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승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잔글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3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이승환'''(1976년 7월 5일 ~ )은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팅 앱인 '''[[폰더]]'''(Ponder)의 대표이사이다. 1997년 KBS 13기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했고, 이후 블록체인을 활용한 매치 메이킹 플랫폼인 폰더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
[[파일:이승환.jpg|썸네일|300픽셀|'''이승환'''(코인니스 이승환 대표)]]
 +
 
 +
[[파일:코인니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코인니스'''(Coinness) 로고와 글자]]
 +
[[파일:비스지에 글자.png|썸네일|300픽셀|'''[[비스지에]]'''(币世界, 폐세계)]]
 +
 
 +
'''이승환'''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뉴스 기업인 '''[[코인니스]]'''(Coinness) 한국 대표이자 코인니스코리아(Coinness Korea)의 운영사인 [[긱서퍼]] 주식회사 대표이사이다. 코인니스는 중국 [[비스지에]](Bishijie)의 자회사이다.
  
 
== 개요 ==
 
== 개요 ==
1995년 KBS 개그맨 공채 13기로 데뷔했다. 1999년까지 무명개그맨으로 지냈지만 KBS 코미디 프로그램인 개그콘서트에서 '갈갈이 패밀리'로 인기를 얻으며 2002년까지 전성기를 구가했다. 그러나 방송을 평생 할 수 있는 재능이 없다고 판단하여 브라운관을 떠났다.
+
이승환은 중국 [[베이징대학]]을 졸업했다. [[중앙미디어네트워크]]에서 뉴스 리포터로 약 1년 6개월간 업무하다가 2018년 4월부터 코인니스코리아를 운영하는 긱서퍼의 대표이사(CEO)를 맡고 있다.
 +
 
 +
== 약력 ==
 +
* 2016년 11월 ~ 2018년 4월 : [[중앙미디어네트워크]] 뉴스 리포터.
 +
* 2018년 4월 ~ 현재 : [[긱서퍼]] 주식회사(코인니스코리아) 대표이사.
 +
 
 +
== 주요 활동 ==
 +
=== 코인니스 ===
 +
2017년 8월에 중국 비스지에(Bishjiie)가 자본을 투자하여 만든 한국의 블록체인 미디어이며, 이승환 긱서퍼 대표는 2018년 4월부터 코인니스코리아 CEO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코인니스는 암호화폐 관련 24시간 실시간 뉴스나 속보 시장 상황에 따라 내가 지정한 특정한 코인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블록체인 암화화폐 뉴스를 제공하고있다. 시간별로 날짜별로 암호화폐에 대한 정보들을 정리하고 알람 설정 등을 통해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는 사실과 한국어, 중국어 등등으로 언어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했고 뉴스피드 메뉴에서는 금일 자 암호화폐 관련 모든 뉴스를 시간 별로 정리하여 제공하고 있다. 현재는 국내 최대 실시간 블록체인 투자 정보 서비스로, 코인원, 트레이딩뷰, 코인디 등 국내 메이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플랫폼 20여 곳에 실시간 투자 정보를 독점 공급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6월 비스제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
 
 +
{{자세히|코인니스}}
 +
 
 +
== 향후 계획 ==
 +
이승환 대표는 "그동안 암호화폐 투자 시장에는 사설 정보와 실제 투잦 정보가 혼재된 상태로 많은 부작용을 만들어냈다"며 "향후 국내 주요 거래소들과 협력해 실제 정보를 시반으로 투자하는 문화를 만들어 나갈 예정"이라고 포부를 밝혔다.<ref>유근일 기자, 〈[http://www.etnews.com/20190311000228 코인니스, 트레이딩 뷰 코리아에 실시간 암호화폐 뉴스 공급]〉, 《전자신문》, 2019-03-11</ref> 또한 투명한 비용 및 인력 구조를 기반으로 국내 프로젝트들이 중국 시장에 효율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서포트 예정으로 향후 중국 거래소 및 시장이 한국 프로젝트들이 동남아, 유럽, 남미 지역 등으로 확장할 수 있는 베이스캠프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f>형인우 기자, 〈[http://www.etnews.com/20190902000340 이더랩-비스제-코인니스 3자 MOU 체결]〉, 《전자신문》, 2019-09-02</ref>
  
