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마스터노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같이 보기)
1번째 줄: 1번째 줄:
'''마스터노드'''(masternode)란 [[블록]] 마스터노드는 익명성과 즉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시 마스터노드를 설명하기 위해 생겨난 단어입니다. 마스터노드는 해당되는 코인의 블록체인과 완전하게 동기화된 하나의 [[노드]] ('''full node''') 또는 암호화폐 지갑이다. 간단히 말한다면 탈중앙 서버라고 말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노드의 사용처를 변행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 특별한 수행을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내용이다. 일반적 '''노드'''와는 비교 했을때 기능이 많이 존재하여서 많은 서버 유지비가 들어간다. 마스터노드를 운영하는 코인만큼 인센티브제로 코인을 보상받을 수 있게 가지고 있다. 하루에 몇 번을 보상을 지급하는 다양한 '''마스터노드'''가 존재하고 운영중이다. 대표적인 마스터노드코인은 [[대시코인]], [[해피코인]]이 있다.  
+
'''[[마스터노드]]'''익명성과 즉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시]] 마스터노드를 설명하기 위해 생겨난 단어이다. 마스터노드는 [[채굴]]하지 않는 [[풀 노드]]를 늘리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마스터노드 운영 시 소정의 인센티브가 지급된다. 대표적인 마스터노드 코인은 [[대시코인]], [[해피코인]]이 있다.
  
'''지분증명(Proof-of-Stake)''' 비교분석한다면 많은점이 다릅니다. 많은 사용자들은 마스터 노드가 지분증명 방식의 연장선이라고 생각들합니다. 그것은 아닙니다. 마스터노드의 작업증명 (Proof-of-Work, PoW)이라는 프로텍션 [protection]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숙지하여한다.
+
==노드==
 +
[[노드]](node)란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복사본을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 또는 컴퓨터 서버이다. 노드는 은행 금고를 지키는 파수꾼으로 볼 수 있다. 금고 주위에 파수꾼이 많으면 금고가 더 안전한 것처럼 블록체인 또한 노드가 많을수록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의 보안은 강화된다.
  
== 마스터노드의 중요기능 ==
+
==풀 노드와 라이트 노드==
* 투표와 노드화된 중앙 거버먼트(government) 탈중앙 노드구축기술
+
노드는 [[풀 노드]](full node)와 [[라이트 노드]](light node)로 나뉜다. 풀 노드는 [[네트워크]]의 모든 거래정보를 전부 저장하고 사용자들의 지갑을 관리한다. 라이트 노드는 사용자 지갑을 저장하지만 네트워크 접근을 위해 풀 노드에 의존한다.  
* 네트워크의 모든 마스터노드는 중앙화된 서버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익명성을 강조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 컴퓨팅 파워를 제공함으로써 생태계를 유지시켜주며 전기료가 다른코인에 비해 적게들어간다.
+
노드는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이며 풀 노드는 [[블록체인]]을 유지하는 것, 라이트 노드는 참여자를 위한 접속권한 부여라고 이해할 수 있다. 금고와 파수꾼 비유를 다시 사용해보면 풀 노드는 군대급의 강화된 파수꾼이고, 라이트 노드는 금고를 활용해 입출금을 시도하는 통로로 볼 수 있다.
* 일정 지분의 코인을 가지고 해당 코인을 '채굴'하는 방식이있다.
+
 
* 언제 어디서든 채굴 현황 확인과 출금(채굴된 분량만)이 가능합니다.
+
풀 노드와 라이트 노드 중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여가 큰 것은 역시 풀 노드이다. 결국 라이트 노드와 개별 노드는 풀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을 읽어 와서 네트워크에 참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노드중에도 중앙 마스터 노드가 존재한다. 다른 사람들이 거래를 원활하게 하거나 익명거래를 위해 주소를 믹싱해서 숨겨주는 등 특정 서비스를 하면 마스터노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 코인별로 정해진 수량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 특정 코인을 정해진 수량 만큼 구축한 가상 서버에 넣어두면 채굴과 같이 코인을 생성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
==마스터 노드==
 +
마스터 노드라고 하면 주인, 혹은 상위 노드로 표현된다. 좀 더 구체적인 의미는 풀 노드 중에서 권한과 보상을 받는 노드로 정의할 수 있다. 풀 노드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전부 저장해 네트워크에 기여하는 의무를 갖고 있다. 마스터노드는 풀 노드의 의무를 수행하면서 블록생성에 대한 보상(투표 실시)을 받고, [[트랜잭션]]의 추가기능(익명, 즉시 전송)을 수행한다.
 +
 
 +
풀 노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채굴]]을 하지 않을 경우, 풀 노드를 운영하는 유지비를 감당할 보상도 지급되지 않는다. 때문에 [[비트코인]]의 풀 노드들은 대부분 채굴을 위한 풀 노드들이지 개인이 사용하는 노드가 아니다. [[네트워크]]를 이루는 소규모 구성원들의 대부분은 라이트 노드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채굴하지 않는 풀 노드를 늘리기 위해 마스터노드가 고안된 것이다. 또한 마스터노드 운영 시 소정의 인센티브가 지급된다.
 +
 
