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기아 쏘렌토

해시넷
dltjdwjd459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9월 29일 (화) 10:41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쏘렌토(SORENTO)
기아자동차㈜(KIA Motors)

쏘렌토(SORENTO)는 기아자동차㈜(KIA MOTORS CORPORATION)의 전륜구동 중형 SUV이다. 기아 쏘렌토(KIA SORENTO)라고 한다. 2002년 2월 27일에 출시되었으며, 1세대부터 지금까지 기아자동차㈜의 SUV 라인업을 지탱하고 있는 모델 가운데 하나이다. 이러한 기아 쏘렌토는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에 있는 기아자동차㈜ 화성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다.

개요

쏘렌토는 1세대부터 지금까지 기아자동차㈜의 SUV 라인업을 지탱하고 있는 모델 가운데 하나이며, 2002년 02월 27일 처음 출시되었다. 이러한 쏘렌토는 국산 SUV 최초로 LED 사이드미러가 적용되고, 국산 SUV 최초 5단 자동변속기 탑재되었던 1세대를 거쳐 기아자동차㈜ 중 R 엔진을 처음 사용하고 부분변경을 통해 플랫폼을 변경한 2세대로 진화했다. 나아가 국산 SUV 최초로 유로 6규제 대응과 동급 최고 수준 트렁크 공간 확보, 동급 최초 R-MDPS 적용, 8단 자동변속기 적용이라는 엄청난 성과를 이뤄낸 3세대가 등장하였고[1], 2020년 현재는 국산 중형 SUV 최초 하이브리드 모델이며, 이전 모델보다 차체와 전장이 더 커지고 디자인 또한 세련되고 깔끔하다고 극찬을 받고 있는 6년만의 업그레이드된 쏘렌토 4세대가 출시되어 소비자들에 뜨거운 관심을 받고있다. [2]

주요 인물

  • 김철호 : 기아자동차㈜의 창립자이자 기업인이다.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에서 자동차, 자전거 관련 일을 배운 후 일본의 패전이 가까워지자 한국에 귀국하여 기아자동차㈜와 삼천리자전거의 모태가 되는 경성정공㈜을 설립했다. 이후 삼천리자전거, 이륜차, 삼륜차, 마쓰다 제휴, 경기도 시흥에 20만 명 규모의 소하리 공장 착공 등 다양한 업적을 세우고 1973년 11월 22일 사망했다.[3]
  • 최준영 : 기아자동차㈜ 각자대표이사이자 부사장이다. 또한, 경영지원본부장을 맡아 노무관리를 전담했으며, 노동조합과 임금과 단체협약 협상을 하는 일을 한 바 있다. 고려대학교(Korea University)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기아자동차㈜에 입사해 경영지원본부장과 노무 지원사업부장, 광주지원실장 등을 지냈다. 기아자동차㈜에서 통상임금 문제를 마무리하고 임금체계를 개편하기도 했다.[4]
  • 송호성 : 기아자동차㈜ 각자대표이사이다. 연세대학교(Yonsei University)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했으며, 기아자동차㈜에서 수출기획실장과 프랑스판매법인장 그리고, 유럽총괄법인장을 역임했다. 또한, 글로벌사업관리본부장 등 해외 판매 전문가로 불리고 있다. 그는 현대자동차㈜그룹 임원 수시인사에서 사장으로 승진한 뒤, 기아자동차㈜ 임시 주주총회를 거쳐 대표이사에 선임됐다.[5]

역사

1944년 12월, 김철호는 영등포에 경성정공을 설립하고 1952년 2월에 기아산업 상호를 변경 후 삼천리 자전거를 생산하여 판매하기 시작했다. 기아마스터 시절에 일본 마쓰다와의 기술 제휴로 K-360을 생산하고, 마쓰다 파밀리아의 차체를 바탕으로 최초의 국산 FR 승용차 브리사제작했으며, 아시아자동차를 인수해 자회사로 편입됐다. 1981년에는 자동차공업 통합조치로 인해 정부로부터 '중소형화물차 및 버스 전문생산업체로 지정받아 경영 위기를 맞았으나, 10월에 전문경영인 체제가 들어선 이후로 트럭을 개조해 내놓은 소형승합차 봉고를 출시하면서 오히려 기업 이름을 알리는 데 도움이 되었다. 1986년 말부터 로고를 변경하여 1987년에 자동차공업 통합조치가 풀리고 프라이드와 콩코드로 부활했다. 이후, 세피아를 출시했으며 아산만공장을 지으면서 확실하게 그룹을 키워갔다. 1994년에 지금과 같은 기아자동차㈜ 로고로 변경했다. 1997년에 경영의 악화로 부도를 맞아 1998년 10월, 입찰을 통해 현대자동차㈜에 아시아자동차와 함께 인수되어 현대그룹에 편입되었다. 1999년에는 기아자동차㈜판매, 아시아자동차, 기아대전판매, 아시아자동차판매 4개사를 합병했다. 2000년에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여러 계열사가 현대그룹에서 분가하면서 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 그룹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후, 2011년에는 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 그룹이 현대건설을 인수하여 정통성을 강화한 기념으로, 현대자동차㈜그룹으로 간판을 바꿔 달면서 이름이 빠지게 되었다.

