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메인체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고아블록.PNG|썸네일|300픽셀|'''체인 구조도''' A, B, C로 이어지는 A가 메인체인 이 된다.]]
 
[[파일:고아블록.PNG|썸네일|300픽셀|'''체인 구조도''' A, B, C로 이어지는 A가 메인체인 이 된다.]]
[[파일:블록체인 구조도.png|썸네일|400픽셀|검은색 블록들로 연결된 체인이 메인(main)체인이다. 최초 블록(파란색)으로부터 가장 길게 연결된 체인이 메인체인이 된다. 빨간색은 중간 중간 메인 체인으로 부터 파생된 체인으로 고아(Orphan)체인이라고 부르며 이 체인은 보통 버려진다.]]
+
[[파일:블록체인 구조도.png|썸네일|400픽셀|최초 블록(파란색)을 시작으로 검은색 블록들로 가장 길게 연결된 체인이 메인(main)체인이다. 빨간색은 메인체인으로부터 중간에 파생된 체인으로 고아(Orphan)체인이라고 부르며 이 체인은 보통 버려진다.]]
 
'''메인체인'''<!--메인 체인-->(main chain)은 [[제네시스 블록]]부터 가장 최근의 [[블록]]까지 연결되어 있는 [[체인]]이다. '''최장체인''' 또는 '''주요체인'''이라고도 부르며 가장 많은 [[해시파워]]가 투입되는 [[체인]]에 그 다음 [[블록]]이 연결된다. 네트워크 전파 속도 차이로 인해 하나의 체인으로 수렴하기 전에 같은 블록을 채굴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는 분기, 즉 포크 를 유발한다.'[[동시 채굴]]'이라는 용어는 정확히 같은 순간에 채굴을 성공한다는 개념이 아니며, 모든 [[노드]]들에게 블록이 전파되기 전, 같은 블록에 있어서 다른 노드에 의해 채굴이 완성되면 [[포크]]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메인체인'''<!--메인 체인-->(main chain)은 [[제네시스 블록]]부터 가장 최근의 [[블록]]까지 연결되어 있는 [[체인]]이다. '''최장체인''' 또는 '''주요체인'''이라고도 부르며 가장 많은 [[해시파워]]가 투입되는 [[체인]]에 그 다음 [[블록]]이 연결된다. 네트워크 전파 속도 차이로 인해 하나의 체인으로 수렴하기 전에 같은 블록을 채굴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는 분기, 즉 포크 를 유발한다.'[[동시 채굴]]'이라는 용어는 정확히 같은 순간에 채굴을 성공한다는 개념이 아니며, 모든 [[노드]]들에게 블록이 전파되기 전, 같은 블록에 있어서 다른 노드에 의해 채굴이 완성되면 [[포크]]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2019년 7월 30일 (화) 17:54 판

체인 구조도 A, B, C로 이어지는 A가 메인체인 이 된다.
최초 블록(파란색)을 시작으로 검은색 블록들로 가장 길게 연결된 체인이 메인(main)체인이다. 빨간색은 메인체인으로부터 중간에 파생된 체인으로 고아(Orphan)체인이라고 부르며 이 체인은 보통 버려진다.

메인체인(main chain)은 제네시스 블록부터 가장 최근의 블록까지 연결되어 있는 체인이다. 최장체인 또는 주요체인이라고도 부르며 가장 많은 해시파워가 투입되는 체인에 그 다음 블록이 연결된다. 네트워크 전파 속도 차이로 인해 하나의 체인으로 수렴하기 전에 같은 블록을 채굴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는 분기, 즉 포크 를 유발한다.'동시 채굴'이라는 용어는 정확히 같은 순간에 채굴을 성공한다는 개념이 아니며, 모든 노드들에게 블록이 전파되기 전, 같은 블록에 있어서 다른 노드에 의해 채굴이 완성되면 포크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메인체인 문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