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천하도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가장 전형적인 천하도(天下圖)
천하도(해동지도 제6첩), 18세기, 채색 필사본, 보물 제1591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조선 후기에 유행한 원형 구도의 세계지도. 안쪽부터 내대륙-내해-외대륙-외해로 이루어져 있다. 내대륙에는 중국, 조선, 안남, 인도 등 실재하는 나라들이, 내해에는 일본국, 유구국 등 실재하는 나라와 일목국(一目國), 대인국(大人國), 삼수국(三首國), 관흉국(貫胸國) 등 『산해경』에 나오는 가상의 나라들이 함께 그려져 있다. 외대륙에는 가상의 나라들이 그려져 있고, 일월이 뜨는 곳에는 신목인 부상(扶桑)이, 일월이 지는 곳에는 반격송(盤格松)이 그려져 있다.   (ⓒ서울대학교규장각)
천하도(天下圖) 작자 미상. 조선 후기. 33.7×36.5㎝. 규장각 도서. 채색 필사본. 안정복의 수택본이라 전하는 귀중본으로 지도책의 첫면 혹은 뒤표지 안쪽면에 있는 가운데 중심대륙과 내해, 환대륙, 바다가 둘러싼 원형 세계지도다.   (ⓒ한국학중앙연구원,김형수)

천하도(天下圖)는 조선 중기 이후 유행하게 된 지도로서 중화사상과 상상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원형세계지도이다.

천하도는 다른 나라에서는 유사한 예를 찾아볼 수 없는 한국에서만 존재하는 매우 독특한 세계지도이다. 천하도는 판본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운데 내부에 가면 네모 모양의 중앙 대륙(내대륙), 중앙 대륙을 감싸고 있는 안쪽의 바다(내해), 안쪽의 바다를 감싸고 있는 바깥 대륙(외대륙), 그리고 외대륙 밖의 바다(외해), 그 바깥에 해가 뜨고 지는 곳이 있는 구성이다. 나라 이름과 산천의 이름 등 140여 개가 넘는 고유 지명들이 지도 전체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그 중에 실제로 존재하는 나라와 산천은 대부분이 중앙 대륙에 분포해 있으며, 나머지 나라와 산천은 모두 상상의 것들로 『회남자(淮南子)』, 『산해경(山海經)』, 그리고 추연(鄒衍)과 같이 정통 유가 전통과는 상당히 거리가 먼 도가적이고 신비적인 전통의 문헌들에 나오는 것들이었다. 또한, 지도의 여백에 적힌 설명에는 하늘과 땅 사이의 거리가 4억2천리라거나 동서남북은 2억3만리 떨어져 있다고 적혀 있 기도 하다.195) 실존하는 몇 개의 나라와 산천을 제외하면 천하도는 전적으로 상상의 세계를 그려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도 유가적 상상의 세계가 아니라 도가적이고 신비적인 상상의 세계였다. 조선 후기에 유행하였던 유학자들이 즐겨 소지하고 있던 지도첩 대부분에 이러한 세계 지도가 첫머리에 또는 끝부분에 끼워져 있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개요[편집]

천하도는 제작 시기 및 제작자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나 16~18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실재적인 세계지도라면, 천하도의 경우 관념적인 세계지도라 할 수 있다. 이 지도가 제작된 조선 중기에는 이것보다 훨씬 실제 한반도에 가까운 지도가 많이 존재해 있었고, 천하도 제작자가 정말로 천하가 이렇게 생겼다고 보고 만든 것이 아니다. 실제로 별 특이한 가상국가들을 만나볼 수 있다.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제작되어서 중국이 지도 한가운데에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둥근 원 안에 지도를 그린 것도 특징인데, 이에 대해서는 천원지방을 반영한 것으로서 둥근 하늘에서 본 땅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라는 설과 서양 세계지도의 영향을 받았다는 설 두 가지가 있다.

지도는 내대륙-내해-외대륙-외해로 구성되어 있다. 지도에 등장하는 국가 중에서 한국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5개 국가(중국, 한국, 일본, 류큐, 안남)나 실크로드에 존재하는 국가 일부인 월지 등만이 실제로 존재하는 국가이며, 나머지는 모두 중국 고대 지리서 산해경에 등장하는 가상의 국가들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지도 내에 묘사된 지형 중 사실적으로 묘사된 것은 중국의 태산(泰山), 화산(華山), 형산(衡山), 항산(恒山), 숭산(嵩山)으로 이루어진 오악(五嶽)과 황하, 양쯔강(장강)뿐이다. 또 외해의 동쪽 끝이나 외해 바깥쪽에는 일월출(日月出)이라는 글씨와 함께 류파산(流波山)에서 자라는 뽕나무가 그려져 있고 서쪽 끝에는 일월입(日月入)이라는 글씨와 함께 방산(方山)에서 자라는 소나무가 그려져 있다.