모델

쏘렌토 1세대

200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SUV하면 상자처럼 네모낳게 각진 형태의 A필러가 바짝 올라와 있고, 유리창은 모두 납작하였으며, 사고가 나도 부서지지 않을 것 같은 강인함이 느껴져 남자라면 대부분 군용 지프 같은 SUV를 가지고 싶어할정도로 강인하고 남자다운 SUV만에 전형적인 이미지가 있었다. 하지만 한일 월드컵이 끝나고, 우리나라에 돌연 SUV 열풍이 일면서 등장한 쏘렌토 1세대(SORENTO BL)는 SUV에 대한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던 소비자들에게 적지않은 충격을 주었다. 1세대 쏘렌토는 기존의 상자 같던 SUV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부드럽게 다듬어진 전면부부터 A필러까지 천천히 곡선을 그리며 부드러운 이미지를 완성시켰고, 짙은 회색으로 구분되는 투톤 컬러 역시 당시 SUV의 이미지와는 다른 세련된 느낌을 주어 소비자들을 현혹시켰다. 또한, 헤드램프와 테일램프의 조화도 그랬지만 전반적으로 균형미가 좋았던 디자인이라고 평가 받았다. 그리고 약간 높은 듯한 시트 포지션은 도로를 아래로 내려다 볼 수 있는 시야를 제공했고, 그래서 운전이 다소 서툰 사람도 이 차에 금방 적응할 수 있게 하였다. 그만큼 넓은 시야가 제공되기 때문에 처음에는 큰 덩치로 인해 조심스럽지만 막상 도로로 나가면 탁 트인 시야로 도로 상황 파악이 보다 쉽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지금 봤을 때는 조금 올드하게 느껴지긴 하지만 우드트림도 2000년대 초 당시에는 고급스러워 보였고, 차곡차곡 잘 정리된 센터 페시아는 두툼하고 큼직한 버튼들로 채워져 있어 쏘렌토 1세대의 성격을 잘 대변해주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1세대 쏘렌토는 지금 봐도 그리 촌스럽다는 생각이 들지 않고 상당히 준수한 디자인이라고 평가가 많다. 하지만 이렇게 디자인적으로 성공한 1세대로 인하여 더욱 이 디자인을 어떻게 다음 세대로 잘 이전시킬 것인지에 대해서는 소비자들은 궁금증과 기대심을 가지고 이에 기아자동차㈜ 많이 부담을 느꼈다고 한다.[6] 다음은 쏘렌 1세대의 사양에 대해서 알아보면 스포티지 1세대의 후속 모델로 출시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나 스포티지보다 윗급으로 포지셔닝을 바꿔서 출시되었다. 봉고 프레임 설계를 대부분 이어받은 바디 온 프레임 차체 설계방식을 그대로 선택하여 적용하였고, 구동방식은 FR 및 4WD이다. 전체적으로 풍만한 디자인을 주요 특징으로 삼았다. 쏘렌토라는 모델명은 이탈리아(Italia) 휴양도시 소렌토(SORRENTO)에서 유래되었으며, 또 다른 뜻으로 첨단 하이테크를 겸비한 차라는 의미가 있다. 이러한 모델명은 공모전을 통해서 정해졌다고 한다. 더 깊이 들어가 구체적인 사양을 살펴보면 쏘렌토 1세대에서는 5단 수동변속기와 4단 자동변속기, 수동겸용 5단 자동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었는데, 출시 초기에는 2WD, 4WD 공통으로 LX, TLX 모델에서 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었다.그러나 2006년 페이스리프트 모델부터 2WD 모델은 수동변속기를 아예 단종시키고 자동변속기를 기본 옵션으로 적용했으며, 4WD 모델은 LX에서만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를 선택 가능하였다. 4WD TLX 이상부터는 2WD 모델과 동일하게 자동변속기가 기본사양으로 장착되었고, LIMITED 등급부터는 상시 ATT 4륜이 기본장착된다. 또한, 터치스크린이 되는 AV시스템, 음성지능시스템(VAS: Voice Alarm System)이 당시에는 혁신적인 시스템이었고, 파트타임 4WD에다가 고급 대형세단에 있는 베이직컬러 우드 그레인트림으로 꾸며주면서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AV시스템은 라디오기능은 AM과 FM이 기본으로 적용되어 있는데, 채널을 저장하는 개수가 부족하여 FM은 1/2로 나누어져있다. TV기능의 경우 채널은 60개로 편성되어 있으며, 리모컨기능은 존재하나 리모컨을 주는게 아니라 기능만이 존재하며, 밑에 숫자키패드가 생기는데 보고 싶은 채널 숫자를 누르면 된다. 