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화(鑄貨, coin)는 국가가 주조한 일정한 모양, 무게, 순도 그리고 액면가를 가진 금속화폐를 말한다. 금화, 은화 등이 있다.
최초의 금속 재료로 만든 화폐는 원시적인 막대기 형태로 사용되었으며, 매번 사용할 때마다 순도와 무게를 검정하여 분할해야 하였다. 이로 인한 많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큰 상인들은 금속 막대기에 도장을 찍어 무게, 순도를 표시했지만 신뢰성의 한계로 인해 운용 범위가 확장되지 않자 국가에서 일괄적으로 제조하기 시작했다. 처음에 만들어진 주화는 그 가치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었지만 유통과정에서 마모현상으로 무게가 줄어들고 실질가치가 명목가치보다 낮지만 여전히 명목가치대로 사용되는 현상이 나타 나면서 주화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국가는 주화 가치의 일정한 오차를 허용하고 이런 가치 불충분한 주화를 제조하였다.
대표적인 주화는 금본위제하의 본위화폐로서의 금화나 은화인데, 명목가치와 실질가치가 일치하다.
- 최근의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주화의 전신은 패화(貝貨), 골폐화이다.
- 주화는 금속을 제련하여 주형에 주조하는 방식으로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미리 설계 양식에 따라 수작업으로 모델링하고, 대량의 플렉시블 주조, 다듬질로 제작한다.
- 주화의 금속 원재료는 다양하며, 주로 금과 은, 구리, 철, 납, 주석, 니켈, 알루미늄, 아연 등이다.
- 주화는 그에 해당한 시대성을 가지고 있다.
- 지폐가 나타나기전에 주화는 화폐의 주요 형식이다.
- 금, 은과 같은 귀금속으로 제조된 주화를 금화, 은화라고 하며 본위화폐로 사용되었다.
금을 주된 성분으로 주조된 주화이다. 금은 균질(均質)로 세분이 가능하고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되어 화폐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절하다.
- BC 7세기경에 그리스의 식민지 류디아에서 금화를 처음으로 주조 되었다고 한다.
- 로마제국의 콘스탄티누스 1세 때 주조된 소리두스 금화는 질이 좋아 넓은 지역에 걸쳐 사용되었고, 1,000년 이상 유통되었다.
- 13세기 이후 피렌체에서 주조된 후로린 금화, 베네치아의 금화, 1489년 영국 헨리 7세 때 만들어진 1파운드 금화인 소브린(sovereign) 등 금화는 이탈리아·영국·프랑스 등 유럽 각지에서 근대적인 통화로서 사용되었다.
- 19세기에 들어서 각국이 금본위제를 채용하면서 금화는 유일한 본위화폐로로 사용되었다.
-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후 금화는 통화로서 유통이 중지되기 시작하였다.
- 현재 기념 주화의 형태로 주조된다.
은을 주된 성분으로 주조된 주화이다. 은화는 금화(金貨)와 함께 예로부터 많이 사용되었는데, 특히 실제거래에서는 대체로 은이 사용되고, 금화는 고액결제에만 사용되었다.
- 금 ·은 복본위제(複本位制)가 채택되면서 은화는 본위화폐로서 오래도록 사용되어 왔다.
- 금은비가의 변동에서 오는 불편 때문에 주요국들은 19세기 말 무렵부터 금본위제를 채용하여 금화를 중심으로 하고 은화를 보조화폐로 사용하였다.
- 제1차 세계대전 후, 금본위제로 전환됨으로 은화는 통화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참고자료[편집]
- 〈铸币〉, 《百度百科》
- 〈주화〉, 《두산백과》
- 〈금화〉, 《두산백과》
- 〈은화〉, 《두산백과》
같이 보기[편집]
 이 주화 문서는 금융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산업 : 산업, 산업혁명, 제조, 유통, 서비스, 에너지, 소재, 환경, 직업, 금융 □■⊕, 금융사
|
|
금융
|
PF • 가격 • 가계 • 가치 • 값 • 거래 • 경매 • 경영 • 경제 • 계정 • 계획경제 • 공급 • 공유경제 • 공정시장가치 • 교환 • 금융 • 금융기관 • 급여 • 기업 • 내재가치 • 노동 • 담보 • 담보대출 • 대가 • 대부 • 대주단 • 대출 • 대출금 • 데이터경제 • 동산 • 디플레이션 • 매각 • 매매 • 매수 • 매입 • 매출 • 무담보 • 무담보대출 • 무역 • 무통장 • 배상 • 뱅크런 • 보상 • 보조금 • 보증 • 보증금 • 보험 • 분배 • 비용 • 빚 • 사업 • 사채 • 상장 • 상품 • 상호저축은행 • 상환전환우선주(RCPS) • 생산 • 선물 • 소득 • 소비 • 손실 • 손해 • 쇼핑 • 수신 • 수요 • 수익 • 수입 (무역) • 수출 • 스왑 • 시세 • 시장 • 시장경제 • 시장위험 • 신용 • 신용대출 • 신용등급 • 신용정보 • 신용정보회사 • 신용조회 • 여신 • 연방준비제도 • 영업 • 예금 • 예산 • 예치 • 예치금 • 예탁금 • 오픈뱅킹 • 옵션 • 용역 • 워크아웃 • 원금 • 유가증권 • 은행 • 은행계좌 • 이자 • 이자율 • 인출 • 인터넷은행 • 인플레이션 • 임금 • 임대 • 임차 • 자금 • 자금세탁 • 재산 • 재정 • 재화 • 저축 • 저축은행 • 적금 • 전환사채 • 정기예금 • 정기적금 • 주문 • 주식 • 주주 • 중앙은행 • 증권 • 지분 • 차용 • 창업 • 채권 • 채권자 • 채무 • 채무자 • 커스터디 • 크라우드펀딩 • 테크핀 • 투기 • 특금법 • 파생상품 • 팩토링 • 펀드 • 펀딩 • 폐업 • 프롭테크 • 핀테크 • 하위테스트 • 혼합경제 • 화폐금융 • 환매 • 희소성
|
|
화폐
|
가상자산 • 가상증표 • 거스름돈 • 금 • 금속화폐 • 금화 • 기축통화 • 다이아몬드 • 달러 • 당좌수표 • 돈 • 동전 • 디지털 자산 • 디지털화폐 • 루블 • 마르크 • 명목화폐 • 문자화폐 • 법정화폐 • 보석 • 본원통화 • 본위화폐 • 불태환화폐 • 비트코인 • 수표 • 시뇨리지 • 실물화폐 • 암호화폐 • 어음 • 엔 • 외환 • 원 • 위앤 • 유로 • 은 • 은화 • 자기앞수표 • 잔돈 • 전자화폐 • 주화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 증표 • 지폐 • 태환화폐 • 통화 • 통화량 • 통화스왑 • 파생통화 • 파운드 • 페소 • 프랑 • 현금 • 화폐 • 환율 • 환전 • 환치기
|
|
전자서명
|
KB모바일인증서 • 공동인증서 • 공인인증기관 • 공인인증서 • 공인전자서명 • 금융결제원 인증서 • 네이버 인증서 • 마이키핀 • 모바일인증서 • 뱅크사인 • 브라우저 인증서 • 사설인증서 • 서명 • 스마트폰 인증서 • 인증 • 인증서 • 인증센터 • 전자서명 • 전자서명법 • 전자서명 인증업무지침 • 전자서명 인증업무 평가‧인정제 • 카카오페이 인증 • 토스 인증서 • 패스
|
|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쇼핑,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