현존하는 천하도는 18세기 이후의 것이 대부분이고 지도서의 첫 페이지나 뒷표지 안쪽에서 주로 발견된다. 다만 단독으로 그려진 천하도는 드물다.

천하도의 내용과 구성[편집]

세계지도[편집]

천하도는 하나의 국가가 아닌 세계를 그린 세계지도이다. 전체적인 구조는 중앙에 위치한 대륙이 외내해(外內海)에 둘러싸고 있고 이 내해는 다시 환대륙에 의해 둘러싸이고 이 환대륙은 다시 바다(外海)로 둘러싸여 있다. 가운데 중심대륙인 중국을 중심으로 조선·일본 등의 나라가 내대륙에 그려져 있고, 이를 둘러싸고 있는 환대륙에 군자국, 삼수국 등 가상의 나라들이 표시되어 있다.

원형의 세계지도[편집]

천하도는 원형으로 그려진 세계지도이다. 마테오 리치곤여만국전도를 필두로 조선 시대에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서양식 세계지도는 크게 단원형 세계지도와 양반구형 세계지도이다. 서양식 세계지도는 한역 서학서와 더불어 조선 후기 지성계에 지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켜 지식인들과 실학자들에게 많이 읽혀졌다. 그 와중 천하도는 서양식 세계지도의 형식 중 단원형 세계지도의 형식을 빌려 제작된 조선의 세계지도이다. 지리지식에 배타적인 한국의 전통문화를 지키려는 학자들이 서양의 원형 세계 지도(마태오리치의 서양계 단원 지도)에 대응하여 만든 한국적인 원형 세계 지도가 천하도라는 것이다. 당시 천하도를 만든 사람들은 지도의 내용을 구성하는 데 있어 발음도 안되고 뜻도 통하지 않는 나라 이름들 대신에 중국 고전에 나오는 잘 알고 있고 또 익숙한 땅 이름들을 지도에 배치하였다. 즉, 지도의 형태는 서양의 것을 따르고 지도의 내용은 동양의 고전과 조선의 사상에 기반하였다.

특징[편집]

중화적 세계관의 반영[편집]

원형 천하도를 보면 내대륙이 중앙에 위치해 있고, 그 중심에는 중국이 자리잡고 있다. 자신의 거주하는 곳을 세계의 중심으로 생각하고 크게 강조하여 그리는 것은 여러 문화권에서 볼 수 있는 자연스러운 현상인데 원형 천하도가 조선에서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은 중국만큼 부각되어 있지 않다. 뿐만 아니라 원형 천하도의 목판본을 검토해 보면 중국은 원으로 크게 강조하여 표현하였고 조선은 아무런 표시없이 글자로만 표기하였으며 나머지 주변에 배치된 나라들은 직사각형 안에 표기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원, 무도형, 직사각형 등의 차이는 중국, 조선, 기타 국가가 위계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것은 다름 아닌 중국이 중화(中華), 조선은 소중화(小中華), 기타 나라는 이국(夷國)이라는 전형적인 화이관(華夷觀)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조선은 성리학의 수용과 더불어 세계에 대한 인식도 중국의 중화적 세계관에 기반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을 세계의 중심으로 생각하는 지리적 사고는 존재할 수가 없었고 단지 중국에 버금가는 문화국으로서의 소중화(小中華)를 내세울 뿐이었다.[2] 하지만 중국이 비록 지도 가운데에 있지만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서만큼 그렇게 크게 표현되지 않았다는 점은 순수한 중화가 아니라 소중화로서 조선의 관점에서 재해석된 당시 중화의 모습을 보여준다.

상상적이고 도교적인 지명[편집]

천하도의 지명들은 산해경이라는 고대 중국의 지리서에서 취한 것이 상당히 많다. 작자 미상의 산해경은 산경(山徑)과 해경(海徑)이 합쳐진 것으로 산경은 중국의 주변지역에 있는 산을 다섯 방위(동 서, 남, 북, 중)로 나누어 산의 형세와 광물, 동물, 식물, 특이한 괴물 등을 기술하고 있으며 해경은 중국 주변의 바다와 먼 지역을 네 방위(동,서,남,북)로 나누어 각 지역의 풍속과 사물, 괴물 등을 기술하였다. 이 고대 중국의 지리서 산해경은 원시적이고, 그 내용도 대부분이 상상적이고 허구적이다. 따라서 산해경에 있는 것을 이용해 지명을 붙인 내해 및 환대륙의 지리적 지식은 상상적이고 허구적이다. 산해경 외에 도교적 지명이 눈에 띄는데 이런 신선 사상과 관련한 지명을 수록한 것은 기존의 직방세계만을 다루지 않고 그것을 뛰어넘는 넓은 세계를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여겨진다.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천하도 문서는 지도서비스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