또 지금의 것과 비교하면 그래픽도 많이 단순하고 검색기능도 존재하지 않으며, 시인성도 부족하지만, 그때 당시에는 역시 파격적인 기능이었던 내비게이션 기능도 있는데, 누를 때 나오는 '삑' 소리가 꽤나 매력적이었던 것으로 소비자들은 기억하고 있다. 테이프(TAPE)기능의 경우 테이프를 넣으려면 화면 오른쪽에 세로로 된 화살표가 그려진 버튼을 통해 이용이 가능했으며, 화면각도조절버튼으로 윗쪽화살표버튼을 누르면 화면이 뒤로 젖혀져서 테이프를 넣을 수 있는 구멍이 나온다. 테이프를 넣고나서 아랫쪽화살표버튼을 누르면 원위치로 된다. 또 다른 기능이었던 CD 기능의 경우 조수석 아래에 CD체인저가 있는데, 8개나 되는 CD가 들어간다. 재생하는 시간과 되감기, 빨리감기, 반복기능이 존재하며, AM FM TAPE CD중 틀때 아이콘이 뜨는데 퀄리티가 괜찮았다. 환경설정 역시 존재하며, 화면색상을 바꿀 수있고 화면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스피커 소리 밸런스등 을 컨트롤할 수 있다. 화면에는 차량내부그림이 떠서 화살표 터치버튼으로 조절할 수있었으며, EQ조절기능이 있어서 저음 중음 고음 이렇게 자신이 하고싶은대로 설정이 가능했다. 사실 초창기 쏘렌토는 당시로써는 정말 획기적이었고 지금도 좋게 평가받는 일명 프리옵션제를 시행하기도 했으며, 말 그대로 고객이 입맛대로 원하는 옵션만 넣어서 출고할 수 있었던 것이고, 수동변속기 풀옵션도 당연히 가능했다. 다만, 2004년부터 서서히 사라지기 시작했다. 내수용에는 2000년 초반부터 기아차가 적극 밀던 밀레니엄 로고를 장착했다. 밀레리엄 로고를 검정색으로 수정하여 기엠더블유라 놀림받던 과거를 보란듯이 당당하게 붙이고 나왔으며 대중들의 평가는 호평 일색이였다. 2세대 스포티지 출시와 함께 기존 CI로의 환원 선언으로 비로소 내수용도 수출용처럼 기업 로고로 교체되었다. 이러한 쏘렌토 1세대는 2003년 12월 12일 2004년형을 출시했으며, 2005년식 차량부터 VGT를 선택할 수 있었다. 2006년 뉴쏘렌토부터 174마력 VGT장착 엔진이 탑재되었던 것으로 착각하는 흔히 있지만, 2005년식 쏘렌토에도 VGT가 들어간 경우도 있다. 또한, 2006년 4월 3일에 페이스리프트를 과정을 진행했으며, 국산 SUV 최초로 사이드 미러 일체형 방향지시등을 장착해서 나왔다. 이와 동시에 LED 테일램프가 TLX부터 기본으로 장착되었고, 그 후 2007년 4월 6일에 스마트키를 적용한 연식변경 모델을 출시하면서 출력이 178마력으로 상승했으며, 이때부터 가로가 긴 번호판이 나오게되었다. 이후 2009년에 2세대로 풀제인지를 거치며 단종되었으나 모하비에 적용된 프레임이 1세대 쏘렌토의 것에서 길이를 늘리고 부분적으로 개량된 프레임이기 때문에 그 프레임은 아직까지도 현역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7]

참고자료

같이 보기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기아 쏘렌토 문서는 한국 자동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1. 유광재오일 워시탑, 〈기아 쏘렌토가 써 내려온 최초의 역사 BEST 7〉, 《네이버 블로그》, 2017-07-25
  2. 박홍준, 〈기아차 4세대 쏘렌토, 4가지 키워드…“6년을 기다렸다”〉, 《모터그래프》, 2020-02-07
  3. 김철호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B2%A0%ED%98%B8_(1905%EB%85%84)
  4. 남희헌 기자, 〈(Who Is ?) 최준영 기아자동차 대표이사〉, 《비즈니스포스트》, 2019-11-14
  5. 차희영 기자, 〈(Who Is ?) 송호성 기아자동차 대표이사 사장〉, 《비즈니스포스트》, 2020-06-17
  6. 기아자동차, 〈[https://news.hmgjournal.com/Tech/Design/kia-sorento-new 쏘렌토 탄생에서 현재까지]〉, 《HMG저널》, 2014-09-11
  7. 기아 쏘렌토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A%B8%B0%EC%95%84%20%EC%8F%98%EB%A0%8C%ED%86%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