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알리바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알리바바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알리바바'''(Alibaba) 로고와 글자]]
 
[[파일:알리바바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알리바바'''(Alibaba) 로고와 글자]]
  
'''알리바바'''(Alibaba, 阿里巴巴) 그룹은 1999년 [[마윈]](马云, Jack Ma)이 창업한 중국의 인터넷 쇼핑몰 기업 집단이다. 최대 주주는 일본의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SoftBank)이다. B2B 쇼핑몰인 알리바바닷컴(alibaba.com), B2C 오픈마켓인 [[타오바오]](淘宝网, taobao.com), 부유층 대상의 [[티몰]](Tmall.com) 등의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차량 공유 서비스인 [[콰이디다처]]에 투자했고, 2016년 [[텐센트]]가 투자한 [[디디다처]]와 합병하여 [[디디추싱]]의 대주주가 되었다. 본사는 중국 저장성 [[항저우]](杭州) 시에 있다.
+
'''알리바바'''(Alibaba, 阿里巴巴) 그룹은 1999년 [[마윈]](马云, Jack Ma)이 창업한 중국의 인터넷 쇼핑몰 기업 집단이다. 최대 주주는 일본의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SoftBank)이다. B2B 쇼핑몰인 알리바바닷컴(alibaba.com), B2C 오픈마켓인 [[타오바오]](淘宝网, taobao.com), 부유층 대상의 [[티몰]](Tmall.com) 등의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알리바바는 O2O 플랫폼 메이퇀(美團)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했고, 차량 공유 서비스인 [[콰이디다처]]에도 투자했다. 2016년 [[텐센트]]가 투자한 [[디디다처]]와 합병하여 [[디디추싱]]의 대주주가 되었다. 본사는 중국 저장성 [[항저우]](杭州) 시에 있다.
 +
 
 +
현재 [[텐센트]]와 함께 중국 대기업 투톱이다. 알리바바는 2014년에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하여  시가총액 1위 기업이기도 하다. 2018년도 알리바바의 매출은 3,453억 위안을 기록, 순이익만 693억위안이다. 2019년 7월 16일 알리바바는 15일 연례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의 압도적 지지를 얻어 현재 주식 1주를 8주로 분할하는 주식분할 안건을 승인받고 홍콩증시에 2차 상장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자금 유동성을 높이고 중화권 투자자의 유입을 늘리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ref>김용원 기자,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135621 알리바바, 홍콩증시 상장 위해 주식 분할해 8배로 늘리기로]〉, 《비즈니스포스트》, 2019-07-16</ref>
 +
 
 +
== 개요 ==
 +
* 설립일 - 1999년 9월 9일
 +
* 창업자 - [[마윈]](马云)
 +
* CEO - [[장융]](张勇)
 +
* 직원수 - 86,833명(2018년 6월)
 +
* 공식 홈페이지 - http://www.alibaba.com/
 +
* 회사 사명 - 세상에 어려운 장사는 없다.
 +
알리바바그룹은 영어교사 출신인 [[마윈]]을 비롯해 18명으로 1999년 중국 항저우에서 창립됐다. 설립자는 인터넷이 혁신과 과학기술을 통해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중국국내 및 국제 시장 경쟁에 보다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공정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고 믿는 소기업들의 이익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
2018년 7월 19일, 전 세계적으로 동시에 발표된 '포춘'세계 500대 순위에서 알리바바그룹이 300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2018년 12월 알리바바는 '2018년 글로벌 브랜드 500대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ref name="바이두"> 〈[https://baike.baidu.com/item/%E9%98%BF%E9%87%8C%E5%B7%B4%E5%B7%B4%E9%9B%86%E5%9B%A2/9087864?fr=aladdin 阿里巴巴集团]〉, 《百度百科》, </ref>
 +
2018년도 알리바바그룹은 [[앤트파이넨셜]]과 함께 총 총 516억 위안(8조7183억 원)을 국가에 납세했다고 신랑재경이 보도했다.<ref>상하이저널, 〈[http://jedam15.koreafree.co.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136&item=&no=54626 알리바바, 작년 납세액 9조원 육박…업계 1위]〉, 《한국무역신문》, 2019-07-08</ref>
 +
 
 +
== 주요 연혁 ==
 +
* 1999년 09월 항저우 아파트에서 마윈을 비롯한 18명이 알리바바바를 설립. 첫 사이트는 영문글로벌도매무역시장알리바바이며 같은해에 중국국내 도매무역 중국거래시장(1688.com)을 출시.
 +
* 1999년 10월과 2000년 01월에 디지털투자기관으로부터 각각 500만 달러, 2,000만달러 융자 유치.
 +
* 2001년 12월 알리바바사용자 들록수 100만 초과.
 +
* 2003년 05월 쇼핑몰 타오바오닷컴(淘宝网)이 마윈의 아파트에서 창립.
 +
* 2004년 02월 디지털일류투자기관으로부터 8,200만 달러 유치. 당시 중국 인터넷업계에서 최대규모의 사모융자펀드로 되었다.
 +
* 2004년 12월 알리바바그룹 자회사 제3자 온라인결제플랫폼 즈푸보(支付宝) 출시.
 +
* 2005년 08월 11일 야후와 전략적 협의를 체결하고 야후차이나를 인수한 동시에 야후로부터 10억달러 투자 유치. 야후브랜드 및 기술에 관한 중국독점사용권 획득. 야후는 알리바바의 40%의 경제이익과 35%의 투표권 보유.
 +
* 2006년 07월 타오바오(淘宝大学)대학 출시.
 +
* 2009년 09월 10일 알리바바 창립 10주년 기념식 및 알리클라우드컴퓨팅 설립. 동시에 중국인터넷인프라서비스 공급상인 중국완왕(www.net.cn, 中国万网) 인수.
 +
* 2010년 08월
 +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9년 7월 18일 (목) 17:48 판

