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플러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개요)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플러딩(Flooding)은 정적 알고리즘으로 패킷이 도착되어 있는 곳을 제외한 모든 나가는 라인에 들어오는 모든 패킷들을 전송한다. 이는 엄청난 수의 중복 패킷을 생성하게 되고, 실제로 프로세스를 감쇠시키기 위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무한히 생성된다. 따라서 플러딩(Flooding)은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수정된 라우팅 정보를 모든 노드에 빠르게 배포하는 수단으로써 사용되고 있다.
+
플러딩(Flooding)은 정적 알고리즘으로 어떤 노드에서 온 하나의 패킷을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모든 노드로 전달하는 것으로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수정된 라우팅 정보를 모든 노드에 빠르게 배포하는 수단이다. 때로는 하나의 원천 노드로부터 실제 또는 가상 네트워크의 많은 특정 노드로 패킷들을 멀티캐시트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하며, 한 네트워크에서 라우터 정보를 수정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인 개방형 최단 경로 우선 프로토콜(OSPF)에서도 사용하기도 한다.
  
 
== 특징 ==
 
== 특징 ==

2019년 7월 18일 (목) 11:24 판

플러딩(Flloding)이란 수신되는 링크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링크로 패킷을 단순하게 복사 전송하는 무제어 포트 배정하는 라우팅 알고리즘이다.

개요

플러딩(Flooding)은 정적 알고리즘으로 어떤 노드에서 온 하나의 패킷을 라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모든 노드로 전달하는 것으로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수정된 라우팅 정보를 모든 노드에 빠르게 배포하는 수단이다. 때로는 하나의 원천 노드로부터 실제 또는 가상 네트워크의 많은 특정 노드로 패킷들을 멀티캐시트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하며, 한 네트워크에서 라우터 정보를 수정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인 개방형 최단 경로 우선 프로토콜(OSPF)에서도 사용하기도 한다.

특징

단점

참고자료

같이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플러딩 문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