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HTTP

해시넷
tjdwhd2401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7월 29일 (월) 13:5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서, 월드 와이드 웹을 이용하여 HTML로 작성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HTTP 통신규약을 이용하여 웹서버웹브라우저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포트 번호는 80번이다. 보통 http://와 같이 소문자로 쓴다.

개요

역사

  • 1965년 : 제너두 프로젝트에서 테드 넬슨에 의해 하이퍼텍스트라는 용어가 만들어졌으며, 제너두 프로젝트는 'As We May Think(1945년)'라는 수필에서 마이크로필름 기반 정보 수신 및 관리 "메멕스" 시스템을 기술한 버니바 부시의 비전(1930년대)에 의해 영감을 받았다.
  • 1989년 : 팀 버너스 리와 그의 팀은 CERN에서 HTML뿐 아니라 웹 브라우저 및 텍스트 기반 웹 브라우저 관련 기술과 더불어 오리지널 HTTP을 발명하였다. 버너스 리는 최초로 "월드와이드웹" 프로젝트를 제안하였으며, 이것이 현재의 월드 와이드 웹이다. 이 프로토콜의 최초 버전은 서버로부터 페이지를 요청하는 GET이라는 이름의 하나의 메소드만 있었다. 서버로부터의 응답은 무조건 HTML 문서였다.
  • 1991년 : 문서화된 최초의 HTTP 버전은 HTTP V0.9(1991년)이다.
  • 1995년 : 데이브 레겟은 HTTP 워킹 그룹(HTTP WG)을 이끌었으며 확장된 조작, 확장된 협상, 더 보강된 메타 정보, 또 추가 메소드와 헤더 필드를 통한 더 효율적인 보안 프로토콜을 갖춘 프로토콜을 확장하기를 바랐다.
  • 1996년 : RFC 1945는 공식적으로 HTTP v1.0을 도입하였다.

HTTP WG는 1995년 12월 새로운 표준을 출간하기로 계획하였으며 당시 개발 중인 RFC 2068(이른바 HTTP-NG)에 기반한 이전 표준 HTTP/1.1에 대한 지원이 1996년 초에 주요 브라우저 개발자들에 의해 빠르게 채택되었다. 1996년 3월, 이전 표준 HTTP/1.1을 지원한 웹 브라우저로 아레나, 넷스케이프 2.0,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골드 2.01, 모자이크 2.7, 링크스 2.5, 인터넷 익스플로러 2.0이 있다. 새로운 브라우저의 최종 사용자 채택 속도를 빨랐다. 1996년 3월, 한 웹 호스팅 회사의 보고에 따르면 인터넷 상에서 사용 중인 브라우저 중 40% 이상이 HTTP 1.1과 호환되었다. 같은 웹 호스팅 회사는 1996년 6월 기준으로 서버에 접근하는 모든 브라우저들 가운데 65%가 HTTP/1.1 호환이라고 보고하였다. RFC 2068에 정의된 HTTP/1.1 표준은 공식적으로 1997년 1월에 출시되었다. HTTP/1.1 표준에 대한 개선과 업데이트는 1999년 6월 RFC 2616으로 출시되었다.

  • 2007년 : 부분적으로 HTTP/1.1 사양을 개정하고 분명히 하기 위해 HTTPbis 워킹 그룹이 창설되었다. 2014년 6월, WG는 RFC 2616를 obsolete 처리하는, 업데이트된 6 파트 사양을 출시하였다.
  • 2015년 5월 : HTTP/2가 RFC 7540로 출판되었다.

특징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토콜(application protocol) 이다.

컴퓨터와 컴퓨터간에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주고 받는 기능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 콜로 포트 번호는 기본적으로 80번을 사용한다.

  • HTTP는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비연결성 프로토콜입니다.

예를들면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의 요청(Request)에 따라 서버와 접속하여 요청에 대한 응답(Response)의 데이터를 전송 후 연결 종료한다. 이러한 심플한 상태이기 때문에 전산 자원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연결이 지속적이지 않기에 사용자와 종료 후 추가적인 요청을 처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Cookie, Session, URL Rewriting, Hidden Form Field 등이 사용된다. 참고로 HTTP와 반대로 연결 상태 유지하는 프로토콜은 FTP, Telnet이 있다.

  • HTTP는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요청(Request)/응답(Response)방식으로 동작한다.

서버가 먼저 응답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요청 한개에 대해 한개의 응답을 하는 방식이다.

각주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HTTP 문서는 인터넷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