알리바바(Alibaba) 로고
알리바바(Alibaba) 로고와 글자

알리바바(Alibaba, 阿里巴巴) 그룹은 1999년 마윈(马云, Jack Ma)이 창업한 중국의 인터넷 쇼핑몰 기업 집단이다. 최대 주주는 일본의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SoftBank)이다. B2B 쇼핑몰인 알리바바닷컴(alibaba.com), B2C 오픈마켓인 타오바오(淘宝网, taobao.com), 부유층 대상의 티몰(Tmall.com) 등의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알리바바는 O2O 플랫폼 메이퇀(美團)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했고, 차량 공유 서비스인 콰이디다처에도 투자했다. 2016년 텐센트가 투자한 디디다처와 합병하여 디디추싱의 대주주가 되었다. 본사는 중국 저장성 항저우(杭州) 시에 있다.

현재 텐센트와 함께 중국 대기업 투톱이다. 알리바바는 2014년에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하여 시가총액 1위 기업이기도 하다. 2018년도 알리바바의 매출은 3,453억 위안을 기록, 순이익만 693억위안이다. 2019년 7월 16일 알리바바는 15일 연례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의 압도적 지지를 얻어 현재 주식 1주를 8주로 분할하는 주식분할 안건을 승인받고 홍콩증시에 2차 상장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자금 유동성을 높이고 중화권 투자자의 유입을 늘리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1]

개요

  • 설립일 - 1999년 9월 9일
  • 창업자 - 마윈(马云)
  • CEO - 장융(张勇)
  • 직원수 - 86,833명(2018년 6월)
  • 공식 홈페이지 - http://www.alibaba.com/
  • 회사 사명 - 세상에 어려운 장사는 없다.

알리바바그룹은 영어교사 출신인 마윈을 비롯해 18명으로 1999년 중국 항저우에서 창립됐다. 설립자는 인터넷이 혁신과 과학기술을 통해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중국국내 및 국제 시장 경쟁에 보다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공정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고 믿는 소기업들의 이익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18년 7월 19일, 전 세계적으로 동시에 발표된 '포춘'세계 500대 순위에서 알리바바그룹이 300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2018년 12월 알리바바는 '2018년 글로벌 브랜드 500대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2] 2018년도 알리바바그룹은 앤트파이넨셜과 함께 총 총 516억 위안(8조7183억 원)을 국가에 납세했다고 신랑재경이 보도했다.[3]

주요 연혁

  • 1999년 09월 항저우 아파트에서 마윈을 비롯한 18명이 알리바바바를 설립. 첫 사이트는 영문글로벌도매무역시장알리바바이며 같은해에 중국국내 도매무역 중국거래시장(1688.com)을 출시.
  • 1999년 10월과 2000년 01월에 디지털투자기관으로부터 각각 500만 달러, 2,000만달러 융자 유치.
  • 2001년 12월 알리바바사용자 들록수 100만 초과.
  • 2003년 05월 쇼핑몰 타오바오닷컴(淘宝网)이 마윈의 아파트에서 창립.
  • 2004년 02월 디지털일류투자기관으로부터 8,200만 달러 유치. 당시 중국 인터넷업계에서 최대규모의 사모융자펀드로 되었다.
  • 2004년 12월 알리바바그룹 자회사 제3자 온라인결제플랫폼 즈푸보(支付宝) 출시.
  • 2005년 08월 11일 야후와 전략적 협의를 체결하고 야후차이나를 인수한 동시에 야후로부터 10억달러 투자 유치. 야후브랜드 및 기술에 관한 중국독점사용권 획득. 야후는 알리바바의 40%의 경제이익과 35%의 투표권 보유.
  • 2006년 07월 타오바오(淘宝大学)대학 출시.
  • 2009년 09월 10일 알리바바 창립 10주년 기념식 및 알리클라우드컴퓨팅 설립. 동시에 중국인터넷인프라서비스 공급상인 중국완왕(www.net.cn, 中国万网) 인수.
  • 2010년 08월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알리바바 문서는 인터넷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1. 김용원 기자, 〈알리바바, 홍콩증시 상장 위해 주식 분할해 8배로 늘리기로〉, 《비즈니스포스트》, 2019-07-16
  2.  〈阿里巴巴集团〉, 《百度百科》, 
  3. 상하이저널, 〈알리바바, 작년 납세액 9조원 육박…업계 1위〉, 《한국무역신문》, 2019-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