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웹개방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 환경과 전세계 4위에 달하는 스마트폰 보급률로 정확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는 훌륭한 정보 환경에서 살고 있다. 그만큼 좋은 정보들에 정확하게 접근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검색이 정확히 이뤄지지 않는 정보들은 쓸모없는 정보와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무슨 말인가 싶겠지만, 이것이 바로 현재 우리나라 인터넷 환경이 직면한 상황이다. 우리는 구글,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사이트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검색하며 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제한적인 검색이 이뤄지고 있다. 그 이유는 검색엔진 배제선언에 있다. 일반적으로 검색로봇이 웹사이트의 정보를 수집하는 알고리즘에서 검색엔진 배제선언을 하게 되면, 웹사이트에 검색로봇의 접근을 막아 정보를 수집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ref>써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some_&logNo=220706992710&categoryNo=27&parentCategoryNo=0 (최신 웹 기술 사례) 웹 개방성의 이해와 필요성]〉, 《네이버 블로그》, 2016-05-11</ref>
 +
 +
== 웹 개방성 평가 목적 및 기대효과 ==
 +
웹에 공개된 정보는 높은 사회, 경제적 가치를 지닌 중요한 자산으로 합리적인 정보 공개가 필요.
 +
웹사이트의 정보 접근성 향상과 정보 개방에 대한 정보 제공자 측의 인식 제고 및 개선이 목적
 +
정보 개방에 대한 공공과 민간 기업 등 정보 제공자 측의 인식 개선과 참여 공유 투명성 제고
 +
정보 공개로 사용자의 합리적인 정보 활용도 향상
 +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 측면에서의 웹 정보 접근성 향상
 +
효율적인 웹 정보 제공이 가능하며 이를 통한 비용 절감 효과 기대
 +
향상된 각 웹사이트의 정보 제공으로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웹 서비스를 선도
 +
개방된 정보를 사회ㆍ경제적 가치가 높은 자산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경제적 효과 창출
 +
 +
== 웹 개방성 지수 ==
 +
웹 개방성 지수란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해 웹 발전연구소에서 최초로 개발한 평가모형으로, 웹사이트의 검색엔진 접근 차단, 특정 페이지 접근 차단, 페이지별 정보 수집 거부 등을 평가해 점수화한 것이다.
  
 
{{각주}}
 
{{각주}}

2020년 7월 30일 (목) 12:57 판

웹 개방성(Web Openness)이란 웹에 공개된 정보에 이용자가 아무런 제약 없이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웹사이트의 정보를 자유롭게 공개ㆍ공유하여 정보의 투명성과 개방성이 향상되는 것을 말한다.

개요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 환경과 전세계 4위에 달하는 스마트폰 보급률로 정확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는 훌륭한 정보 환경에서 살고 있다. 그만큼 좋은 정보들에 정확하게 접근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검색이 정확히 이뤄지지 않는 정보들은 쓸모없는 정보와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무슨 말인가 싶겠지만, 이것이 바로 현재 우리나라 인터넷 환경이 직면한 상황이다. 우리는 구글,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사이트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검색하며 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제한적인 검색이 이뤄지고 있다. 그 이유는 검색엔진 배제선언에 있다. 일반적으로 검색로봇이 웹사이트의 정보를 수집하는 알고리즘에서 검색엔진 배제선언을 하게 되면, 웹사이트에 검색로봇의 접근을 막아 정보를 수집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1]

웹 개방성 평가 목적 및 기대효과

웹에 공개된 정보는 높은 사회, 경제적 가치를 지닌 중요한 자산으로 합리적인 정보 공개가 필요. 웹사이트의 정보 접근성 향상과 정보 개방에 대한 정보 제공자 측의 인식 제고 및 개선이 목적 정보 개방에 대한 공공과 민간 기업 등 정보 제공자 측의 인식 개선과 참여 공유 투명성 제고 정보 공개로 사용자의 합리적인 정보 활용도 향상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 측면에서의 웹 정보 접근성 향상 효율적인 웹 정보 제공이 가능하며 이를 통한 비용 절감 효과 기대 향상된 각 웹사이트의 정보 제공으로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웹 서비스를 선도 개방된 정보를 사회ㆍ경제적 가치가 높은 자산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경제적 효과 창출

웹 개방성 지수

웹 개방성 지수란 웹 개방성을 평가하기 위해 웹 발전연구소에서 최초로 개발한 평가모형으로, 웹사이트의 검색엔진 접근 차단, 특정 페이지 접근 차단, 페이지별 정보 수집 거부 등을 평가해 점수화한 것이다.

각주

  1. 써미, 〈(최신 웹 기술 사례) 웹 개방성의 이해와 필요성〉, 《네이버 블로그》, 2016-05-11

[1]

참고 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웹개방성 문서는 인터넷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1. 스마트인컴, 〈10명 중 9명이 쓰던 '파란 인터넷'이 몰락하고 있다는데, 이유가..〉, 《네이버 포스트》, 2019-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