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사용자 경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자료)
(역사)
9번째 줄: 9번째 줄:
 
*1970년대 : 초기의 사용자 경험(UX)에 관한 언급은 [[에드워드]](E.C.Edwards)와 [[카시크]](D.J.Kasik)의 글 "사이버 그래픽 터미널에서의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With the CYBER Graphics Terminal'', Proceedings of VIM-21, pp 284-286, October, 1974)에서 찾아 볼 수 있다.  
 
*1970년대 : 초기의 사용자 경험(UX)에 관한 언급은 [[에드워드]](E.C.Edwards)와 [[카시크]](D.J.Kasik)의 글 "사이버 그래픽 터미널에서의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With the CYBER Graphics Terminal'', Proceedings of VIM-21, pp 284-286, October, 1974)에서 찾아 볼 수 있다.  
 
* 1980년대 :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주로 인간 중심의 디자인(Human Centered Design, UCD)의 맥락에서 인간과 기계간의 상호교감에서 긍정적 경험의 가치를 만들어내고자 하였다. 애플 컴퓨터의 직원이였던 [[도널드 노먼]]은 1993년에 사용자 경험(UX)의 설계자로서 이후 애플 컴퓨터의 디자인에 영향을 주었으며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1980년대 :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주로 인간 중심의 디자인(Human Centered Design, UCD)의 맥락에서 인간과 기계간의 상호교감에서 긍정적 경험의 가치를 만들어내고자 하였다. 애플 컴퓨터의 직원이였던 [[도널드 노먼]]은 1993년에 사용자 경험(UX)의 설계자로서 이후 애플 컴퓨터의 디자인에 영향을 주었으며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그 이후 : 사용자 경험(UX)은 단순히 기능이나 절차상 만족뿐 아니라 전반적인 지각이 가능한 모든 면에서 사용자가 참여, 사용, 관찰하고 상호교감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경험으로 인식되고 있다. 사용자 경험(UX)의 창출은 산업 디자인, 소프트웨어공학, 마케티 및 경영학의 중요 과제이며, 이는 사용자 니즈<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76117&cid=50294&categoryId=50294 니즈]>, 《네이버 지식백과》</ref>의족, 브랜드 충성도 향상, 시장에서 성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주요 사항이다.
+
* 그 이후 : 사용자 경험(UX)은 단순히 기능이나 절차상 만족뿐 아니라 전반적인 지각이 가능한 모든 면에서 사용자가 참여, 사용, 관찰하고 상호교감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경험으로 인식되고 있다. 사용자 경험(UX)의 창출은 산업 디자인, 소프트웨어공학, 마케팅 및 경영학의 중요 과제이며, 이는 사용자 니즈<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76117&cid=50294&categoryId=50294 니즈]>, 《네이버 지식백과》</ref>의족, 브랜드 충성도 향상, 시장에서 성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주요 사항이다.<ref>이우찬기자,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916477 도도포인트, 2천만 사용자 돌파]>, 《뉴스토마토》, 2019-08-27
  
 
== 특징 ==
 
== 특징 ==

2019년 9월 3일 (화) 11:28 판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은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접적, 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제적 경험을 말한다. 이러한 사용자 경험(UX)을 디자인하는 것을 일컬어 "사용자 경험 디자인"이라고 하는데,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주는 모든 것을 설계하는 디자인의 한 분야이다.

개요

사용자 경험(UX)은 상당히 포괄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다학제적인 성격을 띠고있다. 사용자 경험(UX)에 대한 이론들 중 대다수는 인지과학[1]으로부터 유래했다. 인지과학은 다양한 인공물을 디자인할 때 인간의 인지적인 특성을 반영해서 오류의 발생가능성은 낮추고, 사용자의 학습성은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해주기 때문에, 사용자 경험(UX)와 인지과학의 관계는 뗄 수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역사

사용자 경험(UX)은 사용자 컴퓨터 인터랙션 연구에서 사용된 개념이며 아직도 많은 사용자 경험(UX)의 원리가 컴퓨터 공학 분야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이 개념은 현재에 와서는 컴퓨터 제품 뿐만 아니라 산업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상품, 프로세스, 사회와 문화에 이르기까지 널리 응용되고 있다.[2]

  • 1970년대 : 초기의 사용자 경험(UX)에 관한 언급은 에드워드(E.C.Edwards)와 카시크(D.J.Kasik)의 글 "사이버 그래픽 터미널에서의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With the CYBER Graphics Terminal, Proceedings of VIM-21, pp 284-286, October, 1974)에서 찾아 볼 수 있다.
  • 1980년대 :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주로 인간 중심의 디자인(Human Centered Design, UCD)의 맥락에서 인간과 기계간의 상호교감에서 긍정적 경험의 가치를 만들어내고자 하였다. 애플 컴퓨터의 직원이였던 도널드 노먼은 1993년에 사용자 경험(UX)의 설계자로서 이후 애플 컴퓨터의 디자인에 영향을 주었으며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그 이후 : 사용자 경험(UX)은 단순히 기능이나 절차상 만족뿐 아니라 전반적인 지각이 가능한 모든 면에서 사용자가 참여, 사용, 관찰하고 상호교감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경험으로 인식되고 있다. 사용자 경험(UX)의 창출은 산업 디자인, 소프트웨어공학, 마케팅 및 경영학의 중요 과제이며, 이는 사용자 니즈[3]의족, 브랜드 충성도 향상, 시장에서 성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주요 사항이다.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각주

  1. 인지과학>, 《두산백과》
  2. 사용자 경험>, 《위키백과》
  3. 니즈>,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사용자 경험 문서는 인터넷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