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스타크래프트

해시넷
dlensk99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1월 13일 (수) 17:5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스타크래프트(StartCraft)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제작한 실시간 전략 게임이다.[1]

개요

스타크래프트는 1998년 4월에 대한민국 LG 소프트를 통해 발매되었다. 26세기 초반의 미래 우주를 배경으로, 지구 집정 연합에게 버림받은 사이오닉 능력 초능력자, 범죄자들의 테란과 집단의식을 가지고 다른 종족을 흡수해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저그, 초능력과 과학기술이 발달한 외계종족 프로토스 사이의 전쟁을 다루는 게임이다.[1] 2000년 세계 최초의 게임 전문 방송국이 개국했고, 한국은 '스타크래프트'를 중심으로 전 세계 e스포츠의 중심지가 되었다.[2]

주요 인물

  • 임요환: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2 프로게이머였고, 전직 프로게임단 감독이었다. 주 종목은 테란이며, 테란 황제라고 불렸다. 또한 e스포츠의 개척자이자 선구자이다. 2010년 6월에 SK텔레콤 T1과의 계약을 끝내고, 같은 해 10월에 스타크래프트2로 전향하였다. 2011년 GSL에서 활약 하였다. 하지만 2012년 1월 슬레이어스의 플레잉 감독이 되었고, 은퇴 하였다. 같은 해 8월 SK텔레콤 T1으로 복귀하여 스타크래프트II 테란 전담 코치로 영입되었다. 이후 수석코치로 임명되었고, 감독으로 승격되었다. 하지만 건강상의 이유로 2013년 감독직에서 은퇴하였다.[3]
  • 홍진호: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였고, 프로게임단 감독이었다. 주 종목은 저그였으며, 우승을 한 번도 하지 못하고 매번 준우승 한 것으로 유명하다. 대부분 KT롤스터 소속이었으며, 2011년 6월에 은퇴하였다. 2012년 2월부터는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단 제닉스 스톰의 감독으로 활동하였다. 2013년 2월에는 사무를 담당하는 프론트 자리로 옮기게 되었고, 이후 방송인으로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4]
  • 이영호: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2 프로게이머였으며, 주 종목은 테란이었다. 2012년 한국e스포츠협회(KeSPA) 랭킹 1위, WP(Winning Point) 랭킹 1위를 차지했다. 또한 e스포츠 역사상 누구도 하지 못했던 골든 그랜드 슬램 및 골든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MSL이 폐지되면서, 골든 그랜드 슬램은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 슬램이 되었다.[5]
  • 이제동: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2 프로게이머였으며, 주 종목은 저그였다. 스타리그 3회 우승, MSL 2회 우승 등 메이저 개인 리그에서 5회 우승을 하였고, 4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역대 종족별 최종기간인 43개월 동안 저그 랭킹 1위를 기록했다. 2016년 11월 프로게이머 은퇴를 발표했고, 약 10년간의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였다.[6]

==

대회

글로벌 스타크래프트2 리그(Global Starcraft2 League, GSL)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후원하고, 아프리카TV에서 주최하는 세계 최초의 스타크래프트2 공식 대회이다. 2015년까지는 곰TV, 곰exp에서 주최하고, 세계 180여 개국에 중계를 하였으나, 2016년부터 아프리카 TV에서 주관, 개최, 중계한다. 이 대회는 GSL 스폰서십, 핫식스 컵, GSTL의 3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 GSL 스폰서십: 코드 B라고도 불리는 코드 A 예선전에서 최대 576명이 토너먼트 형식의 경기를 진행하여 상위 22명만 코드 A에 진출한다. 코드 S에서는 한 경기당 3전 2선승제로 32명의 선수가 4인 1조로 총 8조에 편성되어 듀얼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된다. 코드 A에서는 코드 A 예선진출자 40명과 코드 S 32강 4위 8명으로 구성된 1라운드에서 24명만 2라운드에 진출한다. 2라운드에서는 24명의 진출자와 코드 S 32강 3위 8명 중 16명만이 3라운드에 진출한다. 3라운드에서는 16명의 진출자와 코드 S 16강 3, 4위와 함께 진행한다. 3라운드에서 승리한 12명은 다음 GSL 코드 S로 직행할 수 있다.
  • 핫식스 컵: 2013년부터 기존의 블리자드 컵에서 명칭이 변경된 대회이다.[7]


각주

  1. 1.0 1.1 스타크래프트〉, 《위키백과》
  2. 김병묵 기자, 〈e스포츠의 2021년, 고난의 시기일까 도약의 기회일까〉, 《시사오늘시사온》, 2021-01-11
  3. 임요환〉, 《위키백과》
  4. 홍진호〉, 《위키백과》
  5. 이영호〉, 《위키백과》
  6. 이제동〉, 《위키백과》
  7. 글로벌 스타크래프트2 리그〉, 《위키백과》

참고자료


[1]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스타크래프트 문서는 게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