그는 처음으로 유아용 셋톱박스사업을 시작했다. 방방곡곡 200여 곳의 유치원을 찾아다닌 보람도 없이 1년 만에 수억 원의 적자로 실패를 했다. 그리고 방송제작사, 공연 제작사 까지 새롭게 시도했지만 결국 실패로 총 20억 원을 손해보았다.
+
==최근 동향==
  
== 약력 ==
+
'''코인니스, 암호화폐 투자전략 마켓 서비스 다운로드 35만건 돌파'''
* 1976년 07월 05일 출생
+
 
* 1997년 개그맨 데뷔
+
글로벌 블록체인 투자정보 플랫폼 코인니스는 암호화폐 투자전략 마켓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앱) 다운로드 수가 35만건을 돌파했다고 2019년 5월 2일에 밝혔다.
* 2002년 유아용 셋톱박스사업
+
 
* 2003년 2월 에드몬TV 대표이사
+
코인니스 앱에서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이오스]], [[리플]], [[라이트코인]] 등 주요 암호화폐에 대한 '이동 평균선 롱&숏 투자 전략' 등 각각 4개의 투자 전략 구독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식 시장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투자 전략을 암호화폐 시장에 도입했다. BTC 이중 이동평균선(롱) 전략은 출시 일주일만에 유료 구독자 수가 3700명을 넘어섰다. 코인니스는 서비스 출시를 기념해 기존 2000CNNS(월, 코인니스 플랫폼 토큰) 가격의 구독 서비스를 당분간 1CNNS에 이용자들에게 제공한다.
* 2006년 ~ 벌집삼겹살 대표
+
 
* 2006년 ~ 갈갈이 패밀리 멤버
+
코인니스 운영사인 긱서퍼의 이승환 대표는 “투자 정보와 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에서 투자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 및 가공해 제공하는 투자 데이터 플랫폼으로 변신해가는 과정”이라며 “기존 코인니스 이용자를 포함, 국내 최대 투자 데이터 플랫폼으로 발돋움 할 것”이라고 밝혔다.<ref>유근일 기자, 〈[http://www.etnews.com/20190531000334 코인니스, 암호화폐 투자전략 마켓 서비스 다운로드 35만건 돌파]〉, 《전자신문》,  2019-05-31</ref>
* 2007년 벌집삼겹살
+
 
* 2009년 ~ 벌집투어 대표
+
'''이더랩-비스제-코인니스 3자 MOU 체결'''
* 2009년 ~ 요란대표
+
 
* 2009년 4월 대한적십자사 경기도지사 홍보대사
+
블록체인 전문 컨설팅 업체 [[이더랩]](대표 김경수)이 중국 최대 블록체인 미디어 [[비스제]](대표 탄천후이) 그리고 국내 1위 블록체인 투자 정보 플랫폼 [[코인니스]](대표 이승환)와 국내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중국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019년 8월 30일에 밝혔다.
* 2013년 원광디지털대학교 한방미용예술학과 졸업
+
 
* 2013년 방송연예과
+
이더랩은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마케팅 전략연구소로, 코인마케팅과 코인소식닷컴을 운영 중이다. 다양한 블록체인 사업을 진행하며 산업의 성장 동력을 공급하고 있다. 비스제는 중국 최대 블록체인 투자 정보 플랫폼 서비스로, 2019년 8월 기준 자체 어플리케이션 DAU 20만명,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이용자 300만명을 보유하고 있다. 이용자수 기준 중국 최대 블록체인 정보 플랫폼이다. 지난 2017년 [[후오비]] 글로벌, [[ZHEN펀드]] 등의 투자를 유치했다. 비스제와 공동 미디어 네트워크를 구축, 국내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코인니스는 이번 파트너십에서 국내 프로젝트-중국 블록체인 업계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리소스 분배를 지원할 예정이다.
* 2014년 ~ W-재단 추진위원장
+
 