 +
즉, 마스터 노드 체제가 나온 이유는 풀 노드 유지에 대한 보상을 주기 위함이다.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예를 보면 비트코인 이용자는 증가하지만 풀 노드의 숫자는 감소하고 있다. 풀 노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저장 용량을 늘려야 하고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풀 노드 유지에 대한 보상이 없다보니 자연스럽게 풀 노드가 감소하는 딜레마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풀 노드가 감소하면 네트워크는 약해지고 결국 사용자도 줄어들게 된다.
 +
 
 +
==대시와 마스터코인==
 +
대표적인 마스터노드 합의 체제인 [[대시]]의 경우 블록보상 비율은 [[채굴자]] 45%, 마스터노드 45%, [[거버넌스]] 10%로 구성되어 있다.  
 +
 
 +
대시의 마스터 노드가 되기 위해서는 대시 코인을 1,000개 보유해야 하며, [[네트워크]]의 적절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사양을 지속적으로 충족시켜야 한다. 또한 즉시전송, 익명전송 기능과 합의체제의 투표권을 행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채굴자와 동일한 블록보상을 받게 함으로써 풀 노드의 유지 인센티브를 제공하게 하는 것이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9년 2월 8일 (금) 16:55 판

마스터노드는 익명성과 즉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시 마스터노드를 설명하기 위해 생겨난 단어이다. 마스터노드는 채굴하지 않는 풀 노드를 늘리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마스터노드 운영 시 소정의 인센티브가 지급된다. 대표적인 마스터노드 코인은 대시코인, 해피코인이 있다.

노드

노드(node)란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복사본을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 또는 컴퓨터 서버이다. 노드는 은행 금고를 지키는 파수꾼으로 볼 수 있다. 금고 주위에 파수꾼이 많으면 금고가 더 안전한 것처럼 블록체인 또한 노드가 많을수록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의 보안은 강화된다.

풀 노드와 라이트 노드

노드는 풀 노드(full node)와 라이트 노드(light node)로 나뉜다. 풀 노드는 네트워크의 모든 거래정보를 전부 저장하고 사용자들의 지갑을 관리한다. 라이트 노드는 사용자 지갑을 저장하지만 네트워크 접근을 위해 풀 노드에 의존한다.

노드는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이며 풀 노드는 블록체인을 유지하는 것, 라이트 노드는 참여자를 위한 접속권한 부여라고 이해할 수 있다. 금고와 파수꾼 비유를 다시 사용해보면 풀 노드는 군대급의 강화된 파수꾼이고, 라이트 노드는 금고를 활용해 입출금을 시도하는 통로로 볼 수 있다.

풀 노드와 라이트 노드 중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여가 큰 것은 역시 풀 노드이다. 결국 라이트 노드와 개별 노드는 풀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을 읽어 와서 네트워크에 참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마스터 노드

마스터 노드라고 하면 주인, 혹은 상위 노드로 표현된다. 좀 더 구체적인 의미는 풀 노드 중에서 권한과 보상을 받는 노드로 정의할 수 있다. 풀 노드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전부 저장해 네트워크에 기여하는 의무를 갖고 있다. 마스터노드는 풀 노드의 의무를 수행하면서 블록생성에 대한 보상(투표 실시)을 받고, 트랜잭션의 추가기능(익명, 즉시 전송)을 수행한다.

풀 노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채굴을 하지 않을 경우, 풀 노드를 운영하는 유지비를 감당할 보상도 지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비트코인의 풀 노드들은 대부분 채굴을 위한 풀 노드들이지 개인이 사용하는 노드가 아니다. 네트워크를 이루는 소규모 구성원들의 대부분은 라이트 노드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채굴하지 않는 풀 노드를 늘리기 위해 마스터노드가 고안된 것이다. 또한 마스터노드 운영 시 소정의 인센티브가 지급된다.

즉, 마스터 노드 체제가 나온 이유는 풀 노드 유지에 대한 보상을 주기 위함이다.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예를 보면 비트코인 이용자는 증가하지만 풀 노드의 숫자는 감소하고 있다. 풀 노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저장 용량을 늘려야 하고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풀 노드 유지에 대한 보상이 없다보니 자연스럽게 풀 노드가 감소하는 딜레마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풀 노드가 감소하면 네트워크는 약해지고 결국 사용자도 줄어들게 된다.

대시와 마스터코인

대표적인 마스터노드 합의 체제인 대시의 경우 블록보상 비율은 채굴자 45%, 마스터노드 45%, 거버넌스 10%로 구성되어 있다.

대시의 마스터 노드가 되기 위해서는 대시 코인을 1,000개 보유해야 하며, 네트워크의 적절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사양을 지속적으로 충족시켜야 한다. 또한 즉시전송, 익명전송 기능과 합의체제의 투표권을 행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채굴자와 동일한 블록보상을 받게 함으로써 풀 노드의 유지 인센티브를 제공하게 하는 것이다.

같이 보기


  의견.png 이 마스터노드 문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