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글 숨김 시작}}
 
'''지도'''(Map)는 약속한 기호를 사용하여 지구 표면을 일정한 비율로 줄여 평면에 나타낸 것이다.<ref name="사용">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60240&cid=47305&categoryId=47305 지도]〉, 《네이버 지식백과》</ref>
 
'''지도'''(Map)는 약속한 기호를 사용하여 지구 표면을 일정한 비율로 줄여 평면에 나타낸 것이다.<ref name="사용">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60240&cid=47305&categoryId=47305 지도]〉, 《네이버 지식백과》</ref>
{{글 숨김 시작}}
+
 
 
==개요==
 
==개요==
 
지도는 공간의 표면을 일정한 형식을 이용해 표현한 것으로, 대부분 2차원의 평면에 그림의 형태로 그려진다. 사물의 위치 표현에서 객관적인 정확성을 지향하고,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지명이 함께 기재되기 때문에 사물의 미나 본질을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회화와는 차이가 있다. 땅 위의 모든 사물은 시간과 공간의 형식 속에서 존재하므로 시·공간적인 위치는 본질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지도는 대부분 종이로 만들어졌으나 현재 기술의 발달로 수치 지도뿐만 아니라 웹 지도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이용되고 있다.<ref name="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5553&cid=46618&categoryId=46618#TABLE_OF_CONTENT1 지도]〉, 《네이버 지식백과》 </ref> 지도를 그릴 때는 지켜야 할 세 가지 규칙이 있다. 땅을 일정한 비율로 표현하고 땅 위에 있는 여러 가지 것들을 약속된 기호로 표시하며, 방향의 기준을 잡기 위해 방위를 표시한다.<ref name="사용"></ref>
 
지도는 공간의 표면을 일정한 형식을 이용해 표현한 것으로, 대부분 2차원의 평면에 그림의 형태로 그려진다. 사물의 위치 표현에서 객관적인 정확성을 지향하고,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지명이 함께 기재되기 때문에 사물의 미나 본질을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회화와는 차이가 있다. 땅 위의 모든 사물은 시간과 공간의 형식 속에서 존재하므로 시·공간적인 위치는 본질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지도는 대부분 종이로 만들어졌으나 현재 기술의 발달로 수치 지도뿐만 아니라 웹 지도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이용되고 있다.<ref name="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5553&cid=46618&categoryId=46618#TABLE_OF_CONTENT1 지도]〉, 《네이버 지식백과》 </ref> 지도를 그릴 때는 지켜야 할 세 가지 규칙이 있다. 땅을 일정한 비율로 표현하고 땅 위에 있는 여러 가지 것들을 약속된 기호로 표시하며, 방향의 기준을 잡기 위해 방위를 표시한다.<ref name="사용"></ref>
116번째 줄: 117번째 줄:
 
{{지역지도}}
 
{{지역지도}}
 
{{국가지도}}
 
{{국가지도}}
 +
{{행정지도}}
 
{{도시지도}}
 
{{도시지도}}
 
{{지형지도}}
 
{{지형지도}}
 
{{육지지도}}
 
{{육지지도}}
 +
{{호수지도}}
 
{{바다지도}}
 
{{바다지도}}
 
{{섬지도}}
 
{{섬지도}}

2024년 5월 19일 (일) 23:25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