* 2018년 7월 9일 ~ 현재 폰더 대표<ref name="폰더">블록체인투데이, 〈[http://blockchai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 '데이팅 앱' 폰더, 유명 개그맨 출신 이승환 대표 영입... 친근한 마케팅으로 승부]〉, 《블록체인투데이》, 2018-07-10</ref>
+
이승환 코인니스 대표는 “투명한 비용 및 인력 구조를 기반으로 국내 프로젝트들이 중국 시장에 효율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서포트 할 예정”이라며 “향후 중국 거래소 및 시장이 한국 프로젝트들이 동남아, 유럽, 남미 지역 등으로 확장할 수 있는 베이스캠프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ref>주은혜 기자/조해리 기자, 〈[http://www.fintech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65731#0AXD 이더랩-비스제-코인니스 3자 MOU 체결]〉, 《블록체인밸리》, 2019-08-30</ref>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블록체인투데이, 〈[http://blockchai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 '데이팅 앱' 폰더, 유명 개그맨 출신 이승환 대표 영입... 친근한 마케팅으로 승부]〉, 《블록체인투데이》, 2018-07-10
+
* 코인니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coinness.com/
 +
* 긱서퍼(코인니스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 https://kr.coinness.com/
 +
* 플레이스토어 코인니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coinness/
 +
* 이승환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seunghwan-lee-b59956146/
 +
* 유근일 기자, 〈[http://www.etnews.com/20190311000228 코인니스, 트레이딩 뷰 코리아에 실시간 암호화폐 뉴스 공급]〉, 《전자신문》, 2019-03-11
 +
* 형인우 기자, 〈[http://www.etnews.com/20190902000340 이더랩-비스제-코인니스 3자 MOU 체결]〉, 《전자신문》, 2019-09-02
 +
* 이동언 기자, 〈[https://www.tokenpost.kr/article-4263 '블록체인 지식포럼' 미디어 패널 토론..."플록체인은 미디어를 업그레이드할 기회이자 위기"]〉, 《토큰포스트》, 2018-09-21
 +
* 주은혜 기자/조해리 기자, 〈[http://www.fintech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65731#0AXD 이더랩-비스제-코인니스 3자 MOU 체결]〉, 《블록체인밸리》, 2019-08-30
 +
* 유근일 기자, 〈[http://www.etnews.com/20190531000334 코인니스, 암호화폐 투자전략 마켓 서비스 다운로드 35만건 돌파]〉, 《전자신문》, 2019-05-31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폰더]]
+
* [[중앙미디어네트워크]]
 +
* [[긱서퍼]]
 +
* [[코인니스]]
 +
* [[비스지에]]
 +
* [[이더랩]]
  
{{블록체인 미디어업체 경영자|토막글}}
+
{{블록체인 미디어업체 경영자|검토 필요}}

2019년 12월 24일 (화) 10:25 기준 최신판

이승환(코인니스 이승환 대표)
코인니스(Coinness) 로고와 글자
비스지에(币世界, 폐세계)

이승환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뉴스 기업인 코인니스(Coinness) 한국 대표이자 코인니스코리아(Coinness Korea)의 운영사인 긱서퍼 주식회사 대표이사이다. 코인니스는 중국 비스지에(Bishijie)의 자회사이다.

개요[편집]

이승환은 중국 베이징대학을 졸업했다. 중앙미디어네트워크에서 뉴스 리포터로 약 1년 6개월간 업무하다가 2018년 4월부터 코인니스코리아를 운영하는 긱서퍼의 대표이사(CEO)를 맡고 있다.

약력[편집]

주요 활동[편집]

코인니스[편집]

2017년 8월에 중국 비스지에(Bishjiie)가 자본을 투자하여 만든 한국의 블록체인 미디어이며, 이승환 긱서퍼 대표는 2018년 4월부터 코인니스코리아 CEO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코인니스는 암호화폐 관련 24시간 실시간 뉴스나 속보 시장 상황에 따라 내가 지정한 특정한 코인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블록체인 암화화폐 뉴스를 제공하고있다. 시간별로 날짜별로 암호화폐에 대한 정보들을 정리하고 알람 설정 등을 통해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는 사실과 한국어, 중국어 등등으로 언어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했고 뉴스피드 메뉴에서는 금일 자 암호화폐 관련 모든 뉴스를 시간 별로 정리하여 제공하고 있다. 현재는 국내 최대 실시간 블록체인 투자 정보 서비스로, 코인원, 트레이딩뷰, 코인디 등 국내 메이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플랫폼 20여 곳에 실시간 투자 정보를 독점 공급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6월 비스제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가기.png 코인니스에 대해 자세히 보기

