo=220607240506 화투의 비밀 - 4월은 '흑싸리 가 아니라 '등나무 꽃'이다!]〉, 《출처》, 2016-01-24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화투 문서는 게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