향후 계획[편집]

이승환 대표는 "그동안 암호화폐 투자 시장에는 사설 정보와 실제 투잦 정보가 혼재된 상태로 많은 부작용을 만들어냈다"며 "향후 국내 주요 거래소들과 협력해 실제 정보를 시반으로 투자하는 문화를 만들어 나갈 예정"이라고 포부를 밝혔다.[1] 또한 투명한 비용 및 인력 구조를 기반으로 국내 프로젝트들이 중국 시장에 효율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서포트 할 예정으로 향후 중국 거래소 및 시장이 한국 프로젝트들이 동남아, 유럽, 남미 지역 등으로 확장할 수 있는 베이스캠프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2]

최근 동향[편집]

코인니스, 암호화폐 투자전략 마켓 서비스 다운로드 35만건 돌파

글로벌 블록체인 투자정보 플랫폼 코인니스는 암호화폐 투자전략 마켓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앱) 다운로드 수가 35만건을 돌파했다고 2019년 5월 2일에 밝혔다.

코인니스 앱에서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이오스, 리플, 라이트코인 등 주요 암호화폐에 대한 '이동 평균선 롱&숏 투자 전략' 등 각각 4개의 투자 전략 구독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식 시장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투자 전략을 암호화폐 시장에 도입했다. BTC 이중 이동평균선(롱) 전략은 출시 일주일만에 유료 구독자 수가 3700명을 넘어섰다. 코인니스는 서비스 출시를 기념해 기존 2000CNNS(월, 코인니스 플랫폼 토큰) 가격의 구독 서비스를 당분간 1CNNS에 이용자들에게 제공한다.

코인니스 운영사인 긱서퍼의 이승환 대표는 “투자 정보와 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에서 투자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 및 가공해 제공하는 투자 데이터 플랫폼으로 변신해가는 과정”이라며 “기존 코인니스 이용자를 포함, 국내 최대 투자 데이터 플랫폼으로 발돋움 할 것”이라고 밝혔다.[3]

이더랩-비스제-코인니스 3자 MOU 체결

블록체인 전문 컨설팅 업체 이더랩(대표 김경수)이 중국 최대 블록체인 미디어 비스제(대표 탄천후이) 그리고 국내 1위 블록체인 투자 정보 플랫폼 코인니스(대표 이승환)와 국내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중국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019년 8월 30일에 밝혔다.

이더랩은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마케팅 전략연구소로, 코인마케팅과 코인소식닷컴을 운영 중이다. 다양한 블록체인 사업을 진행하며 산업의 성장 동력을 공급하고 있다. 비스제는 중국 최대 블록체인 투자 정보 플랫폼 서비스로, 2019년 8월 기준 자체 어플리케이션 DAU 20만명, 온오프라인 커뮤니티 이용자 300만명을 보유하고 있다. 이용자수 기준 중국 최대 블록체인 정보 플랫폼이다. 지난 2017년 후오비 글로벌, ZHEN펀드 등의 투자를 유치했다. 비스제와 공동 미디어 네트워크를 구축, 국내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코인니스는 이번 파트너십에서 국내 프로젝트-중국 블록체인 업계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리소스 분배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승환 코인니스 대표는 “투명한 비용 및 인력 구조를 기반으로 국내 프로젝트들이 중국 시장에 효율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서포트 할 예정”이라며 “향후 중국 거래소 및 시장이 한국 프로젝트들이 동남아, 유럽, 남미 지역 등으로 확장할 수 있는 베이스캠프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4]

각주[편집]

  1. 유근일 기자, 〈코인니스, 트레이딩 뷰 코리아에 실시간 암호화폐 뉴스 공급〉, 《전자신문》, 2019-03-11
  2. 형인우 기자, 〈이더랩-비스제-코인니스 3자 MOU 체결〉, 《전자신문》, 2019-09-02
  3. 유근일 기자, 〈코인니스, 암호화폐 투자전략 마켓 서비스 다운로드 35만건 돌파〉, 《전자신문》, 2019-05-31
  4. 주은혜 기자/조해리 기자, 〈이더랩-비스제-코인니스 3자 MOU 체결〉, 《블록체인밸리》, 2019-08-30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이승환 문서는 미디어업체 경영자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